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선의 시를 걷다] 청산도

청산도 그 그리운 황톳길

여행은 늘 이런 기쁨이다.   

자연을 만나는 일, 살아 있거나 죽어 있는  

생성과 소멸의 교차점에 서 보는 것이다.  

바다를 향해 휴거하는 저 고기들  

바다 바람은 고기들을 구덕구덕 말리며  

세상과의 안녕을 고하지만  

바다와 고기와 완도항구는 하나의 풍경을 이루어 낸다.  

모든 삶과 죽음이 윤회를 거듭하듯이…….  


먼 우주

어딘가에서 지구를 향해 달려오다가

그물에 걸려 박제된 이티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나는 가여운 가오리를 보며

한참을 웃다가 또 한참을 고민했다.

정말 이티가 아닐까 하고…….




초여름의 보리는 참 곱다.

황금빛 머리채를 흔들어대며

바람과 한바탕 춤을 추고 난 들판으로

유월의 태양이 내린다.

섬에선 맥주보리도 저 홀로

익어가는 법을 알고 있다.

바다 향기에 취해 춤을 추다가

익다가 그렇게 자연이 되어 간다.

 

길 위에서 길을 찾아 떠난다.

황톳길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붙잡고

저 먼 곳으로의 그리움을 삭히지만

돌아갈 사람과 돌아올 사람들은 여전히

저 서편제 황톳길을 걸었을 것이다.

길 위의 길은 거기 늘 그렇게 있었을 것이므로…….



바다는

때때로 자신의 모습을 숨김없이 드러내 놓다가도

어느새 구름과 바람으로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는

저 먼 수평선 끝으로 사라져 버리곤 한다.

그래서 바다는 예측과 억측 사이에서

전설을 만들어 내고설화를 꿈꾸며

사람들의 환상의 중심에 서 있곤 한다.

 

혼자 떠난 여행은 그래서 즐겁다.  

바다를 거닐다가 심심하면 조개껍질을 줍고  

소라를 귀에 대면 바다 소리가 아련하게 들려온다.  

멀리 아주 먼 세상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소라껍질과 한바탕 신나게 놀았다.  



섬은 풍요롭다.

들판이 익어가는 소리가 풍요롭고  

동글동글 내리는 햇살이 풍요롭고  

그 들판을 내달리는 바람이 풍요롭다.  

그래서 섬은 하나도 외롭지 않은데

사람들은 섬이 외롭다고 한다

 

산책길에 소를 몰고 가는 할머니를 만났다.  

저 소는 몇 살이나 되었을까 궁금했다.

내심 마음속으로 열 살 쯤 되지 않았을까   

짐작하고 할머니에게 다가가 물어 보았다  

삼년 지났지라’ 

! 삼년밖에 지나지 않은

저 늠름한 소가 기특해서 한참이나 바라보았다.

아기소가 기다리는지 바쁜 발걸음을 옮기는

어미 소의 뒷모습이 애잔하다.

 

 

저녁 산책에서 돌아오며 만난 노을이 

붉게 타다가 바다 너머로 사라지고 있었다.  

바다로 달려가는 저 황토 언덕을 넘어

붉게 타는 노을을 바라보면서

게으르고 만만하고 시시껄렁한

섬의 시간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여행자의 농담도 자연이 되는 청산도에서 

나도 청산도가 되었는지 모른다.

 







편집부 기자
작성 2018.08.07 11:51 수정 2020.07.05 12:2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