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왕산국립공원, 멸종위기Ⅱ급 고리도롱뇽 최북단 서식지로 확인

북방한계선 변경되어 생태학적 가치 매우 커

위 왼쪽=제주도롱뇽(변산반도국립공원) / 위 오른쪽=꼬마도롱뇽(다도해해상국립공원)  아래 왼쪽=도롱뇽(한려해상국립공원) / 아래 오른쪽=고리도롱뇽(주왕산국립공원)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팔공산, 주왕산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종인 ‘고리도롱뇽’의 서식을 확인하였다고 국립공원공단이 밝혔다.

 

고리도롱뇽의 전체 몸길이는 7~14㎝로 도롱뇽과 제주도롱뇽에 비해 몸집이 작고 꼬리 길이가 몸통 길이와 유사한 것이 특징이며, 2~4월 산란기에는 산림지대 논습지나 계곡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그간 개체 수 감소로 인해 2018년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었다.

 

고리도롱뇽은 부산시 기장군 고리발전소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현재는 울산, 경남 양산, 경북 경주시 등 경상도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고 알려진 한반도 희귀종이다. 이번 주왕산국립공원 서식지가 발견됨에 따라 고리도롱뇽의 지리적 분포가 경북 청송으로 확대되는 등 북방한계선이 변경되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국립공원연구팀은 유전자를 이용하여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도롱뇽의 정확한 종 동정과 서식 분포를 재정리하였고, 분석한 175개체 중 고리도롱뇽은 팔공산국립공원 2개체, 주왕산국립공원 9개체가 확인되어 신규 서식종으로 추가하였다. 

 

특히 주왕산국립공원이 고리도롱뇽의 최북단 서식지(경북 청송)로 확인됨에 따라 조사 지점 인근 수계 관리와 함께 향후 국립공원 내 서식지 분포의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것으로 밝혔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이번 발견된 고리도롱뇽의 신규 서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호‧관리에 힘쓸 것”이라며, “앞으로도 미기록종 발굴을 통해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증진에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작성 2025.01.28 10:44 수정 2025.01.28 10:5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