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25년 한 해에만 총 26조 5천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투입한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체감도는 기업의 준비 수준과 정보 활용도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다.

정책자금은 단순한 유동성 지원이 아니라 기업의 미래 전략을 실행하는 핵심 수단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 정부 부처와 산하 기관이 목적에 따라 자금을 운용하며,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재단 등을 통해 집행된다. 운전자금·시설자금 융자뿐 아니라 연구개발(R&D) 보조금, 마케팅 비용, 고용 창출 인건비 지원 등 지원 형태도 다채롭다.
특히 2025년 정책자금 공급 계획은 총 26조 5천억 원 규모로 확정됐다. 세부적으로는 ▲소상공인 정책자금 3조 7,700억 원 ▲중소기업 정책자금 4조 5,280억 원 ▲지역신용보증재단 신규 보증 12조 2천억 원 ▲기술보증기금 신규 보증 6조 원 등이다. 이는 전년 대비 확대된 규모로,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금융 안전망을 강화하려는 정부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올해 정책자금의 핵심 키워드는 디지털 전환·탄소중립·사회적 가치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ERP·MES 같은 디지털 시스템 도입, AI 바우처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노후 설비의 친환경 전환과 에너지 효율화 자금, 탄소감축 연계 보증 등이 활발히 지원된다. 중소기업 디지털·AI 전환 지원 예산은 3조 2,218억 원에서 3조 7,464억 원으로 16.3% 증가한 점도 눈에 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받고 싶어도 못 받는다”는 목소리가 많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정보 접근성의 한계다. 여러 부처와 기관에 흩어진 정보를 기업이 직접 탐색하고 이해하기에는 진입장벽이 높다. 둘째, 준비 부족이다. 사업계획서 미흡, 재무제표 불일치, 세무 미신고, 부채 과다 등으로 심사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반대로 정책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사전 준비와 전문가 조력을 강조한다. 예컨대 경기도의 한 외식업체는 창업 10년 차에 정책자금 8천만 원을 확보하고, 무상지원사업으로 키오스크를 설치해 연매출을 1억 5천만 원 이상 끌어올렸다. 반면 기술력이 뛰어나도 장부 미정리,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매번 심사에서 탈락한 기업도 존재한다.
정책자금은 결국 단기적 운영자금이 아니라 산업 구조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투자다. 정부는 디지털 경쟁력 강화와 저탄소 경제 전환을 위해 자금을 전략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에 발맞춰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기회는 준비된 기업에게만 돌아간다.

필자 소개
<김도윤 대표 / 경영컨설턴트>
SCC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 대표
미국 GLG컨설팅그룹 자문위원
창업진흥원 평가위원
국제컨설팅협회 전문위원
한국경제연합회 ESG경영컨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