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용 칼럼] 장자(莊子)의 숲과 기러기

신기용

장자의 우화에 나오는 나무숲 이야기를 되새겨 본다. 숲에서 나무의 쓰임, 친구의 집에서 기러기의 쓰임에 관해 사유를 이끌어 간다. 나무는 쓰임이 없어 살아남았지만, 울지 못하는 기러기는 쓰임이 없어 죽는다. 유용의 쓰임과 무용의 쓰임을 비유하여 말한다. 우화 한 편을 읽어 본다.

 

장자가 산속을 가다가 가지와 잎이 매우 무성한 큰 나무를 보았다. 그런데 나무를 베는 사람이 그 곁에 멈춰 서 있으면서 그 나무를 베려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까닭을 물으니, “쓸모가 없습니다.” 하였다. 이에 장자는 “이 나무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하늘이 준 목숨을 살 수가 있구나!” 하였다. 이윽고 장자는 산을 나와 친구의 집에서 묵었다. 친구는 기뻐하면서 종아이더러 기러기를 잡아 요리를 하라고 했다. 그러자 그 종아이가 묻기를 “한 놈은 잘 울고 한 놈은 울지를 않는데, 어떤 것을 잡을까요?”라고 했다. 

 

이튿날 제자들이 장자에게 묻기를, “어제 산속의 나무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천수를 살 수가 있었고, 오늘 주인집의 기러기는 쓸모가 없어서 죽으니, 선생님께서는 어느쪽에 몸을 두시고자 합니까?” 하자 장자는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장차 쓸모가 있는 것과 쓸모가 없는 것의 중간에 처하리라. 그러나 쓸모가 있는 것과 쓸모가 없는 것의 중간은 도에 비슷하지만 진실한 도는 아니다. 그러므로 화를 면할 수는 없다. 대체로 저 도덕을 타고 떠돌아 노는 사람은 그렇지가 않다. 그에게는 명예도 없고 비방도 없으며 어느 때는 용이 되고, 어느 때는 뱀이 되며, 때를 따라 함께 변화하면서 하나에 집착하는 일이 없다. 어느 때는 올라가고, 어느 때는 내려오며 화합하는 것으로써 도량을 삼는다. 마음을 만물의 근원인 도에 소요케 하여 물(物)을 물로써 부리고 물에게 자신을 사역당하지 않으면 어찌 물에게 화를 당하겠는가?”

 

-『장자』, 「외편」 중 ‘산목’, 이석호 역 

 

 

나무와 기러기의 우화를 ‘쓰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체용(體用) 철학과 연관성이 있다. 이는 근원과 쓰임, 쓰임과 근원에 대한 사상이다. 이는 “달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라는 물음을 꼬리 물고 사유하는 방식과 연관성이 있다. 장자는 “물(物)을 물로써 부리고 물에게 자신을 사역당하지 않으면” 물에게 화를 당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이 체용(體用)은 노자의 ‘도(道)의 체용(體用)’ 측면에서 보면, 순환 복귀한다는 반(反)에 해당한다. 유교의 중용(中庸)과 겹쳐 읽히기도 하는 대목이다.

 

 

[신기용]

문학 박사.

도서출판 이바구, 계간 『문예창작』 발행인. 

대구과학대학교 겸임조교수, 가야대학교 강사.

저서 : 평론집 9권, 이론서 2권, 연구서 2권, 시집 5권,

동시집 2권, 산문집 2권, 동화책 1권, 시조집 1권 등

이메일 shin1004a@hanmail.net

 

작성 2025.05.07 10:17 수정 2025.05.07 10:5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경호 받아보고 싶어요(?)
2025년 5월 7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슈가토끼방문 광주루프탑카페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김웅대금연주가 루프탑카페 즉흥공연 광주중흥동카페 ..
완도산회특급포차 바다장어 물회밀키트 #밀키트 #물회 #로컬비즈니스탐험대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3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2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