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수상 교통 혁신 ‘한강버스’ 9월 정식 개통 앞두고 3개월간 시범운항
서울시가 준비 중인 새로운 수상 대중교통 수단 ‘한강버스’가 9월 정식 개통을 앞두고, 오는 6월부터 석 달간 시민체험 운항을 통해 운항 안정성과 서비스 완성도를 점검한다. 서울시는 시민, 전문가, 교통약자, 외국인 관광객 등 다양한 이용층의 체험을 통해 기술적‧운영적 개선점을 반영하고, 시민 눈높이에 맞춘 수상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강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선착장 접근성 개선, 안전시설 설치, 통합환승 시스템 구축 등 모든 요소를 정밀하게 점검하고 있다.
전문가‧시민 함께 검증… 실사용자 중심의 체험운항
체험운항은 6월 2일부터 8월 24일까지 이뤄진다. 6월에는 교통·해양 전문가들이 탑승해 선박 운항 안정성과 서비스 전반을 진단한다.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도 참여해 탑승 동선, 유도 블록 등 편의시설을 직접 체험하며 개선점을 도출한다.
7~8월에는 실제 출퇴근 수요를 반영해 직장인을 중심으로 체험운항이 진행된다. 이밖에도 한강에서 여가를 즐기는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 대상의 주말 체험 프로그램, ‘책읽는 한강버스’, ‘조식 챌린지’ 같은 참여 이벤트도 마련된다.
선박 도입, 인프라 구축 모두 ‘착착’… 11월까지 총 12척 운항
현재 시운전 중인 2척의 하이브리드 선박은 체험운항에 투입되며, 나머지 선박은 6월(4척), 7월(2척), 9월(2척), 11월(2척)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돼 총 12척이 운영된다. 서울시는 선박감독단을 조선소에 파견해 공정 지연을 철저히 관리 중이다.
선박 충전시설과 도선장도 마곡·잠실 선착장에 각각 설치되며, 출퇴근 시간대 급행 운항은 오전 7시9시, 오후 5시7시30분으로 조정해 정시성을 확보한다. 평균 운항 속도는 약 29km/h이며, 잠실~여의도 급행 노선은 약 34분 소요된다.
선착장은 문화공간으로… 통합환승 시스템도 본격 가동
선착장 7곳 중 잠실·여의도는 5월 말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나머지 마곡, 망원, 압구정, 옥수, 뚝섬 선착장은 6월 중 영업을 개시한다. 각 선착장은 단순한 교통지점이 아닌 시민과 관광객이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된다. 옥상 공간은 팝업행사와 전시, 예식장 등으로 활용된다.
선착장 접근성 강화를 위해 버스 노선이 신설·조정되며, 따릉이 거치대와 셔틀버스, 다람쥐버스도 운행된다. 안내표지판, 점자블록 등 보행약자 배려시설도 6월 말까지 설치된다.
서울시는 112한강경찰대, 119수난구조대 등과 협력해 비상상황에 대비한 훈련도 진행했다. 교량 충돌방지 표지, 안전부표 등 각종 안전시설도 설치를 마쳤으며, 7월까지 교량항로표지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한강버스 주변 위험구역 지정도 완료돼 운항 안전성을 높였다.
교통카드 게이트, 실시간 위치 정보서비스 등도 구축을 마쳤고, 카카오맵·네이버지도 연동도 테스트를 마친 상태다. 6월 말부터는 통합환승 시스템이 정식 운영된다.
‘한강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서울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혁신적 인프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체험운항을 통해 문제점을 사전에 점검하고, 다양한 이용자층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정시적인 수상 대중교통 모델을 완성한다. 또한 문화적 공간으로 탈바꿈한 선착장과 편리한 접근성, 환승 체계는 한강을 도심 속 거점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한강버스는 단순한 실험이 아닌 서울 교통 패러다임의 전환점이다. 수상과 지상의 경계를 허무는 이 새로운 시도는, 서울의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일상 속 이동과 여가를 연결하는 혁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6월부터 시작되는 시민체험이 단순한 시범을 넘어, 서울형 수상교통의 기준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