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의 입원 의뢰 없는 행정입원은 인권침해

정신의료기관의 장에게 직무교육 권고, 지자체장에게는 지도·감독 권고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는 2024년 12월 10일 정신의료기관인 ○○○○병원장(이하 ‘피진정인’)에게 소속 의료인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른 입원 절차에 관한 직무교육 실시를, 관할 지방자치단체장에게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의뢰 없이 행정입원되지 않도록 피진정병원에 대한 지도·감독을 철저히 할 것을 각각 권고하였다.

 

진정인은 2024년 1월 22일 진정인이 거주하던 아파트의 관리소장과 피진정인이 모의하여 부당하게 행정입원되었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하여 피진정인은, 진정인이 입원 당시 부적절한 언행과 망상, 난폭한 행동을 보였고, 정신과 전문의 대면 진료 후 자·타해 위험으로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으로 입원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인권위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소위원회 위원장: 남규선 상임위원)는, 이 사건 진정이 진정인의 취하로 각하하더라도 사안의 중대성 등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이유로 권고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로 의심되는 사람에 대하여 행정입원(진단을 위한 입원)을 하도록 할 수 있는 주체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고, 지정정신의료기관은 시장 등이 진단을 위한 입원을 의뢰한 이후 행정입원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사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진정인이 입원한 당일 ○○시보건소가 피진정병원의 진단 및 보호 요청 공문을 접수한 시각은 15:57경이고, ○○시장은 진정인에 대한 행정입원 의뢰 공문을 피진정병원에 17:33경 발송하였는데, 실제로 진정인에 대한 입원이 개시된 시각은 14:09경이다. 진료기록부에 진정인의 진료기록이 기재되기 시작한 시각도 14:30이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할 때, 진정인에 대한 입원이 개시된 시점에는 ○○시의 입원 의뢰 요청은 없었던 것인 바, 행정입원은 적법한 절차를 따르지 않은 것이다.

 

이에 인권위는 향후 본 사안과 유사한 인권침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진정병원의 장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에게 「국가인권위원회법」 제19조 제1호 및 제25조 제1항에 따라 정신질환자가 행정입원 의뢰 없이 정신의료기관에 행정입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와 같은 조치를 권고하였다.

 

작성 2024.12.20 10:27 수정 2024.12.20 10:4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현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