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충성가

충성가 

 

대중가요가 유구하면 애창곡(愛唱曲)이 되고, 저항가요가 세대를 거치는 맥락(脈絡)으로 이어가면 절창곡(絶唱曲)이 된다. 이 노래를 단순 군국가(軍國歌)로 보는 곁눈질을 했다면, 눈동자를 정면으로 고정시키고 다시 바라보라. 민족의 절창이다. ‘초로가·독립군 양양가로도 불려지던, 작사 작곡가 불명의 이 노래 속에는 민족의 뜨거운 피가 흐르고, 남명 조식 선생이 주창하셨던 목숨을 내 건 나라사랑의 맥박이 뛰고 있다.  

 

을사늑약·고종양위·헤이그 밀사사건의 연장선에서 조선통감부로부터 해체당한 대한제국 군인들의 결기가 살아 있다. 이 노래는 그때로부터 이어진다. 만주벌판과 간도의 산자락, 충칭의 갈피 진 언덕 초막에서 독립군가·광복군가로, 해방광복과 건국 후에는 국방경비대가로, 6.25전쟁 중 학도의용군가로 진화(進化), 승화(承華)된다.  

 

인생의 목숨은 초로와 같고 / 이씨조선 오백년 양양하도다 / 이 몸이 죽어서 나라가 산다면 / ~ 이슬 같이 죽겠노라 // 이생의 목숨은 초로와 같고 / 고려 사적지는 양양하도다 / 인생의 목숨은 초로와 같고 / 이조 오백년은 양양하도다 / 이 몸이 죽어서 나라가 산다면 / ~ 이슬같이 사라지리라’(자료 편집)  

https://youtu.be/hSZy24abVFk 

 

어느 노병께서 환갑을 넘긴 아들에게 들려주신 6.25전쟁, 학도병 참전의 절규 같은 무용담을 듣고 막숨을 몰아쉬었다. 노병은 1950년 8월 부산진공고에 설치된 육군제2훈련소에서 M-1소총과 키를 잰 후, 학도병 대열에 합류했다. 총알이 부족하여 1개 분대를 세워 놓고, 1~2명이 시범사격으로 방아쇠를 당겼단다. 19508월부터 징집된 학도병들이 분산 투입된 전선은 다부동·유학산·Y고지·포항지역 형산강전투 등이다. 또 인천상륙작전 양동공격의 일환으로 장사동 상륙작전에 투입되기도 하였다.  

 

학도병은 모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북한군 기습남침 직전 1사단장에서 해임당하고 서울지역 S고등학교를 운영하던 K장군의 제자들로부터 태동되었음이 시기적으로 타당하다. 구국결사대, 진천지역에서 창설된 수도사단장으로 재소집 된 그를 뒤따른 학도들. 이어서 화개지구 전투·낙동강지역 전투·포항지역전투에서 붉은 피를 흘리며 공산군과 맞섰다. 그 대표자가 유서가 된 <피 묻은 편지>를 남긴 이우근 학도병이다. 당시 서울 동성중학교 3학년, 17. 1950810, ‘어머니 저는 사람을 죽였습니다. 상추쌈이 먹고 싶습니다...’어머님께 바친 편지의 주인공.  

 

6.25전쟁 당시이던 1951년 제주도 모슬포에 제1훈련소가 창설되기 전, 훈련소는 6~7개소, 북진공격을 하면서 논산에 제2훈련소가 창설된다. 이후 제1훈련소는 1956년에 해체되었고, 2훈련소이던 논산훈련소는 1999년 육군훈련소로 개칭된다. ‘충성가’, 이 노래 한 곡에는 대한제국군대로부터, 독립군·광복군·국방경비대·6.25전쟁 참전군인·학도병들의 애국열혈(愛國熱血)이 펄펄거리고 있다.

기고 : 유차영 시인, 한국콜마 상무이사

 





 



정명 기자
작성 2018.08.04 13:07 수정 2018.11.14 16:1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