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친 일상, 독서로 '소확행'을 찾고 싶다면?

지친 일상에 '시'로 힐링을 드립니다, < 내 속에는 늘 네가 한 조각 있고>


감성 시집, <내 속에는 늘 네가 한 조각 있고>

많은 사람들이 말한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니? 아프면 환자이지!라고 말이다. 하지만 정말 당신은 청춘이 아파 본 적이 한 번도 없는가? 나는 어느 시대의 젊은이던, 청춘은 아프다고 생각한다. 잘나가는 유명 연예이나 성공한 사업가의 인생 얘기만 들어봐도 그렇다. 그들이 아니더라도 단 한 번도 아파 본 적 없는 청춘은 없다. 특히 온갖 취업난과 돈에 시달리는 이 시대 젊은이들에게는 말이다.


이런 때에, 사람들은 예전과 달리 성공한 사람의 자서전을 읽고 싶어 하지 않는다. 당장 돈 많은 대기업 CEO 성공 스토리를 줄곧 늘어놓은 책을 읽는 것이 내 인생에 무슨 소용이겠는가? 요즘 소확행이라는 단어가 화두에 오르며 많은 사람들에 의해 쓰이고 있다. ‘소확행(小確幸)’의 사전적 의미는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지만 확실하게 실현 가능한 행복 또는 그러한 행복을 추구하는 삶의 경향이다. 퇴근 후 시원한 맥주 한 하며 노트북으로 영화 한 편 보는 것, 한가한 날에 치킨 한 마리를 시켜 먹고 배부른 채 낮잠을 자는 것. 그런 소소한 것들이 요즘 사람들이 느끼는 소확행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소확행이 그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준다.


책 또한 마찬가지이다. 바쁘고 지친 일상에 작게나마 힐링이 되어 주는 책을 읽는 것이 누군가에게는 소확행이 될 수 있다. 나 또한 정신없이 흘러가는 시간들을 껴안으며 살면 때론 긴 글보다는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주는 '시집'이 읽고 싶어질 때가 많다. 시 한 편에서 느껴지는 사람과 인생에 대한 공감을 느끼다 보면 위로가 될 때가 많다.


이런 소확행을 부르는 시집 한 권을 추천해주고 싶다. 출판사 꿈공장 플러스가 이번 7월에 출간한 <내 속에는 늘 네가 한 조각 있고>라는 따끈한 신간이다. 표지가 주는 느낌과 같이 잔잔하고 짙은 감성이 담겨있다. 이 책의 저자는 윤애경, 공유진, 곽동규, 한가온, 양영지, 최지아 총 6명의 작가가 공저한 책으로 각 작가가 가진 개성과 문체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단지 그것뿐'- 곽동규

위의 시는 <내 속에는 늘 네가 한 조각 있고>의 공동 저자 중 한 명인 곽동규 작가의 시이다. 곽동규 작가는 인스타에서 마름모’(인스타 아이디: marmmo_k)로 활동 중이다. 그가 필명을 마름모로 하는 데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한다.

곽동규 작가는 필명에 대해 마름모의 정의가 '평행사변형과 사다리꼴, 정사각형이 마름모일 수 있지만 마름모는 그들이 될 수 없다'입니다. 사실 이 의미가 마름모라는 도형에 부정적인 정의인데, 제 해석으론 '저 세도형이 마름모를 흉내 내더라도 마름모가 더 뛰어나다'라고 긍정적으로 해석했어요. '누가 나를 모방하더라도 내가 더 뛰어나다'  제 글에 대한 자부심이라 할 수 있겠네요.”라고 설명했다.

누가 인생은 단거리 달리기라고 했던가? 우리는 목적지 모를 마라톤같은 끊임없는 노력을 요구하는 사회를 살고 있다. 무더운 날씨, 땀을 식혀주는 선선한 바람 한 점 같은 시집 한 권으로 지쳐가는 자신을 위해 소확행을 선물해주는 것은 어떨까?



서하은 기자
작성 2018.07.02 23:06 수정 2019.05.06 15:44

RSS피드 기사제공처 : 북즐뉴스 / 등록기자: 서하은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1일
2025년 5월 1일
2025년 4월 30일
대청의 그거 왜 해?
광주루프탑카페 숲안에 문화복합공간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우산동카페 #광주..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