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코스미안뉴스 천보현 기자입니다. 지금 우리는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존엄보다 존재를, 경쟁보다 경험을, 지식보다 지혜를 통해 살아가야 합니다. 이제 인문칼럼을 통해 따뜻한 사유의 글로 가슴을 채워가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인문칼럼은 이태상 작가의 ‘허깨비 굿타령을 졸업하자’입니다.
‘그대 앞에만 서면 나는 왜 작아지는가’ 트로트 가수 김수희가 불러 히트한 노래다. 이 가사를 노벨상을 비롯한 모든 상에 적용해 보자. 지난 2018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되고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선정하지 않기로 했다는 비보에 수많은 작가와 출판사들이 비명을 질렀다는데 도대체 '상'이란 게 뭐기에 그렇게 야단법석이었을까.
어떤 ‘선물’이나 ‘상’은 받을 때보다 줄 때가 더 즐겁고 흐뭇하며 행복하지 않던가. 그래서 선물이나 상은 언제나 남에게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자기 자신에게 주는 것이다. 애인이든 배우자든 자식이든 손자 손녀든 누군가를 진정으로 사랑해 본 사람이면 다 느끼는 일이다. 궂은일은 차라리 내가 겪고 좋은 일만 네가 누리기를 빌면서 아무리 주고 또 줘도 부족해 더 주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우리가 어느 누구의 추천으로 상을 받아 남의 인정과 평가를 받아 야만 자신의 존재 이유와 존재가치가 비로소 생기는 게 결코 아니다. ‘예술 작품’이란 것도 굳이 말하자면 아무리 훌륭한 작품이라도 자연과 삶의 ‘모조품’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실물’보다 그 ‘그림자’를 더 애지중지하지 않는가.
그뿐만 아니라 있는지도 없는지도, 설혹 있다 해도, 어떤 분인지, 남성인지 여성인지, 중성인지 무성인지 모를 ‘신神’이란 존재에 대해 누구도 절대적으로 알 수가 없는데 그 누가 감히 주제넘게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있으랴. 자신을 포함해 우주만물을 제대로 순간순간 사랑하고 섬기지도 못하면서 ‘허깨비’ 같은 독선 독단적인 존재를 모시고 경배한다는 게 말이 될 법이나 한 일인가.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온갖 ‘허깨비 굿타령’을 졸업하고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과 홍익만물의 ‘인생학업’에 매진하는 일이 이 우주에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가 될 것이다.
이태상 작가의 인문칼럼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