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신상담, 치욕을 견뎌 낸 자만이 복수할 자격이 있다”

굴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고통을 끌어안은 사람만이 승리를 쥔다

와신상담, 인생 역전을 이룬 이들의 철학

미식1947

오늘의 사자성어 2025년 9월 16일 臥薪嘗膽 (와신상담)

 

“땔나무 위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 복수를 위해 고통을 감내하다.”

 

뜻풀이

 

‘와신상담’은 크게 원수를 갚기 위해 온갖 고통을 참고 견딘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다.


‘와(臥)’는 눕다, ‘신(薪)’은 땔나무, ‘상(嘗)’은 맛보다, ‘담(膽)’은 쓸개를 의미한다.
즉, 땔나무 위에 몸을 누이고 쓸개를 핥으며 결심을 다진다는 뜻이다.

 

유래 이야기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句踐)은 오나라에 패한 후 항복하고 포로가 되어 치욕을 당한다.
그 후 석방되어 돌아온 구천은 땔나무 위에서 자고, 매일 쓸개를 핥으며 복수를 다짐했다.


결국 수년간의 고된 노력과 인내 끝에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복수에 성공한다.
이 고사는 참을성과 집념, 굴욕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의지를 상징한다.

 

현대적 해석

 

오늘날 ‘와신상담’은 실패나 굴욕을 겪은 뒤, 이를 발판 삼아 더 강해져서, 결국 원하는 목표를 이루는 복수의 서사 또는 재기의 철학으로 활용된다.단순히 복수에만 국한되지 않고, 실패 이후 더 강해지는 성장의 메시지로도 자주 사용된다.

 

오늘의 수모가 내일의 승리를 만든다. 와신상담은 인내가 만든 역전의 서사다.

 

짧은 적용 예문

 

“그는 해고당한 뒤 와신상담의 자세로 창업에 성공했다.”

“지금은 참고 있지만, 나중에 보여줄 거야. 와신상담이야.”

 

오늘의 통찰

 

“가장 단단한 결심은 가장 깊은 치욕에서 태어난다.”

 

작성 2025.09.16 11:46 수정 2025.09.16 11:47

RSS피드 기사제공처 : 미식1947 / 등록기자: 김아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