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15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상생 페이백 환급 신청이 시작됐다. 최대 3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최대 2천만 원이 걸린 소비복권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기사는 신청 방법, 환급 조건, 복권 응모 요건, 그리고 유의사항을 놓치지 않고 혜택을 챙길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정부가 물가 부담 완화와 내수 활성화를 위해 ‘상생 페이백’ 지원금 제도를 본격 시행했다. 2025년 9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소비 증가분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복권 이벤트까지 함께 진행돼 실질적인 혜택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크다.
상생 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 및 외국인 거주자라면 신청할 수 있다. 단, 2024년에 카드 실적이 있어야 한다. 신청 방법은 간단하다. 네이버에 ‘상생 페이백’을 검색하거나 ‘민원24’ 사이트에 접속해 신청 페이지에 들어가면 된다. 본인 인증 후 정보 입력, 약관 동의, 카드 등록 절차를 완료하면 9월부터 11월까지의 소비 내역이 자동으로 반영된다.
신청은 단 한 번만 하면 되며, 이후 3개월 동안의 사용 실적이 모두 적용된다. 신청 초기 2주간은 출생년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가 운영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지급 일정은 9월 사용분은 10월 15일, 10월 사용분은 11월 15일, 11월 사용분은 12월 15일에 지급된다. 모든 지급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이뤄진다.
상생 페이백의 환급 기준은 2024년 카드 월평균 소비액과 비교해,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더 많이 소비한 금액의 20%를 돌려주는 방식이다.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하다.
카드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합산되므로, 전략적으로 소비를 집중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지난해 소비 실적이 적은 가족 구성원의 카드를 활용해 몰아 쓰는 방식이 최적의 방법으로 꼽힌다.
이번 제도의 또 다른 매력은 바로 소비복권 이벤트다. 상생 페이백을 신청한 사람은 자동으로 응모된다. 9월 15일부터 10월 12일까지 5만 원 이상 사용 시 복권 1장이 발급되며, 최대 10장까지 받을 수 있다.
당첨자는 10월 말 발표되고, 11월 중에 경품이 지급된다. 1등 당첨자는 2천만 원, 2등은 200만 원, 그 외 다양한 등급의 상품이 준비돼 있다. 단, 1등 당첨 조건은 비수도권에서의 소비 실적이다. 수도권에서 소비하면 2등부터 당첨이 가능하다.
상생 페이백은 혜택이 큰 만큼 주의할 점도 있다. 일부 사용처는 소비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실적 인정 매장에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복권 이벤트는 10월 12일 이전에 신청해야 자동 응모되며, 이후 신청자는 복권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들이 제도의 취지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혜택을 누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 제도는 소비를 촉진하는 동시에 가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2025년 상생 페이백은 단순히 환급 지원을 넘어, 소비복권이라는 추가 혜택까지 더해 국민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소비 전략을 잘 세우면 최대 30만 원 환급과 함께 2천만 원의 기회까지 잡을 수 있다. 정보를 아는 사람이 혜택을 챙기는 시대, 이번 제도는 그 상징적인 사례다. 국민 모두가 기한 내 신청해 알뜰하게 혜택을 누리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