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늦가을로 접어든 11월 중순이다. 아파트 사잇길 이편저편의 나뭇가지들은 단풍잎들의 초상을 가다듬어 오색의 가을로 풀어놓고 있다. 며칠 전 인천대공원을 갔었다. 근처에 있는 수령 800년이 넘은 장수동의 은행나무를 보기 위해서.
팔백의 나이를 넘게 살아오면서 온갖 풍상을 겪고도 자연에 순응하는 자세는 과연 어떠한 것일까, 생각해 보았다. 모든 걸 내려놓고 비운 허심(虛心)의 마음일까, 자신마저 잊은 망아(忘我)의 경지일까. 의문의 순간에도 부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약할 때는 한 잎 두 잎, 거셀 때는 한꺼번에 우수수 떨어뜨리고 있었다. 주변에 몰려든 뭇사람들의 시선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근엄한 듯, 자비로운 듯한 품새에서 난 자연에 순응하며 낙하하는 질서의 이파리를 한 잎 두 잎 맘 속에 주워 담았다. 그리고 떨어지는 수많은 잎이 각각 혼자인 것을 알았다.
숲의 나뭇잎들이 각각 하나, 하나의 이파리라는 것. 저토록 웅장한 거목의 은행잎들은 같은 가지에서 함께 싹을 틔우고 때가 되어 함께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 같지만, 결코 제각각의 모습인 것이다. 이처럼 우리들도 부모와 형제자매, 또한, 자라고 살아오면서 부딪치고 만났던 수많은 만남의 인연들 속에서도 어느 누가 나를 대신해 아파하고 걱정하며 살아줄 수 있을까? 지금도 나뭇가지에 매달린 은행잎이나 떨어져 나뒹구는 잎들의 삶은 햇볕과 비바람, 괴롭히는 벌레로부터 밤낮 부대끼면서 각자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는데.
그렇기에 한 잎의 은행잎을 보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해 본 시간이었다. 때론 싸우기도 하고, 함께 웃고 사랑하면서 살아온 저 잎들의 생존의 의미를 멍하니 바라보면서 나 자신을 반추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시 바라보는 풍경, 땅 위로 나풀나풀 떨어지는 잎들, 저들은 어느 순간 나뭇잎으로 왔다가 지금, 이 순간 떨어지는 나뭇잎으로 가는 것일까? 어쩜, 대지에 묻히고 썩어지는 순간이 잊히는 순간이 아니라, 아프고 흔들린 생명의 몸짓 언어는 아닐까? 또한, 자연에 순응하면서 해와 별과 달처럼 우주라는 질서의 또 다른 언어는 아닐까.
그 무엇에도 구속됨이 없고,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비우고 버리면서 자연의 리듬에 맞춰 사라지는 은행잎, 세속의 욕망으로 가득 찬 지금의 내 모습을 뒤돌아보며 나뭇가지에 매달렸다 떨어져 내리는 이파리의 언어에서 내려놓음의 평온함을 다문다문 주어보았다.
난 팔백 년 거목의 은행나무 앞에서 하나의 상상력과 사유의 열매를 따내고, 비록 가을이라는 계절에 떨어져 소멸할지언정 잠시 머물렀던 지상의 천둥소리와 섬광, 한줄기 눈비를 머금었던 그의 몸에서 소멸이 아닌 생성되고 있는 은유 한 잎 손안에 쥐어보았다. 그리고 자연의 결에 따른 운율에 스스로 지금의 형상을 갖추고, 노란 감정과 사유로 자신만의 세계를 추구하며 한 생을 살다 저물어 가는 이파리는 지상에서의 삶이 도피가 아닌 또다시 생성하는 불멸의 흔적이라는 점 하나를 찍은 것이리라 믿었다.
자연의 계절은 시간을 다투지 않는다. 낮의 일출과 일몰, 밤의 별자리와 은하수의 흐름을 잘 익혀 적응해 간다. 그러나 은행나무 앞에 서 있는 난 식물이나 들녘의 벌레처럼 계절의 순환에 움직이고 있는 것일까? 분초 다툼을 하며 경쟁하는 삶에서 말이다.
눈앞의 은행나무는 푸르렀던 잎이 노랗게 물들어 떨어지지만, 다시 또 봄이면 싹을 틔운 사계의 순환을 맞이한다. 그 앞에 선 지금의 나는 한 잎의 나뭇잎이 지는 것을 보고 천하의 가을을 알아내는 시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과연 그러할 수 있을까? 의문 부호를 호주머니 속에 집어넣고 돌아서는 순간 머리 위로 노란 은행잎 하나 툭 떨어졌다. 화두처럼…
[홍영수]
시인. 문학평론가
제7회 매일신문 시니어 문학상
제3회 코스미안상 대상(칼럼)
제4회 한탄강문학상 대상
제7회 보령해변시인학교 금상
제6회 아산문학상 금상
제5회 순암 안정복 문학상
제6회 최충 문학상
시집 『흔적의 꽃』, 시산맥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