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달 1일~29일까지 김포·오산·화성 지역 등 공공시설용지 150곳을 점검해 148곳이 매각이 안 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밝혔다.
점검은 올초 개정된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및 ‘공공주택업무처리지침’에 따라 김포한강, 오산세교, 화성봉담지역 비롯해 37곳을 대상으로 했다.
‘준공 2년 경과 지구’뿐만 아니라 ‘준공 1년 6개월 전 지구’까지 포함했다. 150곳의 용지 중 2곳만 매각되고 15곳은 매입 일정을 협의했다.
나머지 133곳은 매각이 안되고 79곳은 매입 의사는 있으나 예산 및 수요 부재로 보류, 54곳은 매입 포기 용지로 용도변경이 논의됐다.
공공시설용지는 학교, 소방서, 주차장, 종교시설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기반시설로 방치되면 도시 마관 저하와 주민 불편도 우려된다.
도는 각 지자체에 임시 활용 방안을 요청하고, LH 등과 협의해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장기 미매각 비율이 높은 경기 북부 지역은 실무협의체와 관계기관 협의해 제도 개선 및 매각 활성 집중 논의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공공시설용지 미매각 문제로 도민 불편을 초래하는 만큼 사업지구 조기 활성화를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