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문의 난중일기 「쇄미록」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코로나19의 일상과 같으면서도 달랐던 임진왜란의 나날들

사진=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2020.10.13.() ~ 2021.3.7.()까지 특별전 오희문의 난중일기 '쇄미록'-그래도 삶은 계속된다.를 개최한다. 조선 중기의 양반 지식인 오희문(吳希文, 1539~1613)임진왜란(1592~1598)을 몸소 겪으며 93개월(1591.11.27.~1601.2.27.) 동안 거의 매일 일기를 기록하였다. 그 일기, 쇄미록집중 조명한 이번 특별전은 7년 전쟁의 참상과 지옥 같은 현실 속에서도 지속된 인간 삶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자리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는 2020년 가을 우리가 처한 현실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진주박물관이 지난 2018년 새롭게 역주한 쇄미록(8사회평론아카데미) 출간을 계기로 기획되었다. 미증유의 전란 속에서 일기를 쓴 오희문은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였던 점에서는 평범한 양반이다. 그러나 오희문의 큰아들 오윤겸(吳允謙, 1559~1636)은 우계 성혼의 고제(高弟)로 인조 대 영의정을 지냈으며, 손자인 오달제(吳達濟, 1609~1637)는 병자호란 때 절의를 지키다 청나라에 끌려가 죽은 삼학사 중 한 사람으로 청사(靑史)에 길이 이름을 남겼다. 이후 큰아들 오윤겸의 호()를 딴 해주 오씨 추탄공파(楸灘公派)의 후손들은 조선 후기에 잇따라 관계에 진출하면서 서인(소론)의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런 배경으로 오희문이 남긴 쇄미록에는 전쟁과 관련된 기록은 물론 사노비, 음식, 상업, 의료 등 16세기 말 사회경제사와 생활사 관련 내용이 풍부하다. 임진왜란 당시 쓰인 다양한 기록물과 차별화되며 더 중요하게 평가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지배계층이었던 양반과 이 시대를 특징짓는 이른바 양반사회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쇄미록 만큼 도움이 되는 책도 없다.

 

이처럼 중요한 자료이지만, 기록물 한가지로 특별전을 기획한 시도는 흔치 않았다. 이번 쇄미록 특별전시는 일반적인 고서(古書) 전시를 탈피하여 쇄미록 책 자체와 여기에 실린 다채로운 내용을 관람객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수치를 활용한 다양한 도표와 디지털 영상물 및 그림 제작 등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였다.

    

쇄미록의 주요 장면은 수묵인물화가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신영훈 작가의 21컷 그림으로 담아내었다. 93개월 동안의 전반적인 내용을 그림책을 보듯 일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람이 끝난 후 주요 그림들을 전통제책법인 오침안정법으로 묶어 가져갈 수 있도록 체험 공간도 마련하였다. 관람객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오희문의 인물 관계도를 게임 요소를 곁들인 터치스크린 콘텐츠로 제작하였다.

 

무엇보다 매일 일기를 쓴 기록하는 오희문을 묘사한 프로젝션 맵핑 영상과 가시나무를 오브제로 임진왜란의 고통과 고난을 표현한 프로젝션 맵핑 영상. 타임머신을 타고 16세기 말 오희문이 살았던 시대로 날아가 장남의 과거급제막내딸의 죽음쇄미록의 결정적인 장면을 감상하며 오희문과 희로애락을 나눌 수 있는 인터렉티브 가상현실(VR) 영상 등은 이번 특별전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전시품으로는 오희문의 초상, 그의 셋째아들 오윤함의 초상, 오희문과 해주오씨 묘지명 등이 선보인다. 특히 오희문의 초상은 해주오씨 추탄공파 종중에서 권오창 화백에게 의뢰해 새롭게 제작하였다. 쇄미록1~7책은 한 책씩 살펴보면서 오희문의 숨결을 느껴 볼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 이외에도 임진왜란 시기 중요한 개인일기로 남아 있는 김용 호종일기(보물 제484), 조정 임진란 기록 일괄(보물 제1003), 노인 금계일기(보물 제311) 등도 커다란 볼거리가 될 것이다.


전시 도록은 특별전이 개최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글에 이어 쇄미록의 서지학적 가치를 다룬 장과 전쟁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93개월 동안의 여정 등 6개 주제로 재구성한 글 등 모두 7장으로 구성하였다. 오희문과 관련된 주요 일지와 생일제사24절기 등 1년의 주요 행사를 담은 달력, 여정표, 쇄미록 수록 교서나 격문 등의 주요 문서 목록 등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특별전을 준비하며 방대한 쇄미록의 모든 것을 잘 정리한 안내서로 준비하였다.

 

오희문은 전쟁으로 어렵고 힘든 날을 보내야 했지만 남편으로, 아버지로, 아들로, 주인으로, 가장으로서 여러 역할을 해내며 16세기를 살았고 그 하루하루를 일기에 담아 오늘에 전했다. 420여 년이 지난 지금, 새롭게 시도한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잠시나마 코로나19의 힘든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희망을 꿈꿔보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서문강 기자


서문강 기자
작성 2020.10.15 09:29 수정 2020.10.15 10:3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러시아군 20%가 HIV 환자라고? 충격실태보고
일본해에서 중국러시아 합동훈련?!대체 무슨일?
트럼프 핵잠수함 배치명령! 미-러 긴장 최고조
베니스 난리 난 세기의 결혼식, 제프베조스와 로렌산체스 세기의 결혼식
목적이 서로 상충되는 교육제도 [알쓸신톡 EP.04]
탐구과목 통합? 현 고3의 의견 [알쓸신톡 EP.04]
산책길
우린 모두 하나
전통
전통
하늘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전통복장
전통의 힘
여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