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의 항간세설] 우린 사랑이 꽃피고 반짝이는 별들이어라

이태상

 



2020524일 뉴욕타임스 서펑주간지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에 실린 바이 더 북(By the Book)’ 인터뷰에서 세계적인 첼리스트 요요마(Yo-Yo Ma)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질문: 누구나 나이 스물한 살이 되기 전에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요? (What book should everybody read before the age of 21?)

 

답변: “어린 왕자(The Little Prince)” 경이로움과 슬기로움과 천진난만함으로 충만한 어린아이의 눈으로 우주를 바라보는 (코스미안의) 눈길을 우리가 어른이 되어서도 결코 잃고 싶지 않지요. (“The Little Prince.” Looking at the universe through a child’s gaze, full of wonder, wisdom and innocence, is a perspective we never want to lose as adults.)

지난 2016510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 망원경 케플러의 데이타를 분석해 1,284개의 행성을 찾아낸 뒤 이 중 9개를 2의 지구후보 목록에 올렸다.

 

NASA에 따르면 외계행성 1,284개 중 550개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졌고, 크기도 지구와 비슷하다. 행성은 구성 성분에 따라 암석으로 이뤄진 것과 목성처럼 가스로 이뤄진 것으로 분류되는데 천문학자들은 암석형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NASA에 의하면 550개 가운데 9개는 이른바 생명체 존재 가능 영역에 속하는데 중심별과의 거리를 따져봤을 때 행성 표면에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생명체 생존 가능 영역에 위치한 행성을 천문학자들은 골디락스(Goldilocks)’라고 부르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골디락스 중 지구와 크기가 유사한 행성은 10여 개로 NASA가 발표한 9개를 합하면 20여 개나 된다. 이 가운데 암석형이면서 실제로 물이 존재하고 대기의 양과 압력 등이 적절한 행성이 있다면 2의 지구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이와 같은 외계행성 탐색과는 반대로 우리 내계행성 탐색의 결실이라 할 수 있는 책이 한 권 나왔다. 20165월 출간된 유전 인자: 그 내밀한 역사(The Gene: An Intimate History by Siddhartha Mukherjee)’이다.

 

퓰리처상 수상작이면서 베스트셀러인 모든 병의 황제(The Emperor of All Maladies, 2010)’의 저자이기도 한 암 전문의 싯다르타 무커지 박사의 신간은 과학사상 가장 유력하고 위험한 아이디어 중 하나(유전인자)의 탄생, 성장, 영향, 그리고 미래 (the birth, growth, influence, and future of one of the most powerful and dangerous ideas in the history of science.)를 탐색한다.

 

이렇게 우리 인간의 유전인자의 역사를 고찰한 후 저자는 우린 스스로 자신을 읽고 쓰자. (We will learn to read and write ourselves, ourselves.)고 역설한다. 주어진 유전자를 악용하지 말고 잘 쓰자는 말이다.

 

과학자들은 한 인간을 만드는 데 21,000개의 유전인자가 있어야 한다고 보는데, 이 유전인자란 하나의 메시지로 어떻게 프로테인을 만들 것인지를 알려주는 지시 사항이란다. 그리고 이 프로테인이 형태와 기능을 만들어 유전인자를 규정짓게 된다고 한다.

 

또 한 권의 책이 우리 우주를 안팎으로 관찰한다. 20165월 출간된 잠 안 오는 밤에 읽는 우주 토픽으로 천문학 콘서트저자 이광석은 강화도 산속에 천문대를 세우고 낮에는 천문학 책, 밤에는 별을 보면서 우주를 읽으면 인생이 달라진다.’를 몸소 실천해왔다고 한다.

 

이 대우주의 속성이 일체무상(一切無常)이다. (14-16) 인간의 몸을 이루는 원소들은 어디에서 만들어졌을까. 모두 별에서 왔다. 수십억 년 전 초신성 폭발로 우주를 떠돌던 별의 물질들이 뭉쳐서 지구를 짓고, 이를 재료 삼아 모든 생명체들과 인간을 만들었다. 물아일체(物我一體). (144-145)”

 

이렇게 저자는 우주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준다. 단순히 과학 지식의 나열이 아니라, 문학, 역사, 철학,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을 동원한 종횡무진 다양한 비유와 예시로 천문학과 우주학을 풀어준다.

 

우린 어렸을 적, 시골집 마당에 펴논 멍석에 누워 밤하늘에 떠있는 수많은 별들을 보면서, ‘별 하나, 나 하나, 별 둘 나 둘, 별 셋 나 셋하지 않았었나.

 

피아일체(彼我一體)라고 너와 내가 하나라는 말이 있지만, 우주에 관한 한 안팎이 따로 없는 내외일체(內外一體)라 해야 하리라.

 

그렇다면 이 내외일체인 우주의 화신이요 분신인 우리 각자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전 세계 팬들에게 폭발적인 사랑을 받는다는 일러스트레이터 퍼엉(Puuung)’ 본명은 박다미 씨의 2016년 출간된 아름다운 그림 에세이집 편안하고 사랑스럽고 그래에는 사소하지만 숨 막힐 정도로 로맨틱한 젊은 연인의 일상을 옮겨낸 일러스트레이션 작품들이 담겨 있다. 퍼엉은 그의 그림 에세이집을 통해 이렇게 말한다.

 

누구에게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소재가 사랑이고 그 사랑은 소소한 일상에서 스치듯 빛을 발한다고 생각해요. 저는 이런 일상 속에 숨어 있는 의미들을 찾아서 옮겨 그리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우주는 안팎으로 다 사랑이고 우리 각자는 각자 대로 이 사랑의 화신이요 분신으로 이 우주의 사랑이 꽃피고 반짝이는 별들이어라.

 

 

 


편집부 기자
작성 2020.05.28 10:50 수정 2020.05.28 10:5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편집부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