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예측·분석센터는 오는 19일(금)과 20일(토) 강원 영동지역에 10∼20m/s의 강풍이 불고, 순간최대풍속이 30m/s 이상의 거센 바람이 예상됨에 따라 대형산불위험예보를 발령하였다. 경보는 강원도 동해, 삼척이며 주의보는 고성, 속초, 양양, 강릉, 태백, 인제, 정선, 경북 봉화, 울진, 영덕, 영양, 포항, 안동, 청송, 울진, 경남 고성, 부산이다.
동해안 지역 산불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18일 오후부터 산불위험지수 단계가 상향됨(낮음→다소 높음)에 따라 산불발생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오는 19일부터 전형적인 영동강풍(양간지풍)의 영향권에 놓이게 돼 산불 발생 및 확산의 위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상청은 강원 영동에 건조경보, 동해안에는 건조주의보를 발효하였고, 향후 3일 동안 강설 및 강우예보가 없다고 하였다. 이에, 더욱 건조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불씨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건조특보 발효지역 경보는 강원(삼척·동해·강릉·양양·고성·속초평지), 주의보는: 울산, 부산, 서울(동남권, 동북권), 경남(밀양, 김해, 창원), 경북(북동산지, 울진·영양평지, 경주, 포항, 영덕, 청송, 안동, 예천, 경산), 강원(북부·중부·남부산지, 태백), 경기(성남, 구리) 등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의 연구결과, 산불 확산속도는 풍속 6m/s, 경사 30°의 조건에서 무풍, 무경사 조건과 비교해 약 79배까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안희영 산림재해예측·분석센터장은 “이번주 금요일부터 영동지방은 영동강풍(양간지풍)의 영향권에 놓임에 따라 고온건조한 돌풍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작은 불씨도 대형산불로 번질 위험이 높으므로 산림 가까운 곳에서 쓰레기나 농업 부산물을 태우는 것을 자제하여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