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덕수궁길, 빛에 따라 다른 화폭 같은 런웨이장으로 변신

서울패션로드 3번째 무대 ‘서울패션로드@정동’ 5월 2일(금) 오후 4시, 7시 개최

 

근현대사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덕수궁길이 한복을 덧입고 그림 같은 패션쇼 런웨이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도심 속 일상의 공간을 런웨이로 탈바꿈시키는 ‘서울패션로드’ 3번째 무대인 「2025 서울패션로드@정동」을 5월 2일(금), 정동 덕수궁길(대한문~원형로터리 분수 구간)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 유망 패션 브랜드들의 ‘브랜드 경쟁력’과 ‘비즈니스 성과’를 지원하는 글로벌 패션 플랫폼으로 ‘서울패션위크’를 매년 봄, 가을 개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시와 패션을 연결하는 런웨이로 ‘서울패션로드’를 지난해 처음으로 기획해 석촌호수(5월)와 뚝섬한강공원(8월)에서 장소별 다른 콘셉트로 두 차례의 독창적인 런웨이를 선보였다. 

 

근현대 역사와 문화를 품은 정동을 배경으로 한 이번 세 번째 무대에서는 나들이하기 좋은 시기, 5월이 주는 계절적 매력 속에서 전통한복의 우아함에 현대적 디자인을 더한 新 한복 스타일을 만나볼 수 있다. ‘덕수궁길’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의 중심으로 덕수궁,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정동제일교회, 구 러시아 공사관 등 역사 건축물이 자리하고, 계절마다 거리의 꽃과 나무가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내 시민들이 많이 찾는 장소로 꼽힌다. 

 

이번 패션쇼에는 우수한 디자인과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으로 한복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서담화 ▴기로에 ▴꼬마크 ▴한복스튜디오 혜온 등 4개 한복 브랜드가 참여한다. 

 ① 서담화(송혜미)는 ‘천천히 담아 조화롭다’라는 뜻의 한복 브랜드로 자연의 색을 옷감에 옮겨내며 담백하고 여유로운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② 기로에(박선옥)는 ‘기로에 서다’에서 따온 이름으로 한복에 기반을 두며 전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K-스타일의 패션을 추구한다.

 ③ 꼬마크(김남희)는 ‘돌실나이’의 영 브랜드로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위트 있는 스타일로 젊은 세대를 겨냥한다.

 ④ 한복스튜디오 혜온(권혜진)은 전통 한복과 패션 디자인의 결합, 전통과 현대 소재의 조화로 일상 속의 세련된 패션 한복 디자인을 선보인다.

 

패션쇼의 시작과 끝에는 오케스트라 연주가 곁들여져 현장에 울려 퍼지는 왈츠와 K-드라마 배경음악을 통해 쇼를 더욱 풍성하게 채울 예정이다. 연주는 뉴코리아필하모닉오케스트라(단장:송재용)가 맡는다. 패션쇼는 2일(금) 오후 4시, 저녁 7시 두 차례 동일한 내용으로 펼쳐진다. 현장 관람을 희망하는 시민은 4월 21일(월)부터 4월 27일(일)까지 서울패션로드 공식 사회관계망(인스타그램・seoulfashionroad_official)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시는 추첨을 통해 회차별 300명(총 600명)을 선정할 예정이다. 당첨자에게는 사전 신청 시 제출한 휴대전화 문자로 초청장을 4월 29일(화)까지 발송할 예정이다(현장에서 입장 팔찌로 교환).

 

이번 패션쇼는 4월 30일(수)부터 5월 6일(화)까지, ‘경이롭고 다채로운 경험(Make Wonders)’이라는 주제 아래 도심 주요 공간을 가득 채울 「2025 서울스프링페스타」와 연계 진행한다. 시민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에게 新 한복의 매력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행사 구역은 ‘덕수궁길 차 없는 거리(대한문~회전 교차로)’로 5월 2일(금) 자정(0시)부터 22시까지 차량 통행이 통제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덕수궁길의 돌담과 주변 역사 건축물들은 빛의 작용에 따라 분위기가 사뭇 달라져 특별히 이번 패션쇼를 낮과 밤, 2개의 시간대로 구성했다”며 “덕수궁길과 한복의 완벽한 조합, 빛에 따라 달라지는 한 폭의 그림 같은 특별한 런웨이를 많은 시민들이 경험하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작성 2025.04.21 09:37 수정 2025.04.21 10:1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