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구조대 작년 한 해 8만6천여 명 구조

구조활동 2019년 대비 7.4% 감소한 66만여 건

사진=소방청


소방청은 지난해 구조활동을 분석한 결과 총 838,194건 출동해 665,744건을 처리했으며 86,714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이것은 하루 평균 2,296건을 출동해서 1,824건을 처리했으며 238명을 구조한 것이다. 국내 인구 78명 중 1명이 119구조대의 도움을 받은 비율이다.


2019년에 비해 구조출동은 6.2%(55,412), 구조건수는 7.4%(53,484) 구조인원은 13.2%(13,208)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른 유동 인구 감소와 길었던 장마로 인해 벌집 제거 출동(31,352, 21%), 화재사고(5,200, 5.5%) 등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실종자 수색과 인양 등의 수난사고는 전년도에 비교해 41%(3,61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 구조 건수는 전년도와 같이 벌집 제거가 20%(133,1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화재사고 13.4%(89,251), 교통사고 9.4%(62,481) 등의 순이었다. 사고장소별로는 공동주택 27.1%(180,697), 도로철도 18.8%(125,349), 단독주택 12.8%(85,035) 등의 순으로 주거시설에서의 안전사고와 도로상 교통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기간별로 보면 8월이 17.3%(115,266)로 가장 많았고, 912.7%(84,756), 711.5%(76,374) 순이었다. 7월부터 9월까지 구조 건수가 전체의 41.5% 정도를 차지했다. 요일별로는 토요일에 111,765(15.5%)으로 가장 많았고 목요일이 98,086(13.6%)으로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98,885(23.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서울 143,885(17.2%), 경북 53,039(7.1%), 경남 45,930(7.1%) 등의 순이었다. 서울·인천 등 수도권에서 전국의 44.2% 정도를 차지했다.


소방청 배덕곤 119구조구급국장은 지난해에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피해가 컸던 원인을 분석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명 기자
작성 2021.01.18 09:44 수정 2021.01.18 09:4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정명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자유발언] 마약과 비행청소년 문제의 심각성
광안리의 아침
2025년 8월 12일
또랑
연꽃
흰새
개구리밥
2025년 8월 10일
유활파워/류카츠기치유/유활의학
오십견사례
행운의 네잎클로버
마법같은 미용과 건강 비법 공개.️유활미용침/1권-혈(穴), 2권-선(線..
중국로봇백화점 오픈! 인간 대체가 시작된다
충격적 몸무게, 케이트 미들턴 이 위험하다?!
2026년 국립목포대학교 담양캠퍼스 스마트농수산융합학과 수시학생모집
철비
연꽂
매미와 거미줄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