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배우는 경영] “부지런한 조직이 강하다....소부유근(小富由勤)의 지혜로 본 지속 가능한 경영”

근면은 개인의 미덕을 넘어 조직 문화의 자산이다

작은 성과의 축적이 기업의 큰 도약을 만든다

부지런한 기업은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다

“큰 부자는 하늘이 내리고, 작은 부자는 부지런함에서 나온다.”
동양 고전 명심보감(明心寶鑑) 속 한 구절이 글로벌 경영 현장에서 다시금 빛을 발하고 있다. 화려한 혁신보다는 꾸준한 개선, 단기 이익보다는 장기적 신뢰를 선택한 기업들이 불확실성의 파도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챗gpt 이미지]

일본의 카이젠, 근면을 문화로 만들다

일본 나고야 인근의 한 공장. 오후 작업이 끝나갈 무렵, 직원들은 작업대 앞에 둘러앉아 ‘오늘의 개선’을 논의한다. “부품 상자의 위치를 조금 바꾸면 손동작이 줄겠다”, “포장 순서를 단순화하면 시간이 절약된다”는 제안들이 쏟아진다.

 

이러한 사소한 제안들이 곧 표준 작업 절차에 반영되고, 시간이 흐르면 생산 라인의 불량률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한다. 바로 도요타가 수십 년간 이어온 ‘카이젠(改善)’ 철학의 핵심이다. 현장 직원이 올린 작은 아이디어가 세계적 품질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독일 미텔슈탄트, 성실함으로 시장을 지키다

독일 남부의 한 중견 기계부품 회사. 이 기업은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틈새 강자다. 기자와 만난 경영진은 “우리의 비밀은 거창한 혁신이 아니라, 40년간 매일 조금씩 쌓아온 작은 개선”이라고 강조했다.

 

경기 침체기에도 인력 감축 대신 직원 재교육과 공정 개선에 투자했다. 위기가 끝난 뒤 경쟁사들이 시장 점유율 회복에 고전할 때, 이 회사는 꾸준히 유지한 품질과 신뢰 덕분에 주문이 오히려 늘었다. 성실한 운영과 장기적 관점이 불황 속에서도 경쟁력을 지켜낸 것이다.


 

작은 성과의 축적이 만드는 큰 도약

일본의 카이젠은 ‘작은 개선’이 모여 큰 성과를 낳는 전형적인 사례다. 현장 직원이 내놓은 소소한 제안이 1년 뒤에는 수천 건으로 누적되고, 불량률과 낭비를 크게 줄였다.

 

독일의 미텔슈탄트 역시 유사하다. 연구에 따르면, 독일 중견·중소기업의 54%가 신제품이나 신공정 혁신을 도입한 반면, 유럽 전체 중소기업 평균은 30%대에 그쳤다. 작은 개선의 빈도가 장기적으로 기업 체질을 바꾸고, 결국 세계적 경쟁력을 만든 셈이다.


 


부지런한 기업은 위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일부 일본 기업들은 빠른 정상화를 이뤄냈다. 평소 철저히 준비한 위기 대응 매뉴얼, 꾸준히 유지한 공정 관리와 현장 개선이 효과를 발휘한 것이다.

 

독일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도 많은 미텔슈탄트 기업들이 R&D 투자를 줄이지 않았고, 장기적인 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위기 속에서도 ‘부지런한 기업’이 흔들리지 않는 이유다.


 

고전의 지혜, 오늘의 경영을 비추다

명심보감의 가르침은 여전히 유효하다. 일본의 카이젠과 독일 미텔슈탄트의 경영 방식은 “큰 부자는 운명에 달렸으나, 작은 부자는 부지런함에 달려 있다”는 교훈을 현실에서 증명한다.

 

근면은 개인의 덕목에 머무르지 않고 조직의 문화가 되며, 작은 성과는 장기적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기업은 화려한 한 방이 아니라 ‘작은 부자’의 길을 걸은 조직이었다.

 

 

 

 

 

작성 2025.09.18 08:46 수정 2025.09.18 08:46

RSS피드 기사제공처 : 라이프타임뉴스 / 등록기자: 이택호 편집장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