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연안에서 새로운 해양생명자원 10종 발견

새롭게 발견된 선형동물, 독도 연안 생태계의 먹이순환에 중요한 역할

사진=해수부


지난해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독도 주변해역 미발굴 해양생물 확보 및 분류연구를 통해 해양생명자원 10종을 새롭게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해양수산부가 밝혔다.

 

독도는 지정학적으로 해류의 주요 이동경로에 위치하여 계절별로 한류와 난류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해양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해역으로 알려 있어, 국가 해양생물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유용한 해양생명자원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2016년 독도 시범조사를 시작으로 해마다 독도 해역에 서식하는 해양생명자원을 발굴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작년에 수행한 조사를 통해 선형동물 신종후보 8종과 미기록종 1(Paracanthonchus perspicuus, Kito, 1981), 미삭동물(Urochordata) 기록종 1(Salpa maxima, Forskål, 1775 큰살파) 등 총 10종의 새로운 해양생명자원을 발굴하였다.

      

9종은 약 1cm 이하 크기의 선충류로, 바다의 바닥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동물 중 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많은 약 80~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원생동물이나 박테리아를 섭취하여 바다의 바닥인 저서생태계의 먹이순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그간의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독도연안에 서식하는 해양무척추동물, 어류, 해조류, 미생물 등 총 1,103종의 독도 자생해양생물종 목록집을 발간하였고,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MBRIS, www.mbris.kr)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또한 이번에 새롭게 밝혀진 해양생명자원 10종은 국제적으로 신종·미기록종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문도 투고할 계획이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21.02.26 11:09 수정 2021.02.26 11:2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몽골의 야생, 독수리, 매
아빠와 썰매타기
이럴수가~기절초풍!
#쳇GPT, 1분만에 #AI 만드는 내얼굴!
국수가 적당하게 익었을때는 둥근 회전모양으로 생김
손빈아, ‘하동 고향에서 부르는 노래‘ 미스트트롯3, 전국콘서트
‘울엄마’ 요양원에서…모정, 이미자, 어버이날, 효도잔치
효도잔치, 판소리 버전, 연지실버로드요양원에서…
모죽 이야기, 저녁의 대나무, 인생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2일
2025년 5월 12일
산내들이색악기연구소 작은음악회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공간대여 #로컬비즈..
2025년 5월 11일
2025년 5월 11일
2025년 5월 11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