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파도 - 불안이 몰려올 때 우리는 어떻게 흔들리는가

불안이라는 파도, 왜 그렇게 갑작스럽게 다가오는가

역사와 문학 속에서 발견되는 불안의 파도

파도 위에서 균형을 잡는 삶의 기술

 

불안은 마치 잔잔한 바다 위에 갑자기 일어나는 파도 같다. 예고도 없이 밀려들어와 우리의 마음을 뒤흔든다. 중요한 발표를 앞둔 순간, 낯선 공간에 홀로 서 있을 때, 혹은 예상치 못한 전화 한 통 앞에서 사람은 갑자기 불안의 파도를 맞는다. 이 파도는 단순한 기분의 변화가 아니라 신체와 정신을 동시에 압박한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손이 차가워지며, 생각은 통제력을 잃는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이 불안이 단순한 방해물이 아니라 때로는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경고 신호라는 사실이다.

 

 

역사와 문학 속에서 발견되는 불안의 파도
인간은 오래전부터 불안을 파도에 비유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마음은 바다와 같아 불안이 일렁이면 지혜도 가라앉는다”라고 말했다.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속 인물들은 불안의 파도에 휩쓸려 비극과 구원을 동시에 경험했다. 한국의 시인들도 마찬가지였다. 김수영은 “불안은 바람처럼, 파도처럼 사람을 흔들고 간다”라고 표현했다. 문학과 역사는 우리에게 알려준다. 불안은 인간이 결코 피할 수 없는 감정이며, 그 파도 속에서 인간은 더 깊은 자신과 마주한다는 것을.

 

 

전문가들이 말하는 불안의 작동 원리
심리학자들은 불안을 ‘생존의 경보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뇌의 편도체가 위험을 감지하면 신체는 곧바로 방어 태세로 돌입한다. 문제는 이 시스템이 종종 과잉 반응을 보인다는 점이다. 실제 위협이 없는데도 작은 자극에 큰 파도를 일으킨다. 정신의학자들은 이를 ‘과잉 경계 상태’라고 설명한다. 사회학자들은 현대 사회가 이 불안을 증폭시킨다고 지적한다. 끝없는 경쟁, 불확실한 경제, 끊임없는 연결을 강요하는 디지털 환경은 작은 파도를 거대한 해일로 키운다. 불안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현상이라는 주장도 여기서 비롯된다.

 

 

불안과 긴장으로 불안한 모습(제공=온쉼표저널)

 

 

파도 위에서 균형을 잡는 삶의 기술
불안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그 파도를 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명상이나 호흡법은 파도의 리듬을 느끼고 중심을 되찾게 한다. 일상에서의 작은 루틴—아침 산책, 저녁의 독서, 누군가와의 대화—이 파도에 맞서는 균형추가 된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정서 조절 기술’이라 부른다. 전문가들은 불안을 억누르지 말고, 받아들이고, 파도 위에서 균형을 찾으라고 조언한다. 결국 파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맞서야만, 우리는 그 너머의 고요한 바다에 닿을 수 있다.

 

 

불안을 통해 배우는 삶의 항해
인생은 끊임없는 파도의 연속이다. 불안을 피하려는 노력보다는, 파도 위에서 흔들리며 방향을 잡는 기술이 필요하다. 독자에게 묻고 싶다. 지금 당신의 마음을 흔드는 파도는 무엇인가? 그 파도를 부정하지 말고, 차라리 함께 흔들려 보라. 그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균형과 더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다.


 

작성 2025.09.18 21:17 수정 2025.09.18 21:17

RSS피드 기사제공처 : 온쉼표저널 / 등록기자: 장은순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