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차영의 대중가요로 보는 근현대사]

희망가

희망가

 

 

희망가(希望歌)라는 이름으로 살아남은 이 노래는 우리 민족역사의 곡절(曲折)을 닮았다. 탕자자탄가(蕩子自嘆歌), 탕자경계가(蕩子警戒歌), 일요일가(日曜日歌), 금주창가(禁酒唱歌)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었다. 무엇을 자탄하고, 경계하자는 것이었나. 일제는 왜, 1933년 음반취재규칙으로 대중가요에 목 조르기를 하면서 이 곡을 금지의 모두목록(冒頭目錄)에 두었을까.  

 

작사자는 불분명하고, 곡은 19세기 미국인 제러마니어 잉갈스가 작곡한 찬송가 우리가 집에 돌아왔을 때’(When we arrive at home)의 멜로디, 김해에서 목회를 하고 있던 임학찬(1890~1952)이 곡을 붙인 노래란다. 편곡으로 보아도 무방할듯하다. 노래가 불리어진 시기는 1920년대 초반부터.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 푸른 하늘 밝은 달 아래 곰곰이 생각하니 /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 다시 꿈 같도다 //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 담소화락에 덤벙덤벙 주색잡기에 침몰하랴 /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  


▶  https://youtu.be/QNTBfdAUtxk


 

풍진세상(風塵世上), 부귀영화(富貴榮華), 춘몽(春夢), 담소화락(談笑和樂)이 노랫말 화두다. 풍진세상과 춘몽이 대비를 이루고, 부귀영화와 담소화락이 생각의 연줄을 이어준다. 대중가요가사는 그 시대 이념이다. 1919121일 고종황제께서 급서(急逝)하시고, 40일 만에 국장(國葬)을 거행한다. 장례일 2일 전 날이 3.1독립운동 민족거사 날이었다. 이 거대한 민족의 항거(1919.3.1.)를 기점으로 일제는 조선총독부에 대한 식민통치의 근간전략을 전환한다. 무단통치(武斷統治)에서 문화통치(文化統治). 허리에 긴 칼자루를 차고서만은 우리민족의 결기를 꺾을 수 없음을 통찰한 것이다.  

 

그래서 언론·집회·문화·문학 등 활동에 물꼬가 조금은 터였다고 해도 된다. ‘반달·오빠생각·봉선화등이 이 시기에 불려졌다. 어린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도입(소파 방정환 1899~1931, 손병희 사위)한 시기도 이 즈음이다. 노래의 이름은 희망가인데, 사실은 나라 상실 시기의 민족 절망가(絶望歌)라고 음유함도 가치가 있으리라. 이 노래는 1921년 민요가수 이채선(한성권번 기생)과 박류파가 그 시절과 어울리는이 풍진 세상을이란 제목으로 부른 뒤에 대중들이 통성(通聲)하게 되며, 1930년대 채규엽(1911~?)이 음반으로 발표를 했었다.  

 

이승만대통령 애창곡, 이 노래는 우리 대중가요사의 선구자다. 1925년 도월색(경기명창)시들은 방초’, 김산월(1898~?, 조선권번 기생)장한몽’, 1926년에 윤심덕(1897~1926)사의 찬미등과 같이. 희망가는 이름도 분분(紛紛)하듯이 유래에 대한 서설(絮說)도 많다. 박용구 선생의 일본 노래 새하얀 후지산 기슭, 박찬호 선생 외국곡설, 이상준 선생 청년경계가 설 등.  

 

임학찬은 김해에서 출생하여 16세에 대구계성학교에 입학하였다가 서울중앙학교로 옮겨 1910년에 졸업하였고, 김해와 마산에서 교편을 잡았다. 19193·1운동이 일어나자, 부산·마산·김해 등지에서 만세호창단을 조직하여 만세운동을 벌였다.


유차영 선임기자


 

 

정명 기자
작성 2018.08.10 14:54 수정 2018.08.10 17:3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