[김희봉의 삶의 향기] 내 마음의 풍차

 



바람 부네

바람 가는 데 세상 끝까지

바람 따라 나도 갈래

햇빛이야

청과 연한 과육에

수태를 시키지만

바람은 과원 변두리나 슬슬 돌며

외로운 휘파람이나마

될지 말지 하는 걸

바람 불면

바람 따라 나도 갈래

바람 가는 데 멀리멀리 가서

바람의 색시나 될래

                                                                                                                              (김남조 바람중에서)

 

훠이훠이 떠도는 바람이 좋아, 기둥서방 같은 그 바람기를 알면서도 바람의 색시가 되고파 하는 여인. 그 철없는 여심이 조금은 가엽다. 여인은 아는지 모르지만 바람의 색시가 되는 것은 햇빛의 시댁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바람은 해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람이 해의 아들인 이치는 이렇다. 햇볕은 적도 위에 뜨겁게 내리 쬐고 열을 받은 더운 공기가 적도에서 추운 극지방으로 흐르는 것이 바람이다. 만약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바람은 영원히 적도에서 극지방, 한 방향으로만 불었을 것이다. 그러나 잘 알려진 대로, 지구는 23.5도 기우뚱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돈다. 그래서 지구엔 3개의 대규모 항풍(恒風)이 늘 방향을 달리해 부는 것이다.


3대 항풍은 무역풍, 편서풍, 그리고 극동풍이다. 무역풍(貿易風)은 적도의 뜨거운 공기가 항상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그 빈 곳을 채워주느라 적도 쪽으로 부는 바람이다. 단지 지구 자전 때문에 동에서 서로 분다. 무역풍이라 부르는 이유는 돛을 단 옛 무역선들이 이 바람을 타고 순항했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편서풍(扁西風)은 북미대륙이 있는 위도 30~60도 사이에서 끝임없이 부는 서풍이다. 추운 극지방에서 부는 극동풍은 편서풍과는 거꾸로 동에서 분다.

 

흥미로운 건 옛 중국사람들은 바람을 벌레의 아비로 알았다. 이는 바람 풍()자를 뜯어보면 안다. 무릇 범()과 벌레 충()의 결합인데, 곧 모든 벌레는 바람 때문에 생겼다고 믿었던 것이다. 벌레는 사면팔방에서 오는 바람을 하루에 한 방향씩 쐬어 8일만에 탄생한다고 알았다. 이런 연고로 모든 벌레란 뜻인 풍()자는 바람의 의미로 굳어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와 바람은 더 이상 하릴없는 건달이 아니다. 벌레의 아비도 아니다. 지구의 생존이 달린 미래에너지의 총아로 떠오르고 있다. 무궁무진한 천연자원이요, 석탄이나 석유같이 공해를 일으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다.

 

1메가와트(MW) 풍차 하나로 바람을 추수(秋收)하면 1년에 3백 가구를 불 밝힌다. 게다가 약 1,500톤의 이산화탄소와 황산가스의 발생을 줄인다. 최근 남가주에 세워지는 415피트짜리 최신 풍력터빈은 3MW 출력으로 2,200가구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현재 미국의 풍력에너지는 매년 급속도로 증가해 75 기가와트(GW)에 달한다. 2030년이 되면 전 미국 전력 생산량의 20%로 늘어난다. 선두주자인 덴마크는 벌써 총 에너지의 42%가 풍력이다.

 

물론 풍력에너지가 만능은 아니다. 출력이 고르지 않아 보조발전시설이 필요하거나 새들이 풍차에 치어죽는 결점들이 있다. 그러나 최근 시설보완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다.

 

최인호는 소설 내 마음의 풍차에서 풍차를 거듭남과 희망의 상징으로 묘사했다. 바람이 인간들의 허위와 위선을 풍차에 넣고 갈아 찬연한 곡식으로 탈바꿈하는 비전을 그리고 있다. 철없어 보이던 바람의 색시가 사실은 바람의 쓰임새를 잘 알아채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바람()은 우리들 미래의 기둥서방이다.





[김희봉]

서울대 공대, 미네소타 대학원 졸업

Enviro 엔지니어링 대표

캘리포니아 GF Natural Health(한의학 박사)

수필가, 버클리 문학협회장

1시와 정신 해외산문상수상

 



 


편집부 기자
작성 2019.08.19 10:51 수정 2019.08.19 21:1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장백산양꼬치데이 50%한정할인 월요일화요일 감사합니다 #장백산양꼬치데이
그 도시에 문화예술 수준을 높이는 학원이 되어야 한다#음악학원운영 #김선..
[ESN 쇼츠뉴스] 2025 인천국제민속영화제 성료! ‘로미오와 줄리엣’..
[ESN쇼츠뉴스 영화]박철현 감독·김명국 배우IIFF2025 레드카펫 빛..
[자유발언] 청소년 자치활동의 진정한 의미
2025년 7월 1일
2025년 6월 30일
2025년 6월 30일
2025년 6월 30일
당신 학원에는 ‘이야기’가 있는가?#김선용 #음악학원운영 #학원철학 #..
2025년 6월 29일
2025년 6월 28일
2025년 6월 28일
2025년 6월 27일
음악학원 이렇게 운영하라 중에서 당신에게 음악이란 무엇인가?김선용 (한국..
2025년 6월 27일
2025년 6월 26일
2025년 6월 26일
2025년 6월 25일
“음악학원 이렇게 운영하라” 저자 김선용 종이 책 2025년 6월 27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