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수로와 어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조사보고서 발간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코스미안뉴스 자료


국립민속박물관은 2018년부터 우리나라 주요 수로를 중심으로 수로문화를 조사하고 기록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한 ‘한강 수로와 어로문화’ 조사보고서는 그 첫 결과물로 우리 민족과 오랜 시간을 함께해온 ‘한강’의 물길을 따라 문헌조사를 토대로 현지 조사한 것이다. 


한강은 전통 적으로 이 물길을 차지한 나라가 한반도 주도권을 행사할 정도로 역사적 으로나 정치·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조운선, 돛배, 뗏목 등 하루에도 수십 척이 오간 한강은 20세기 초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점차 쇠퇴했 지만,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19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물류 이동의 중 심이었다.

한강의 수로문화 ; 돛배는 어떻게 한강 물길을 거슬러 올라갔을까 ? 우리의 옛 물길은 그 물길을 터전으로 생활했던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 를 담고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그 물길이 닿는 곳을 이어주듯 시간 과 공간을 넘어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다양한 형태로 전해진다. 한강의 수로문화에서는 댐과 교량이 설치되기 전 한강의 나루와 포구를 기록하고, 물길을 이용한 배를 운송용과 어로용으로 정리했다. 특히, 상류에서 하류 로 내려간 뗏목과 달리, 바람을 타고, 돛대, 상앗대, 노, 밧줄 등 상류와 하 류를 자유롭게 오간 돛배의 운행방법을 다룬 점이 이색적이다.

한강의 어로문화 ; 그간 주목하지 않은 내륙 어로문화를 다루다 . 한강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한민족의 자양분 이 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학문에서 한강을 연구하였고 그 성과는 지금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의 특징은 이전까지 연구했던 한강에 대한 관점과는 달리 어로문화를 담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한강 어 부들은 ‘내수면어업’으로 배를 타고 그물을 쳐서 민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는 조선후기 서유구가 집필한 『난호어 목지』와 『전어지』등 각종 문헌을 토대로 전통 어로문화를 정리하고, 현 지 조사를 통해 현대 어로문화를 내수면어업으로 담아내었다. 오늘날 한강 어부들은 각망, 자망, 형망 등 다양한 그물로 뱀장어, 쏘가리, 동자개, 메 기, 다슬기 등을 잡아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현지 조사를 토대로 어부들이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부터 활용에 이르기까지 온전히 담고 있다.



한강의 사람들 ; 떼꾼으로부터 어부에 이르기까지 강변 사람 이번 조사보고서에는 한강에서 나오는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다루었다. 팔당 조선소에서 주문에 맞게 배를 만 들어 팔았던 배목수, 영월에서 뗏목을 타고 서울까지 내려왔던 떼꾼, 옛 어구를 사용해 그물을 쳤던 어부를 통해 예전에 한강에 기대어 살던 사람 들 이야기 또한 담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견지낚시를 지금까지 이어오 고 있는 낚시꾼, 내수면어업을 통해 지금도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강 어 부의 이야기는 지금도 한강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볼 수 있다.

끝으로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강에 이어 2019년에는 금강의 수로문화와 더 불어 강경 젓갈을 통한 식문화를 조사하고, 아울러 2020년과 2021년에는 낙동강과 영산강의 수로문화와 더불어 강변의례 및 장시 등을 조사할 예 정이라고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의 수로문화 조사를 통하여 지금까지 주 목받지 못한 내륙의 수로문화가 온전히 드러나기를 기대해 본다.


이정민 기자
작성 2019.01.28 16:29 수정 2019.01.28 16:3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