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고등어‧오징어, 최첨단 장비로 찾아낸다

음향으로 수중 수산자원 현황 파악, 체계적인 수산자원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

사진=해수부



해양수산부는 올해 최첨단 조사연구장비를 활용한 음향 자원조사를 5회에 걸쳐 실시하여 수중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주요 수산자원의 분포밀도와 현존량 등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수산자원 고갈 위기에 대응하여 2019수산혁신 2030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오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우리나라 수산자원을 해역별, 어종별로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수산자원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저층트롤어구를 이용하여 해저면 부근에 서식하는 류를 어획하는 방식으로 수산자원조사를 시행해 왔기 때문에, 층이 수중에서 빠른 속도로 무리지어 이동하는 고등어나 살오징어 같은 중층성 수산자원의 분포밀도 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1월 취항한 국내 최대 규모의 수산과학조사선인 탐구 23를 활용하여 올해 더욱 정밀한 음향자원조사를 시할 계획이다. 올해 조사는 3월 초를 시작으로 4, 7, 9, 10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과학어군탐지기를 통해 발신하는 음파가 바닷속 어류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통해 어종별 분포밀도를 확인하고 딥비전(Deep Vision)장치로 영상을 촬영하여 어종을 식별하게 된다. 또한, 음향 탐지나 영상 촬영이 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유전학적 분석연구를 함께 병행한다. 이 연구 방법은 해당 어군이 있는 수심의 해수를 채취해서 유전자를 분석하여 어종을 판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국민들이 즐겨먹는 수산물인 고등어와 살오징어 등이 이동하는 해역을 따라 음향자원조사를 추진하여 어종별 음향신호를 분석하고, 어종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음향특성값을 추출하여 계절별해역별 분포밀도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조사과정에서 사선은 이동하는 수산자원의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조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수직적인 층별 분포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수산자원의 현존량을 더욱 정밀하게 추정하여 어종별 자원상태에 맞춘 수산자원 관리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신뢰도 또한 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조사 결과는 한일 어업 협정에 따른 국가 간의 어업 분쟁을 해결하는 데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2.04 10:26 수정 2021.02.04 11:06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장재형목사 - 옥합을 깨뜨린 사랑
신검단 로열파크씨티2ㅣ 약 8천만원 상당 풀옵션 무상제공 #신검단로얄파크..
고양 더샵 포레나ㅣ GTX-A 대곡역 이용시, 서울역 12분· 삼성역 1..
유활의학 마크할용 뇌기능 활성화법
열병식에 등장한 여성민병대, 천안문 들썩!
이효석
아기 고양이들
2025년 8월 30일
채송화
349.친일파 신태악#shorts
이완용은 명함도 못내민다. 최악의 친일 악마 #밀정 #전종형 #친일파
안중근이 이토히로부미 쏘자 조선 왕의 충격적 행동 ㄷㄷ #history
자연과 인문
나팔꽃
도라지꽃
엄마 닮은 아기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