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PC 2025, 인간과 AI가 나란히 선 무대…프로그래밍의 새 시대 열리다

AI가 뛰어든 ICPC, 어떤 일이 있었나

GPT-5의 ‘퍼펙트 스코어’, 상징하는 의미

인간 팀의 성과와 도전

 

출처:ICPC NEWS님의 페이스북, ICPC 2025

 

2025년 국제 대학생 프로그래밍 대회(ICPC, 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월드 파이널은 단순한 학생들의 알고리즘 경연장이 아니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인공지능(AI) 모델이 인간 팀과 동일한 문제를 풀며 경쟁하는 실험 트랙(Experimental AI Track)이 마련됐다.

 

대회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구글 DeepMind의 최신 모델인 'Gemini 2.5 Deep Think'가 금메달 수준의 성적을 기록했고, OpenAI의 GPT-5는 무려 12문제 전부를 해결하며 ‘퍼펙트 스코어’를 달성했다. 인간 팀이 세운 최고 기록은 11문제였다. 이 사건은 단순한 대회 성적을 넘어, 프로그래밍이라는 지적 영역에서 인간과 AI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

 

1. AI가 뛰어든 ICPC, 어떤 일이 있었나

 

ICPC는 1970년대부터 이어져 온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생 알고리즘 대회다. 각국의 최정상급 학생들이 3인 1팀으로 참가해 5시간 동안 주어진 문제를 풀며 알고리즘, 수학, 프로그래밍 실력을 겨룬다.

 

2025년 월드 파이널에서는 특별히 마련된 AI 참가 트랙이 큰 관심을 모았다. AI 모델들은 인간 팀과 동일하게 12개의 문제를 제공받았고, 동일한 시간 제한 속에서 답안을 제출해야 했다.

 

DeepMind의 Gemini 모델은 12문제 중 10문제를 풀어내 금메달 수준에 해당하는 성적을 거뒀다. 특히 놀라운 점은, 인간 참가자 전원이 풀지 못한 난제 한 문제를 Gemini가 해결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AI가 단순히 인간의 학습 데이터를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사고 경로를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2. GPT-5의 ‘퍼펙트 스코어’, 상징하는 의미

 

그러나 대회의 가장 큰 화제는 OpenAI의 GPT-5였다. GPT-5는 12문제를 모두 해결하며 사실상 대회의 ‘비공식 1위’를 차지했다.

ICPC 역사상 인간 팀이 전 문제를 해결한 사례는 없었다. 최고 기록은 11문제로, 이번에도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대(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가 11문제를 해결하며 인간 팀 가운데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GPT-5는 이를 넘어서는 성적을 기록함으로써, 인간이 전통적으로 지켜온 ‘최고의 알고리즘 해결사’라는 자리를 위협했다.

 

전문가들은 GPT-5의 성과를 두고 “이제 AI는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니라, 독자적인 문제 해결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평가한다. 일부는 오히려 “인간이 AI를 통해 학습하는 새로운 교육 생태계가 열릴 것”이라고 전망한다.

 

3. 인간 팀의 성과와 도전

 

AI가 대회의 주목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인간 팀 역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대는 11문제를 해결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도쿄대, 칭화대, 베이징교통대 등이 금메달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인간 팀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인 알고리즘 설계와 팀워크 보여주며 여전히 경쟁력이 있음을 입증했다. 전문가들은 “AI가 최적의 답을 빠르게 찾아내더라도,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대응하는 능력은 인간의 강점으로 남아 있다”고 평가한다.

 

4. AI와 인간, 협력의 미래를 향해

 

이번 ICPC는 단순히 성적 경쟁을 넘어, AI와 인간이 함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일부는 AI를 정식 참가자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AI는 어디까지나 보조자 혹은 교육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제 출제 방식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앞으로는 AI도 풀기 어려운 문제를 설계하거나, AI와 인간이 협력해야만 해결 가능한 문제가 등장할 수 있다.

AI 윤리 문제 역시 중요한 화두다. AI가 사용하는 연산 자원의 규모나 학습 데이터의 투명성, 그리고 인간 학생들과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는지 여부가 논의될 수밖에 없다.

 

결론

 

ICPC 2025는 단순한 프로그래밍 대회가 아니라, 인간과 AI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현장을 목격한 사건이었다. GPT-5의 완벽한 성적과 Gemini의 창의적 문제 해결은 AI가 이미 인간과 대등하거나, 일부 영역에서는 앞서 나가고 있음을 증명했다. 그러나 동시에 인간 팀들의 활약은 여전히 빛났으며, 협력과 창의성이라는 인간 고유의 강점은 변함없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앞으로의 ICPC는 단순히 ‘누가 더 많은 문제를 풀었는가’를 넘어, AI와 인간이 어떻게 공존하고 협력할 것인가를 실험하는 장이 될 것이다. 프로그래밍의 미래는 이제 더 이상 인간만의 것이 아니며, AI와 함께 쓰는 새로운 언어로 재편되고 있다.

 

 

 

명인자 칼럼리스트 기자 88hagee@gmail.com
작성 2025.09.19 09:09 수정 2025.09.19 09:18

RSS피드 기사제공처 : AI지구백과저널 / 등록기자: 명인자 칼럼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