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PC, 콘솔 등 다양한 플랫폼 2018년 국내 게임 산업 성장 이끌어

한국 게임산업 주력 부문은 모바일 게임




2018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8.7% 증가한 14조 2,902억 원으로 집계됐다. 수출액 또한 64억 1,149만 달러(한화 약 7조 546억 원)*로 전년 대비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모바일게임 매출액은 6조 6,558억 원으로 전체 게임산업 매출액의 46.6%를 차지하였으며, 전년대비 7.2%의 성장률을 보였다. 모바일게임은 지난 2017년 처음 PC게임 시장의 규모를 넘어선 후, 2018년에도 한국 게임 산업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했다. <리니지M>, <리니지2 레볼루션> 등 2017년에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던 게임들이 안정적인 운영을 지속한 동시에 <검은사막 모바일> 등 2018년 출시된 게임 또한 성공을 이어가며 2018년 모바일 게임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어 PC게임 매출액은 5조 236억 원(점유율 35.1%), 콘솔게임 매출액은 5,485억 원(점유율 3.7%), 아케이드게임 매출액은 1,854억 원(점유율 1.3%)을 각각 기록하며 모든 게임 플랫폼에서 전년 대비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C게임은 전년대비 10.6% 성장했다. 성장요인은 모바일게임과 유사하게 <배틀그라운드>, <던전앤파이터> 등 기존 인기 게임들의 안정적인 운영과 <로스트아크> 등 신작의 초반 흥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콘솔게임은 41.5%로 전년대비 큰 성장률을 보였다. 닌텐도 스위치의 판매 호조로 인해 콘솔게임 타이틀 구매가 늘어나고, <배틀그라운드>, <테라> 등 기존 게임 IP의 콘솔버전 출시가 성장에 힘을 더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1% 증가한 1,783억 6,8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6.3%로 상위 10개국 중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지난해와 동일하게 4위에 위치한다. 플랫폼별로 살펴보면, PC게임의 점유율은 13.9%로 상위 10개국 중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2017년 잠시 미국에게 내주었던 순위를 다시 회복했다. 모바일게임의 점유율은 9.5%로 상위 10개국 중 중국, 일본, 미국에 이어 지난해와 같이 4위를 기록했다.



2018년 한국 게임산업의 수출액 규모는 전년 대비 8.2% 증가한 64억 1,149만 달러(7조 546억 원)에 이르렀다. 수출액 비중은 중국(30.8%), 미국(15.9%), 대만/홍콩(15.7%), 일본(14.2), 동남아(10.3%), 유럽(6.5%)의 순서로 나타났다. 수입액 규모 또한 전년 대비 16.3% 증가한 3억 578만 달러(3,365억 원)로 집계됐다



다양한 산업 정보들을 수록한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는 올해부터 유상판매 대신 웹상에서 무료로 찾아볼 수 있게 됐다. 게임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에서 게임백서를 다운받을 수 있다.

















이해산 기자
작성 2020.01.07 11:31 수정 2020.01.07 11:3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해산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5일
2025년 4월 25일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