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고 싶은 책] 오룡골에는 여자가 없다

정목 지음



오룡골 깊은 산중에서 정목 스님이 들려주는 끝없는 구도 메시지


목이 마른 사람들에게 청량제 같이 시원한 구도 수필집이 나왔다. 경남 양산의 오룡골 깊은 산중에서 홀로 수행 정진하고 있는 정목스님이 들려주는 끝없는 구도의 메시지 ‘오룡골에는 여자가 없다’라는 책을 두고 하는 말이다. 여자가 없다는 말은 남자도 없다는 뜻이 숨어 있다. 절대 평등의 경지에서는 남녀 구별이 없다.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염불하는 수행자 정목 스님 다운 말이다.

이 책은 불신과 비판과 체념이 판치는 사상의 시장통에서 한줄기 빛 같은 맑고 깨끗한 언어를 던져주는 정목스님의 구도 메시지다. 우리는 정목스님의 글을 통해 변화와 치유의 삶을 살아 갈 수 있는 희망을 건져 올릴 수 있다. 일체의 경계를 버리고 한없는 단순성과 순수한 자연에 기대 살아가지만 그 안에서 울려 나오는 평상심과 자비는 부처의 마음 그 자체이다. 그러하기에 정목스님의 글에서는 아름다운 사람의 향기가 배어 나오고 그 향기는 오룡골 뿐만 아니라 멀리 있는 우리들에게도 파동이 되어 감전되고 만다.

스님의 일상은 끊임없이 일하고 수행하며 정진하는 구도자의 모습이다. 그것은 이 세계를 내 안으로 포옹하고 확대하는 불교로 다가온다. 자기 삶을 통해 타인을 사랑하는 적극적인 자세이며 자연과 교감하는 가장 서정적이고 치열한 실천적 삶을 살아가는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두려움을 벗어 버리고 마음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세세하게 가르쳐 준다. 허무를 무너뜨리고 괴로움도 승화시켜 이 우주를 통해 소망이 이루어지도록 안테나를 높이 세우는 구도자의 진정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런 정목스님의 참다운 메시지는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던져준다.

이 책은 아주 쉬운 문체로 쓰였다. 특히 한문세대가 아닌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오온개공이니 일체유심이니 만법유식이니 응무소주 이생기심이니 이런 말들을 늘어놓으면 그냥 하품이나 하고 재미없어 한다. ‘오룡골에는 여자가 없다’는 이런 어려운 말 대신 개를 키우는 이야기, 당산제를 지내는 이야기, 산골의 자연에 관한 이야기 등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감동을 받을 수 있는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다. 그러면서 그 근저에는 심오한 철학적 세계관이 깔려 있다.


자연과인문 刊 / 정목 지음

이정민 기자
작성 2021.03.22 10:57 수정 2021.03.22 11:2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