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많은 사람들이 티베트 불교에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티베트 망명정부를 이끌고 있는 달라이라마의 영향도 있지만 티베트 불교의 독특한 수행체계와 보리심으로 가득한 티베트의 순수한 정신이 물질만능과 이기주의에 찌든 현대인들에게 참신한 대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티베트 불교는 밀교라고 하는 금강승 불교로 대표된다. 소승과 대승을 거쳐 발전된 금강승은 독특한 수행체계를 갖고 있다. 내밀한 방법으로 스승이 제자에게 부처님법을 전수하는 전통의 맥을 잇고 있다. 격리된 은둔처에서 엄격한 수행을 하는 것도 티베트 불교의 특징 중 하나다.
이 책은 티베트 밀교수행 성취자들의 삶과 대자유를 위한 정신수행 이야기다. 샤캬 쉬리(1853~1919)는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지만 근래에 보기 드문 위대한 밀교 수행 성취자였다. 독덴은 수행을 통하여 마음의 본성을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출가 수행자이기는 하지만 밀라레빠의 전통에 따라 머리를 깎지 않고 흰색 가사를 걸친다. 샤캬 쉬리는 티베트인들이 제2의 부처로 숭앙하는 빠드마삼바바(717-762)의 25제자 중 한 명인 나남 뒤좀의 환생자다. 생전에 걸인과 같은 모습으로 외딴 은둔처에서 수행하여 큰 깨달음을 얻고 많은 이적을 행사한 그는 무지개몸을 성취하고 열반에 든 위대한 스승이었다.
철저한 사실에 바탕을 두고 쓴 수행자들의 일대기인 이 책은 밀교 수행법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간의 삶과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진정한 스승을 만나 비밀한 법을 전수받으면 이번 생에서 바로 대자유를 얻는 길이 이 책 속에 들어있다. 누구든지 이렇게 뛰어난 수행자의 해탈에 관한 이야기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이 전기를 읽으면서 왜 샤캬 쉬리가 마하무드라와 족첸 가르침의 위대한 성취자로 평가되는지를 알 것이다. 샤캬 쉬리가 부처님의 가르침과 일체중생을 위해 이룩한 일들은 우리에게 정신적 성숙의 큰 디딤돌이 될 것이다.
카톡 시투 최키 갸초 (지은이),이봉수 (옮긴이) / 독덴 샤캬 쉬리 : 알라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