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양자암호통신 공동연구 MOU 체결

- 빅데이터 프라이버시 침해문제, 첨단 암호기술로 해결한다 -

[사진] 분당서울대병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업무협약식,사진=홍보팀제공

분당서울대학교병원(원장 백롱민)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최희윤)은 11월 28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의료정보 원격지 처리를 위한 양자암호 및 동형암호 연구와 관련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분당서울대병원의 의료 빅데이터 연구 및 인공지능 모형개발을 위해 KISTI의 국가슈퍼컴퓨터와 국가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활용하기로 협의했다. 이번 협약으로 분당서울대병원은 동형암호기술을 의료정보에 적용하고 국가슈퍼컴퓨터를 활용해 민감정보의 유출 없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모형을 연구하게 될 전망이며, KISTI는 국가슈퍼컴퓨터 및 양자암호 기반의 국가 과학기술연구망을 통해 도청이 불가능한 전송망을 제공하는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관련 공동연구와 각 기관 보유 인프라 공동 활용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양자암호는 안전한 통신을 위해 양자역학적 원리를 이용해 구축한 암호체계로, 양자 키 분배 기술이 대표적이다. 동형암호는 정보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연산을 했을 때의 결과가 암호화하지 않은 상태의 연산 결과와 동일하게 나오는 4세대 암호체계를 가리킨다.


이번 협약에 대해 분당서울대병원 백롱민 원장은 “의료 빅데이터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원이지만 빅데이터에 내재된 프라이버시 유출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며 “이번 업무협정을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빅데이터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의료빅데이터 초고속 연산에 필요한 국가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최희윤 원장은 “차세대 통신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기술과 4세대 암호인 동형암호 기술을 통해 KISTI의 국가슈퍼컴퓨터와 국가 과학기술연구망이 민감 데이터 연구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분당서울대병원과의 상호협력으로 KISTI가 운영 중인 국가 슈퍼컴퓨터와 국가 과학기술연구망이 분야별 민감데이터 원격지 처리에 확대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분당서울대병원은 데이터 중심 연구기반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센터와, AI센터, 정밀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크게 도약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끝>

최주철 기자
작성 2019.11.29 09:22 수정 2019.11.29 09:22

RSS피드 기사제공처 : 보훈보상뉴스 / 등록기자: 최주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해당기사의 문의는 기사제공처에게 문의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철비
연꽂
매미와 거미줄
오리부부
거미줄
왜가리 영토
무궁화
까마귀와 인삼밭
2025년 8월 5일
탁류
봉선화와 나팔꽃
러시아군 20%가 HIV 환자라고? 충격실태보고
일본해에서 중국러시아 합동훈련?!대체 무슨일?
트럼프 핵잠수함 배치명령! 미-러 긴장 최고조
베니스 난리 난 세기의 결혼식, 제프베조스와 로렌산체스 세기의 결혼식
목적이 서로 상충되는 교육제도 [알쓸신톡 EP.04]
탐구과목 통합? 현 고3의 의견 [알쓸신톡 EP.04]
산책길
우린 모두 하나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