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우리 모든 코스미안의 미학

이태상

삶은 메아리.

네가 노래 부르는 대로 메아리로 돌아오지.

네가 뿌리는 대로 거두게 되지.

네가 주는 대로 받게 되지.

네게 있는 대로 남에게서 보게 되지.

기억하게나, 삶은 메아리란 걸.

언제나 네게로 돌아온다는 걸.

그러니 선행을 행해야지.

 

- 작자 미상

 

Life is an echo.

What you send out, comes back.

What you sow, you reap.

What you give, you get.

What you see in others, exists in you.

Remember, life is an echo.

It always gets back to you.

So give goodness.

 

- Unknown

 

그 누군가가 (영어로) 말하지 않았던가? “설명한다는 건 (그 내용을) 감소(減少)시키는 것이라고. Didn’t someone say in English that “to explain is to reduce?”

 

이는 우리 옛시조에도 있는 말이다. “말로써 말이 많으니 말 많을까 하노라.” ‘말하면 잔소리란 뜻으로. There is a ‘sijo’ (one of the traditional types of Korean poem) verse: “With words one too many, it becomes too wordy.”

 

In Korean, we say that ‘it’s only nagging and nitpicking to utter a word as a killjoy or a spoiler, meaning that it should go without saying, needless to say, to avoid redundancy.

 

시인 김소월(1902-1934)은 그의 시 초혼(招魂)에서 절규(絶叫)한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중(虛空中)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主人)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해는 서산(西山)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In his peom “Evocation,” Korean poet Kim So-Wol(1902-1934) exclaims:

 

Evocation

 

A name shattered to pieces!

A name scattered in the void!

A name that never replies!

A name that I’ll die calling!

 

The one word left in my soul!

To the last, I couldn’t pronounce.

My beloved!

My beloved!

 

The red sun hovers over the hill,

And the deer moan woefully.

I’m calling your name

On a lonely hill.

 

I call your name in great sorrow.

I call your name in deep sorrow.

My voice reaches towards the sky,

But the sky is too far from the earth.

 

Turn me into a stone,

I’ll call your name till I die.

My beloved!

My beloved!

 

이 김소월의 절창(絶唱)과 극히 대조되는 칼릴 지브란(Kahlil Gibran 1883-1931)방랑자(The Wanderer, 1932)에 나오는 사랑의 노래(The Love Song)’가 있다.

 

어느 한 시인이

사랑의 노래를 지었다.

지어놓고 보니

한 편의 아름다운 시였다.

그래서 이 시를

여러 장 만들어서

그의 벗들과

아는 사람들에게 보냈다.

 

이 시를 받아본 사람들 가운데는

산 넘어 또 너머

저 먼 산골짜기 마을에 사는

시골 처녀가 있었다.

시인이 딱 한 번

만나 본 적이 있는 처녀였다.

 

며칠이 지나

이 처녀의 편지를 갖고

사람이 찾아 왔다.

보내주신 사랑의 노래

깊은 정을 느꼈습니다.

부모님의 승락을 얻었으니

어서 오셔서

혼인 날짜를 잡고

잔치를 베풀어 주셔요.”

 

시인은 답장하기를

그대에게 보낸 시

사랑의 노래

한 시인의 가슴에서

그냥 흘러나온

사랑의 노래일 뿐

아무 남자라도

아무 여자에게나

부를 수 있는

그런 노래라오.”

 

처녀가 회답하기를

빈말로 사람을 속이는

거짓말쟁이 위선자,

이날로부터 나 죽는 날까지

나는 시인을 저주할래요.”

The Love Song

 

A poet once wrote a love song and it was beautiful.

And he made many copies of it, and sent them to his friends

and his acquaintances, both men and women, and even to a young woman whom he had met but once, who lived beyond the mountains.

 

And in a day or two a messenger came from the young woman bringing a letter. And in the letter she said, “Let me assure you, I am deeply touched by the love song that you have written to me. Come now, and see my father and my mother, and we shall make arrangements for the betrothal.”

 

And the poet answered the letter, and he said to her, “My friend, it was but a song of love out of a poet's heart, sung by every man to every woman.”

 

And she wrote again to him saying, “Hypocrite and liar in words! From this day unto my coffin-day I shall hate all poets for your sake.”

 

이상과 같은 칼릴 지브란의 사랑의 노래에 나오는 처녀처럼 나도 어려서부터 너무 순진했었던 것 같다.

 

이때로부터 글 잘 쓰는, 말 잘하는 이들이 글로만 말로만 그럴듯하게 때우는 그야말로 우리나라 속담에도 있듯이 인생을 수박 겉핥기식으로 사는 사람들이 아닌가 의심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거짓말쟁이 글쟁이 말쟁이가 되느니 그보다는 탁상공론이 아닌 행동파,’ ‘삶쟁이가 되어 실제로 아름답고 순수하게 살아보겠노라. 말장난 글장난이 아닌 참사랑을 하면서 열심히 삶을 살아보겠노라 굳게 마음먹었다. 말하자면 칼릴 지브란의 선구자(The Forerunner, 1920)에 나오는 시인들(Poets)’ 중 네 번째 시인이 되기로 결심을 했다.

 

네 사람의 시인이

한 잔의 술을 놓고

테이블에 둘러앉았다.

 

첫 번째 시인이 말하기를

내 두 눈 외에

또 한 눈으로 보니

이 술의 향기가

깊은 산 숲속에서

떼를 지어 나는

한 무리의 새구름 같이

떠도는구려.”

 

두 번째 시인이

고개를 들고 말하기를

당신이 말하는

그 안개구름같이

떠도는 새들이

부르는 노래가

네 귓속에 들리는구려.

이 신비로운 노랫소리가

내 마음 사로잡기를

한 떨기 장미꽃이

그 잎 속에 벌을 잡아

가두듯 하는구려.”

 

세 번째 시인이

지그시 눈을 감고 말하기를

그렇고말고

내 손에 잡히는구려.

당신들이 말하는

그 새들의 날개가

잠자는 숲속의

요정들 숨결처럼

내 손가락 마디마디에

간지럽게 와 닿는구려.”

 

그러자 잠자코 있던

네 번째 시인이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테이블에 있는

술잔을 번쩍 들고 말하기를

내 다정한 벗들이여,

내 눈과 귀와 손끝이

어둡고 무뎌서인지

난 당신들처럼

이 술의 향기도

노랫소리도 숨결도

보고 듣고 느낄 수가 없구려.

오로지 이 술 자체만

감지할 뿐이오.

그러니 난 이 술을

마셔봐야겠소.

그래서 내 감각도

당신들처럼 날카로워져서

당신들이 맛보는

그 황홀지경에

나도 한번 올라보게 말이라오.”

 

이렇게 말하면서

술잔을 입에 대고

잔에 담긴 술을

한 방울 남김없이

그는 쭈욱 다 들이켰다.

 

이를 바라보는

세 시인들 눈에는

증오심에 찬

갈증이 타올랐다.

 

Poets

 

Four poets were sitting around a bowl of punch that stood on a table.

 

Said the first poet, “Methinks I see with my third eye the fragrance of this wine hovering in space like a cloud of birds in an enchanted forest.”

 

The second poet raised his head and said, “With my inner ear I can hear those mist-birds singing. And the melody holds my heart as the white rose imprisons the bee within her petals.”

 

The third poet closed his eyes and stretched his arm upwards, and said, “I touch them with my hand. I feel their wings, like the breath of a sleeping fairy, brushing against my fingers.”

 

Then the fourth poet rose and lifted up the bowl, and he said, “Alas, friends! I am too dull of sight and of hearing and of touch. I cannot see the fragrance of this wine, nor hear its song, nor feel the beating of its wings. I perceive but the wine itself. Now therefore must I drink it, that it may sharpen my senses and raise me to your blissful heights.”

 

And putting the bowl to his lips, he drank the punch to the very last drop.

 

The three poets, with their mouths open, looked at him aghast, and there was a thirsty yet unlyrical hatred in their eyes.

 

, 그래서 미국의 철학자 사상가 시인 수필가 에세이스트 랠프 월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1803-1882)도 이렇게 말했으리라.

 

네가 어떤 언어로 무슨 말을 해도 너 이상의 말을 할 수 없다. Use what language you will, you can never say anything but what you are.”

 

, 또 그래서 미국 작가 프레데릭 뷰코너(Frederick Buchner(1926 - )는 이렇게 말했으리라.

 

이 지상에서 우린 단 한 번의 삶을 산다. 이 한 번의 삶이 충분하든 안 하든 간에, 명백한 것은, 최소한 이러한 삶을 우리 각자가 가능한 한 용감하고 아름답게 충만히 살아 만끽하지 못한다면, 이 얼마나 바보스러운 일이랴. One life on this earth is all we get. Whether it is enough or not enough, and the obvious conclusion would seem to be that at the very least we are fools if we do not live it as fully and bravely and beautifully as we can.”

 

그렇다면 말 아닌 삶 자체만으로

그 존재감의 미덕(美德)이 있으리!

그리고 사랑만이 그 사랑만으로 족하리!!

이것이 우리 모든 코스미안의 미학(美學)이어라!!!

 

If so, may no words be the presence!

And may love be enough unto itself!!

Let this be the aesthetics of us all Cosmians!!!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1230ts@gmail.com

 

전명희 기자

 

 

 

 

 

 

 

 

 

 

 

 

 


전명희 기자
작성 2020.12.17 10:03 수정 2020.12.17 11: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산책길
우린 모두 하나
전통
전통
하늘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전통복장
전통의 힘
여군
[ECO IN - TV] 20250605 세계환경의 날 지구살리기+나무심..
[ECO IN - TV] 2024 환경공헌대상 초대 도션제 회장 #sho..
ai한연자시니어크리에이터 빛나는 인생마실 #한연자 #ai한연자 #시니어크..
여름은 춤
2025년 8월 1일
전통의상
2025년 8월 1일
군인제기차기
홍천강 맥주축제
암환자의 체중관리. 유활도/유활의학
사슴벌레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