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계봉의 산정천리] 삼각산 원효봉에 올라 의상을 불러 보다

추석 코밑에 산동무들과 삼각산 초입에 들어서니 뭉게구름이 가을 햇빛을 헤치고 내려앉는다. 입추 지나 말복 가고 시원한 바람이 불더니 말복 지나 처서가 코앞에 와 여름이 문득 멈춘다.

 

백화사 가는 둘레길로 들어서니 칼날 같이 예리한 의상봉이 산객을 압도한다. 둘레길 따라 내시 묘역을 지나 공원 입구로 들어서면 계곡 왼쪽으로 어머니 젖가슴 같이 유순하고 편안한 봉우리가 산객을 반긴다. 하나는 화엄종(華嚴宗) 개창자 의상의 현신, 다른 하나는 정토종(淨土宗) 개창자 원효의 현신이다.

 

두 봉우리 사이 협곡에는 북한산 깊은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깨끗하고 차디찬 물이 역동적으로 흐른다. 통일 신라의 불교를 대표하는 원효와 의상, 서로 협력자이면서도 때로는 라이벌 이기도 한 두 거두의 치열한 논쟁을 식혀주는 냉각수인 셈이다.


같은 시대를 함께 살던 두 사람이 당나라 현장법사에게 수학하러 중국으로 가던 길에 일어난 원효의 일화는 유명하다. 한 밤중에 바가지에 담긴 물을 마신 후 아침에 일어나서 해골바가지에 담긴 썩은 물을 본 원효는 일갈한다.


아하! 세상만사 유심조(世上万事 唯心造), 사물 자체에는 정()도 없고, 부정(不淨)도 없는 것을,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 내는 것임"을 크게 깨달은 원효는 더 이상의 유학을 포기하고 홀로 되돌아온다.

그 후 원효는,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이라야 생사의 편안함을 얻느니라."라는 노래 무애가(無碍歌)를 지어 부르며, 스스로 군중 속에 뛰어들어 당시 왕실 중심의 귀족화된 불교 이론을 민중불교로 바꾸는 노력을 하게 된다.

 

한편, 원효와 헤어진 의상은 당나라로 건너가 8년 간의 수학을 마치고 귀국한다. "오묘하고 원만한 법은 증명할 길이 없는 것으로, 인연에 따라 이룰 수 있다."라고 설법하며, "체제 속의 질서 이론"을 체계화하여 귀족적 불교인 화엄종을 개창한다. 당시 신라는 통일 전쟁을 마치고 새로운 국가체제를 갖추어 나갈 시점으로, 원효의 자율성이 아니라, 의상의 체제질서 이론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터. 대중들은 원효의 사상을 신봉하고 따랐으나 지배층은 의상의 사상을 지지하고 받아들인다. 자연히 원효는 민중 속으로 떠돌게 되고, 왕실의 전폭적인 후원을 받은 의상은 해동화엄의 개조로 승승장구하게 된다.

 

상운사로 오르는 산길로 들어서자 갑자기 경사가 급해진다. 우리나라 불교 고승 두 분의 체면도 있는데 친견하러 가는 길이 그렇게 녹록해서야 될 법인가. 상운사를 지나고 20여 분 코를 땅에 박고 오르면 북문을 지나 원효봉 정상에 이른다.

 

눈앞에 환희로운 세상이 펼쳐진다. 녹음 사이로 군더더기 하나 걸치지 않고 속살을 드러낸 삼각산의 거대한 암봉들, 그것이 뿜어내는 신성한 기운이 웅장, 수려, 신비하다고 밖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

 

북한산 암봉군의 백미는 역시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가 연출하는 신비로움. 이 세 개의 화강암 덩어리야말로 말 그대로 압권이다.
절묘한 위치 배열. 상아빛 거봉 세 개가 바위 뿔 모양을 하고 하늘을 떠받치듯 솟아있는 산. 삼각산(三角山), 참으로 잘 지은 이름이다.

우리네 이웃같이 부드러운 원효봉 정상에서 협곡 너머로 손을 내밀면 손에 닿을 듯한 거리에 의상이 참선수도한 의상봉이 지호지간에 있다. 톱니처럼 날카롭고 험한 산세는 철두철미, 용맹 불퇴의 전형인 의상의 모습과 너무 흡사하다.


이곳에 서서 의상봉을 오래 보고 있노라면 정수리가 찡해지고 몸 전체가 저려오는 전율을 느낀다. 귀신을 보고 한 그림자에 외로이 싸우며, 죽음을 무릅쓰고 물러나지 않았다.” 고 갈파한 의상의 냉정한 통찰(洞察)’이 느껴지는 듯하다.


 

의상능선은 의상봉 오른쪽 대서문에서 의상봉-용혈봉-문수봉 까지 약 3.5km의 성곽구간을 이르는데, 북한산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구간이다.

원효가 감성적이라면 의상은 이성적이다. 치밀하게 준비하여 목적한 바를 이루고야 마는 의상에 비한다면, 원효는 설렁설렁 대다 실수만 하는 역할을 자주 맡는다. 그런데 그런 원효이기에 역설적으로 민중의 마음 깊숙이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이곳에 서니 원효에게는 직관(直觀)을 중시한 원효의 길이, 의상에게는 통찰(洞徹)을 중시한 의상의 길이 서로 다른 길을 걸으면서도 ‘대립 속의 조화’를 지향하였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불계(佛界)와 속계(俗界)의 경계는 있기나 한 것인가. 틀에 억매이지 않는 원효의 자유로운 사상은 스스로 파계하여 태종 무열왕의 딸 요석공주와 로맨스를 만들어 아들 설총을 낳고, 방방곡곡 구름처럼 떠돌며 불교의 진리를 설파한다.


의상이 참선수도한 의상봉 아래 대가람 국녕사의 대불이 원효봉에서도 잘 보인다. 하산 길에 원효가 참선수행한 절집 원효암에 들른다. 가건물 같은 작은 법당 하나와 판잣집을 겨우 면한 요사채 한 채가 원효봉 암벽에 의지하여 둥지를 틀고 있다.

 

산봉우리와 절집만 보고 원효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사상'과 의상의 '체제 속의 질서이론'으로 단정해버리면  지나친 비유일까. 

 

다음 산행은 의상봉에 올라 원효를 불러 보기로 하고 산동무들과 가을빛 짙어가는 서암문을 나선다.

 


여계봉 선임기자


편집부 기자
작성 2018.09.23 12:07 수정 2018.09.23 13:4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3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산그리메님 (2018.09.25 20:02) 
원효봉
중고 역사사간에 배웠던 의상과 원효대사를 북한산에 가면 만나볼수 있군요. 기사보고 많은것을 알게 되었어요^^
입니다.
댓글 수정-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옛골님 (2018.09.25 18:01) 
삼각산
아무 생각없이 올랐던 원효봉과 의상봉에 이런 사연이 있었네요. 우리 불교사를 공부하고 갑니다. 기자님 감사해요.
입니다.
댓글 수정-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Cj0323님 (2018.09.25 10:31) 
멋진 산행글 잘읽고갑니다^^
좋은글이네요~~
입니다.
댓글 수정-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