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보내는 메이의 편지] 생의 찬가

May Kim

사진=코스미안뉴스 DB


굿모닝!

벌써 3월도 보름이 지났네요. 시간이 정말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것 같아요. 저는 어제 그동안 모자랐던 잠을 모아서 푹 자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나니 훨씬 가벼운 몸으로 오늘을 맞이했습니다. 오늘은 코스미안뉴스의 '이태상 칼럼, 생의 찬가'를 읽었습니다.

태어나는 것은 순서가 있지만 죽는 것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변에서 젊은 나이에 갑자기 이 세상을 떠나는 사람들을 보며 저도 언제 갈지 모르는 죽음에 때때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생사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죽음이란 것은 늘 많은 사람들에게 두려운 일인 것 같아요. 아마도 모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제일 크겠지요.

저는 어려서부터 죽음에 관해서 엄청나게 궁금해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내 머릿속에 잊히지 않는 것은 죽은 사람의 모습을 처음 접해보고 많이 신기해했던 기억입니다. 다섯 살 정도 때 돌아가신 친척 어른의 시신을 보기 위해 아무도 모르게 시체가 놓여있는 방문의 도배지를 뚫어서 그 구멍으로 조용히 누워계시는 고모할머니의 송장을 뚫어지게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손과 발은 묶여있고 코와 귀에는 솜을 넣어두었던 것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처음 접한 죽음이란 것에 풀리지 않는 미스터리가 남아 그 뒤로도 종종 누가 물에 빠져 죽었다 하면 바로 동네 아이들과 강가로 가서 먼발치에서 짚 포대에 덮여서 발만 나온 시신을 뚜렷이 바라본 기억이 납니다. 뻣뻣하고, 차갑고, 싸늘한 기운이 느껴지는 몸을 보며 더 이상 여기에 존재하지 않는 이질감도 몰려왔던 것 같습니다. 그 어린 나이에 왜 그리 죽음에 관해 궁금해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다행히 그때 그런 걸 보고도 무섭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생각해 보면 죽음 그 자체보다는 그 다음이 더 궁금했던 것이었기에 지금까지도 삶과 죽음, 몸과 영혼, 우주까지 생각하게 되나 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며 우리 앞에 보이는 자연의 이치를 관찰하고, 또한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왠지 죽음이 끝이 아닐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봄이 오면 새로 꽃이 피어오르듯 죽음 뒤에는 또다시 생명이 생겨나리라 믿습니다. 아직까지 아무도 죽었다가 살아 돌아온 사람이 없기에 죽음 뒤의 일은 알 수 없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는 지금, 여기에,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이겠지요.

인생이란 어느 시인의 말처럼 이 세상에 잠시 소풍 온 건지도 모르기에 그저 재미있게 열심히 놀다가 때 되면 미련 없이 집으로 가면 그만 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나의 소풍에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이 참으로 고마운 벗들이며, 아이가 숙제를 풀어가며 배우듯이 내가 접한 크고 작은 이 세상의 모든 경험들은 나를 배움으로 이끄는 스승이라는 것을 나이가 들어가며 더욱더 깨닫게 되는것같습니다.

오늘도 행복하고 멋진 하루 되길 기원합니다.

메이 드림


이해산 기자
작성 2021.03.16 12:45 수정 2021.03.16 12:51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해산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