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봉의 삶의 향기] 신(神)의 나무

 


레드우드(Redwood) . 태멀파이어스 산 계곡의 뮤어(Muir) 숲 속에 들어선다. 진초록 첨탑 지붕을 이고 아름드리 십자상 기둥들이 웅기중기 서있는 중세의 성당처럼 숲은 깊고 정결하다.

 

그 속에 홀로 숨어든 아이 마냥, 숲의 크고 경건함에 숨죽이고 나무 뒤꼍에 비켜선다. 숲 속엔 잘 익은 흙냄새, 촉촉한 이끼내, 또 새로 깎은 연필내 같은 적송(赤松)향이 향불내음처럼 짙게 배어있다. 마음을 열고 귀 기울이면 그 청정한 적막 속에서도 바람에 묻어오는 나무들의 따뜻한 숨소리. 또 간간이 푸드득거릴 뿐, 날갯짓마저 삼가며 영혼을 닦는 새들의 구도송(求道頌)들이 들린다. 신의 숲에 와서 그의 늠름한 나무, ‘레드우드에 기대어 모처럼 마음을 쉰다.


모든 나무들이 다 신의 작품이겠지만 그의 손길이 가장 가까이 머문 나무가 있다면 미국 삼나무라 불리우는 레드우드가 아닌가 싶다. 우선 레드우드는 땅 위의 어느 나무보다 크고, 수려하며, 우람하고, 오래 산다. 현재 지구상엔 세 종류의 레드우드가 존재하는데 오레곤에서 캘리포니아 해안 몬트레이 남쪽 지방까지 서식하는 코스트 (Coast) 레드우드’, 시에라 산맥 4000~6000피트 기슭 세코이야 국립공원에서 보호되고 있는 세코이야거목 (Giant Sequoia), 그리고 멸종된 줄 알았다가 1948년 중국대륙에서 발견된 (Dawn)’ 레드우드 등이다.

레드우드는 키가 무려 100~130미터 이상 곧게 뻗어 어느 나무보다 하늘에 가깝고, 둥치 지름도 3~10미터나 돼 장정 서넛이 둘러서야 겨우 아름으로 안을 정도다. 수명도 물경 1,000년에서 2,000년을 넘는다. 가장 오래된 수장(首長)격은 셜먼(Sherman) 장군이라 불리는 3,500세된 세코이야 거목으로, 신선의 나이가 훨씬 지났음에도 여전히 청청하다. 사실 천년이 하루 같고 하루가 천년 같다는 신의 햇수로 지금껏 변함없이 살아온 나무는 이 세상에 레드우드밖에 없다. 이들은 1억 년 전 온 북미대륙을 뒤덮었었고 그 숲 사이로 지금은 멸종되고 없는 공룡들이 뛰어다녔다는 것이다.

신이 레드우드를 특별히 총애한 증거는 이 외에도 여럿 있다. 첫째로 수백 수천 년이 가도 썩지 않고 병들지 않는 특수한 강성(强性) 체질이다. 나무 섬유질 속에 천연방부제인 독한 탄닌산이 듬뿍 들어있어 벌레나 곰팡이류가 얼씬도 못하는 까닭이다. 보통 참나무 같은 나무에는 300여 종 이상의 해충이 나무를 상하게 하는데 키 커서 싱거울 것 같은 레드우드엔 거의 천적이 없다. 그래서 죽은 레드우드도 잘라 옷장 방부제로 쓴다. 또한 나무껍질에 송진 같은 수지(樹脂)가 없는데도 유달리 섬유질이 두텁고 탄닌 성분이 많아 웬만한 산불은 그 껍질을 좀체 뚫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 특징은 130메타 이상 되는 높이까지 속속들이 물을 나를 수 있는 능력이다. 보통나무들도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모세관 인력(引力)과 대기압을 이용하여 뿌리에서 빨아들인 물을 나무 끝까지 올린다. 그러나 100메타 높이 이상은 끌어올리기 불가능하다는 게 통설이다. 그 높이만큼 물을 올리려면 자그마치 기압의 12~13배에 달하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레드우드 잎새는 정상에서도 늘 푸를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해 누구도 시원스런 답을 못하고 있다. 단지 물분자를 연합시키고 있는 수소결합 때문에 생기는 힘, 즉 확산력과 삼투력(Osmosis)때문이 아닌가하고 추측할 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레드우드가 신의 속성을 많이 닮은 점은, 그들의 성장과정과 서로의 끈끈한 관계에서 엿볼 수 있다. 눈여겨보면 대개의 레드우드는 혼자 자라는 축보다 너댓 그루가 가운데 빈자리를 중심으로 빙 둘러서서 그로브(grove)를 형성하며 자란다. 그 이유는 어미나무가 어린 묘목 싹을 처음 틔울 때, 씨발아(發芽)보다는 어미나무 뿌리에서 직접 내는 뿌리발아법 (Root Sprouting)을 쓰기 때문이다.

 

어미나무는 햇볕이 잘 안 드는 숲 속에서 씨발아가 어려움을 알고 2세의 어린뿌리들을 자기의 긴 뿌리에 심어 묘목을 먹이고 키운다. 2세 묘목들이 충분히 성장하면 영양을 다 빨린 어미나무는 결국 그 자리에서 수()를 다하고 죽는다. 레드우드 그로브 한 가운데 텅 빈 자리는 어미나무의 희생적인 사랑이 남은 흔적이다.

놀라운 사실은 레드우드들의 뿌리가 의외로 깊지 않다는 것이다. 겨우 1-2메타 깊이에, 옆으로 20-30메타 정도밖에 퍼져 있지 않다. 1백만 파운드 이상의 거목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뿌리로는 너무 얕은 편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신의 가르침이 있어서 이들은 함께 얽혀 살면서 서로의 뿌리를 공유하고 어떤 비바람 속에서도 서로를 꿋꿋이 지탱해주는 것이다.

 

겉보기엔 오만할 정도로 고고하고 수려하여, 홀로 독야청청할 것 같은 레드우드가 사실은 함께 모여, 서로 희생하고, 의지하고, 나누며 살아가는 나무임을 알게 된다. 오히려 약하고 편협하여 항상 상부상조하며 살도록 지음 받은 인간들은 거꾸로 제 것만 챙기고 남을 예사로 짓밟는 독불장군들이 되어간다. 안타까운 일은 사람들이 두고두고 배워야할 이 멋진 레드우드들이 지구상에서 점점 멸종돼 가는 것이다. 인간들의 무차별한 벌목으로 이젠 옛 숲 면적의 5%도 남지 않았다.

이 시대에 레드우드의 사라짐은 무엇을 예고하는 것일까? 신의 성품에서 한없이 멀어져만 가는 인간들로부터 신이 점점 떠나가는 징조가 아닐까?

 

 

[김희봉]

서울대 공대, 미네소타 대학원 졸업

Enviro 엔지니어링 대표

캘리포니아 GF Natural Health(한의학 박사)

수필가, 버클리 문학협회장


 


편집부 기자
작성 2018.11.02 13:31 수정 2018.12.18 07:5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