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흥렬 칼럼] 교양인이 되고 싶다면

곽흥렬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갖추어야 할 덕목에 여러 가지가 있겠다. 이를테면 부모에 대한 효도며 어른에 대한 공경이며 가족 간의 화목, 이웃과의 사랑, 벗과의 신의 따위이다. 교양도 그 가운데 하나인가 한다.

 

‘나는 교양인인가?’ 

 

사람의 성정이 제각각이어서, 이 물음에 대한 대답도 당연히 사람마다 다를 것 같다. 어떤 이는 그다지 교양이 없으면서도 그렇다고 오만을 떨 것이고, 어떤 이는 상당한 교양을 지녔으면서도 그렇지 않다고 겸양해 할지 모르겠다.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는 판단은 일단 미루어 두기로 하자. 어차피 사람이란 누구 없이 제멋에 사는 존재이고, 또한 어떻게 생각하든 그건 어디까지나 각 개인의 자유이므로.

 

나름대로 교양인의 판별 기준을 제시한 학자가 있어 눈길을 끈다. 독일의 문명비평가인 디트리히 슈바니츠는, 교양인으로서 알아서는 아니 되는 것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한다. 곧, 황실에 관한 소문과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통속 잡지의 내용 그리고 스포츠 관련 기사가 바로 그것이다. 

 

우리 가운데는 이런 것들 빼고 세상 무슨 재미로 사느냐고 투덜거리며 반문을 해 올 분이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곰곰이 헤아려 보면 퍽 일리 있는 주장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현대인들이 오늘날처럼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혼돈 속을 헤매는 시대가 또 있었던가. 우울증이며 정신 분열 같은 마음의 병을 앓는 사람들이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그로 인해 범죄를 저지르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이들의 숫자가 날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다. 물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에서 기인하겠지만, 그 밑바탕에는 앞서 예로 든 그런 것들에 대한 지나친 경도傾倒도 한몫 거들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거두지 못하겠다. 

 

맨 먼저 언급한, 황실에 관한 문제는 그들과 문화적 배경이 달라 세세히 모르겠으되, 텔레비전이며 통속 잡지가 불러오는 폐해의 심각성이야 이미 너무도 잘 알려져 있는 사실 아닌가. 텔레비전이라는 것이, 시청률을 올려야 살아남는 그 본질적 속성상 늘 불륜을 미화하고 폭력을 정당화한다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통속 잡지는 또 어떤가. 노상 연예인들의 오만 시시콜콜한 사생활을 한갓 흥미 위주로만 다루어, 아무것도 아닌 것을 마치 아무것인 양 그럴싸하게 포장해 놓는 세상의 독소라는 사실에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하리라. 

 

스포츠가 교양인의 적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의아한 생각을 가질 분이 적지 않을 줄 안다. 물론 스트레스 해소라는 순기능이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 속성상 어제의 것이 오늘의 것과 별반 다르지 않고 오늘의 것이 내일의 것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게 스포츠이고 보면, 지나치게 거기 매달리다가는 결국 머릿속에 아무것도 든 것이 없는 백치가 되기 딱 십상이다. 

 

책 속에 길이 있다고 했다. 참으로 그런 것 같다. 이 말이야말로 시대를 초월하여 영원한 가치를 지닌 명언이라는 생각이다. 하기에, 교양인이 되고 싶다면 부지런히 책을 읽어야 할 줄로 믿는다. 텔레비전 앞에 눌러앉고 통속 잡지에 눈을 빼앗기고 스포츠에 빠져들 그런 시간에 좋은 책 한 권, 좋은 글 한 줄이라도 가까이한다면, 마음의 양식을 쌓고 세상을 살아갈 지혜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교양이 진중한 삶의 자세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온갖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이 판을 치는 요즈음 같은 세상에서 그 삶의 진중함이 새삼 그리워진다.

 

 

[곽흥렬]

1991년 《수필문학》, 1999년《대구문학》으로 등단

수필집 『우시장의 오후』를 비롯하여 총 12권 펴냄

교원문학상, 중봉 조헌문학상, 성호문학상, 

흑구문학상, 한국동서문학 작품상 등을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받음

제4회 코스미안상 대상 수상

김규련수필문학상

이메일 kwak-pogok@hanmail.net

 

작성 2025.04.22 10:17 수정 2025.04.22 11:3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