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상경자가 본 서울은 어땠을까

서울역사중점연구 제18권 《일제강점기 상경자의 경성 체험과 생활 공간》발간

1920~30년대 고학생, 도시 빈민, 박람회 관람객 등 다양한 상경자의 경험 조명

신문, 통계, 소설, 사진·삽화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입체적으로 서술한 연구서

[사진="일제강점기 상경자의 경성 체험과 생활 공간" 표지]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일제강점기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의 삶과 경험을 담은 『서울역사중점연구』 제18권 《일제강점기 상경자의 경성 체험과 생활 공간》을 발간했다.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는 서울의 역사 중 아직 개척되지 않았거나 취약한 분야의 연구자 위해 기획하는 발간물이다. 2016년부터 신규 연구 주제 발굴 및 신진 연구자 지원 등을 통해 연구 저변 확대를 장려하고 있다.

 

 이번 연구서는 1920~30년대 고학생(苦學生: 스스로 일을 해서 학비를 벌면서 공부하는 학생들), 이농민으로서 토막촌에 정착했던 도시 빈민 등 다양한 상경자들의 생활 공산과 그들이 인식한 경성을 연구했다. 또한 시골 주민의 박람회 관람 등 서울을 일시적으로 찾은 상경 체험에 대해서도 다뤘다. 김태웅(서울대 교수)을 비롯해 총 6명의 연구자가 집필했다.

 

 ▲〈1920년대 고학생의 상경과 서울 생활: 이태준의 소설 《사상의 월야》를 중심으로〉(김은영_국민대 정보와 법 연구소 연구교수)
▲〈일제강점기 교육 상경의 민중성: 대동학원?대동상업학교 사례를 중심으로〉(현명호_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1920~1930년대 상경 도시 빈민층과 창신동 토막촌 양상〉(유슬기_서울시립대 강사)
▲〈상경 학생의 거처〉(김광규_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소년 상경의 문학적 재현 양상〉(손동호_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 학술연구교수)
▲〈시골 사람의 박람회 관람: 상경과 경성 인식〉(김태웅_서울대 교수)

 

 

 연구진은 당대 신문, 통계자료, 문학작품 뿐만 아니라 사진과 삽화 등 시각 자료도 적극 활용해 전입?상경 주민, 학생, 소년에 이르는 일제강점기 상경자들의 삶을 입체적으로 검토했다.

 

 『서울역사중점연구』18권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history.seoul.go.kr)에서 전자책으로도 제공된다. 또한 서울시 간행물 판매처인 서울책방(store.seoul.go.kr)에서 1만 원에 구매할 수 있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번 연구서를 통해 서울 역사에 관심있는 독자들이 일제강점기 상경자의 생활을 보다 생생하고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서울역사중점연구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역사를 발굴해 나가는데 힘쓰겠다. 많은 연구자와 시민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유미 문화부 기자 yum1024@daum.net
작성 2025.05.13 23:24 수정 2025.05.13 23:25

RSS피드 기사제공처 : 한국IT산업뉴스 / 등록기자: 김유미 문화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14일
2025년 5월 14일
2025년 5월 14일
2025년 5월 14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몽골의 야생, 독수리, 매
아빠와 썰매타기
이럴수가~기절초풍!
#쳇GPT, 1분만에 #AI 만드는 내얼굴!
국수가 적당하게 익었을때는 둥근 회전모양으로 생김
손빈아, ‘하동 고향에서 부르는 노래‘ 미스트트롯3, 전국콘서트
‘울엄마’ 요양원에서…모정, 이미자, 어버이날, 효도잔치
효도잔치, 판소리 버전, 연지실버로드요양원에서…
모죽 이야기, 저녁의 대나무, 인생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2일
2025년 5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