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16일, 서울 송파구 메타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2025 미래교육 심포지엄’**이 교육계와 학계, 산업계 관계자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성료했다. 이번 행사는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이 주관하고 디지털리터러시협회와 메타코리아가 공동 주최했으며, 급변하는 AI 시대에 교사의 역할과 미래 교육의 비전을 논의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행사의 문을 연 것은 VR 아티스트 이재혁 작가였다. 그는 첨단 기술과 예술을 결합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교육자들에게 AI 시대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환기시켰다. 이어진 심포지엄은 다양한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으로 채워졌다.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의 강민석 장학사는 개회사를 통해 “AI로 인해 교육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교사들의 연구와 헌신은 여전히 학생들을 훌륭한 인재로 성장시키는 핵심 요소”라며 “교육지원청은 교사들의 노고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타코리아 이원희 이사는 “메타는 세계 최고 성능의 멀티모달 모델 ‘라마 4 스카우트’와 ‘라마 4 매버릭’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며, “AI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특정 집단이 배제되지 않고, 전 인류가 그 혜택을 공유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아주대학교 전 총장이자 수학자인 박형주 교수는 “AI 시대의 교사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미래세대를 창의적으로 이끌어 갈 멘토”라며, “AI를 배척하기보다는 활용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태석재단 구수환 이사장은 “AI가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은 인간만의 리더십”이라며, “특히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섬기는 자세의 서번트 리더십”이라고 강조했다.
행사의 기획을 총괄한 디지털리터러시협회 김묘은 대표는 “세계 AI 논의를 선도하는 메타와 함께 교사들을 위한 심포지엄을 마련해 뜻깊다”며, “교사들이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명”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리터러시협회는 지난해부터 메타 싱가포르와 공동으로 AI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왔으며, 이 성과는 향후 미국 AI 얼라이언스를 통해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AI 기술과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조화를 이뤄야 하는지를 조망하며, 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분명히 했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AI 활용 능력과 인간적 리더십이 결합될 때 진정한 미래 교육이 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본 행사는 교사들에게 AI 시대 교육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자리로 평가된다.
‘2025 미래교육 심포지엄’은 교육 현장에서 AI를 두려움이 아닌 도구로 활용하는 길을 제시했다. 기술 혁신의 물결 속에서도 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교사의 리더십과 헌신은 미래 세대의 성장에 핵심적이라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디지털리터러시협회
웹사이트: http://www.cdledu.org
사진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