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용 칼럼] 장자(莊子)의 해골

신기용

장자는 삶과 죽음의 초월에 관한 해골 이야기를 남겼다. 이는 해골을 내세워 사후 세계, 즉 저승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분명한 것은 삶과 죽음이 하나임을 말한 것이다. 즉, 생사일여(生死一如)를 말한 것이다. 살아서 무위로써 지락을 얻고, 죽어서도 무위로써 지락을 얻는다는 의미이다.

 

장자가 초나라로 가다가 도중에서 텅 빈 해골을 만났다. 바짝 마른 형태로 남아 있었다. 장자는 말채찍으로 해골을 때리면서 말했다. 

 

“자네는 삶을 탐내어 도리를 잃어 이렇게 되었는가? 혹은 자네는 나라를 망친 일 때문에 사형을 당하여 이렇게 되었는가? 혹은 자네는 나쁜 일을 하여 부모·처자에게 오명을 남긴 것을 부끄러워하여 자살이라도 하여 이렇게 되었는가? 혹은 춥고 배고픈 근심 때문에 이렇게 되었는가? 혹은 자네는 천수를 다 살았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는가?”

 

이렇게 말하고 장자는 그 해골을 끌어다가 베고 누워서 잠이 들었다. 밤중에 해골은 장자의 꿈에 나타나“자네의 많은 변사(辯士)와 같았네. 그러나 자네가 말한 여러 가지는 살아 있는 사람들의 허물이고, 나처럼 죽은 사람은 그런 걱정이 없네. 자네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은가?” 하므로 장자는,

“그러세”라고 하자, 이어 해골은 말하기를,

“죽음의 세계에서는 위로 임금도 없고, 아래로 신하도 없으며, 또한 네 계절의 변화도 없네. 조용히 천지와 수명을 같이할 뿐이네. 거기에서는 임금의 즐거움도 그 즐거움을 넘어서지 못하네.”라고 하였다. 장자는 그 말을 믿으려 하지 않으면서, 

“내가 생명을 맡은 신으로 하여금 자네의 형체를 재생시켜 자네의 골육과 피부를 되살리게 하여 자네의 부모·처자나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데, 자네는 그것을 바라는가?” 하자, 해골은 눈썹을 깊이 찡그리고 콧마루를 찡그리면서,

“내가 어찌 임금님의 즐거움과 같은 여기에서의 즐거움을 버리고 다시 인간 세상으로 나가 고생을 하겠는가?” 하였다.

 

-『장자』, 「지락(至樂)」, 이석호 역 

 

인용문에서 장자는 해골을 향해 경멸하는 말을 내뱉는다. 그리고 죽은 자와 대화를 나눈다. 장자가 죽은 자와 말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은 영적 혜안이 꽤 높았다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꿈에서 나눈 대화이므로 영적 혜안과는 거리가 멀다. 장자의 ‘호접지몽’처럼 꿈속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해골을 베고 잠들 수 있다는 점에서 장자는 매우 대범한 사람이었던 것 같다. 오늘날의 말로 ‘간이 부은 자’ 혹은 ‘간이 큰 자’였음이 분명하다.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신 신라의 원효와 같은 깨달음을 얻은 혜안이 열린 자임이 분명한 듯하다.

 

이 이야기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참다운 즐거움이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너무 죽음에 초점을 맞추면, 장자의 ‘죽음 예찬론’으로 오독(誤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죽음 예찬론이라기보다는 삶의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삶과 죽음이 하나임을 강조한 것이다. 

현세에서 살아가는 동안 인간답게 살자!

 

 

[신기용]

문학 박사.

도서출판 이바구, 계간 『문예창작』 발행인. 

대구과학대학교 겸임조교수, 가야대학교 강사.

저서 : 평론집 9권, 이론서 2권, 연구서 2권, 시집 5권,

동시집 2권, 산문집 2권, 동화책 1권, 시조집 1권 등

이메일 shin1004a@hanmail.net

 

작성 2025.05.28 10:08 수정 2025.05.28 11:04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29일
2025년 5월 29일
2025년 5월 28일
2026학년도 한국클래식음악신문사 입시평가회#음악입시 #입시평가회 #실기..
2025년 5월 28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2025년 5월 27일
쇼팽 이전과 이후, 피아노는 어떻게 달라졌는가?#쇼팽 #Chopin #루..
2025년 5월 26일
2025년 5월 26일
2025년 5월 26일
2025 한국클래식음악신문사 콩쿠르
왜, 쇼팽인가?
2025년 5월 25일
2025년 5월 24일
2025년 5월 24일
2025년 5월 23일
2025년 5월 2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