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여자 슬픈 사연 들어보세요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사진=국립한글박물관

한국국학진흥원과 국립한글박물관은 내방가사 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발간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영남 지역의 종가에서 기탁한 내방가사 자료 약 330여 건을,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약 260여 건을 소장하고 있으나 그동안 개별 소장품들이 연구된 적이 없었다.

 이 책은 양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주요 내방가사 유물을 중심으로 내방가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책으로 펼쳐 낸 것으로 이를 토대로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올해 10월 내방가사를 주제로 한 기획특별전을 개최할 예정이며, 한국국학진흥원은 향후 내방가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데 기본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4년 개관 이래 한글문화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기획특별전을 개최해 왔으나, 고전시가의 세부 갈래를 하나의 전시 주제로 삼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고전문학·국어학·서예 등 각 분야의 전문가 11인이 주제별로 내용을 집필하여 내방가사 속 다양한 주제를 발굴하고 전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에서는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내방가사 자료를 중심으로 고전시가 전공자 8, 서예 전공자 1, 국어학 전공자 2인이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는 영남 지역의 내방가사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주제들을 균형 있게 수록하였다.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자기 인식, 현실 인식 등 여성들이 생각하고 고민해온 삶의 생생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으며 내방가사에서 쓰인 한글 표기 및 어휘의 특성, 민체(民體)의 특성 등 한글의 언어적·시각적 표기 체계도 함께 소개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서의 표지디자인에 활용된 <시골 여자 셜은 사정>은 근대전환기 유학 간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은 여성의 한탄을 담고 있는 가사작품이다. 근대전환기 시대 담론이 대체로 도시와 신여성에 집중된 데 비해, <시골여자 셜은 사정>에는 이와 상반되는 시골 구여성에 대한 조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찍이 주목을 받아 왔으며, 1935년에 필사된 작품이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작품에 대한 문학적·언어학적 분석 또한 연구서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이 살았던 삶의 생생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자 한글문화자원으로서 가치가 크며, 여성들이 창작과 전승의 주체가 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단 여성문학이다. 오늘날도 창작·전승되고 있는 장르로 다양한 소재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를 통해 일반인들에게도 흥미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방가사 공동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 전국의 주요 도서관에서 열람이 가능하며 국립한글박물관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정민 기자
작성 2021.01.15 11:22 수정 2021.01.15 11:29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자유발언] 마약과 비행청소년 문제의 심각성
광안리의 아침
2025년 8월 12일
또랑
연꽃
흰새
개구리밥
2025년 8월 10일
유활파워/류카츠기치유/유활의학
오십견사례
행운의 네잎클로버
마법같은 미용과 건강 비법 공개.️유활미용침/1권-혈(穴), 2권-선(線..
중국로봇백화점 오픈! 인간 대체가 시작된다
충격적 몸무게, 케이트 미들턴 이 위험하다?!
2026년 국립목포대학교 담양캠퍼스 스마트농수산융합학과 수시학생모집
철비
연꽂
매미와 거미줄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