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게 활주로를 차고 떠 오른 비행기는 뉴욕 JFK 비행장을 뒤로 밀어내고 하늘로 치솟았다. 창공은 내 외손자 일라이자의 눈빛처럼 맑고 푸른색이었다. 유태인 아빠와 미국인과 한국인 한미韓美 부모 사이에서의 혼혈아混血兒 엄마로부터 태어난 일라이자는 신비神秘스럽도록 아름답게 푸른 눈을 가졌다. 그래서일까 온 우주가 끝없이 푸른 빛의 파장波長을 그의 눈을 통해 창공으로 내 뿜어 발산發散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나는 가끔 했다.
눈을 감은 채로 날고 있는 비행기의 진동이 내 몸속으로 스며드는 경미輕微한 감각感覺의 센세이션을 느끼면서 나는 시간여행을 하고 있었다. 나는 여행자旅行者이면서 동시同時에 여행 그 자체이었다. 아니 시간時間 그 자체이었다. 시간이 과거로 나를 데려가는 게 아니고 내가 시간 밖에서 시간을 바라보고 있었다.
과거의 나로부터 현재의 나를 나는 바라보고 있었다. 나는 말할 수 있건대 영원永遠이란 단어는 나에게 아무런 의미意味도 없었다. 아무런 걱정 근심도 없이 한없이 낙천적樂天的이기만 했던 어린 유년시절幼年時節, 질풍疾風과 노도怒濤같던 정열적情熱的이던 청춘시절靑春時節, 그리고 평화平和롭고 화평和平한 老年시절時節, 이 모두가 다 같은 정신상태精神常態/狀態로 캄캄한 밤하늘에 홀로 찬란히 빛나는 북극성처럼 늘 변함없이 한결같은 붙박이별인데 이들을 대하는 내 마음과 정신이 수시로 바뀌었을 뿐이어라. 나는 나의 과거를 방문하려 시간 속으로 산책散策 길에 올랐다.
“선생님, 마실 것 좀 드릴까요? 오렌지 쥬스나 뭐 다른 거라도?”
승무원 아가씨가 물었다.
“네, 물 좀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미소 지으며 승무원 아가씨가 내 유리잔에 따라 준 물을 조금씩 마시면서 나는 창밖으로 눈을 돌렸다. 내가 탄 비행기는 구름 위로 날고 있었다. 내가 마치 온 지구를 감싼 솜이불 좌석에 앉아 구름 마차를 타고 가는 것 같았다. 지금 현재 나는 구름바다 위로 항해航海하고 있는 한 점占의 티끌, 아니 티끌조차 안 되는 먼짓가루 한 알갱이도 못 되는, 한없이 극미極微한 소립자素粒子로, 아무것도 아닌 비불질非物質 무존재無存在 상태常態/狀態로부터 칠흑漆黑 같은 어둠 속에서 공기 분자分子와 빛의 원자原子가 다른 광원光源의 빛을 흡수하거나 다른 입자와 부딪쳐 생기는 불가사의不可思議한 환상幻像이나 환영幻影같은 존재이리라.
몇 시간이 지났다. 비행기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바람을 타고 돛단배처럼 하늘 바다 위로 항해하고 있었다. 승객들은 잠이 들어있었고, 승객 객실은 조용했다. 나는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아무 생각도 내 머리속에 들어 오지 않았다. 내가 타고 있는 비행기가 단순히 시간과 공간 속으로 끌려 들어오는 동작의 울림을 나는 느끼고 있었다. 아무런 생각이나 느낌이 없는 상태란 마치 사랑에 빠졌을 때처럼 몽롱朦朧한 무중력無重力 상태와도 같았다.
언제 어디에선가 그녀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어쩌면 내 무의식無意識, 아니면 잠재의식潛在意識 또는 초의식超意識을 통해서 말이다.
“태상, 우린 시간이 모자라지 않아요. 샘물이 끝없이 샘솟듯이 우리의 시간도 영원永遠이란 우물에서 한없이 샘솟고 있어요. 그러니 우리 걱정하지 말아요.”
나는 내 안에서 자유롭게 표류漂流하고 있었다. 그녀의 목소리가 들리는 곳으로 나는 움직였다. 그녀의 환상적幻想的인 이미지가 나를 과거로 유인誘因해 끌고 갔다. 그녀의 말처럼 나는 내게 주어진 한정限定되고 제한制限된 시간을 낭비浪費하고 허비虛費 하면서 공연空然히 무한無限한 영원永遠이란 시간만 아끼고 절약 節約해 왔는지 모를 일이다.
“아, 그랬군요. 시간 그 자체처럼 당신은 언제나 거기 있었네요!”
“네, 태상, 당신이 언제나 거기 있었듯이, 나 또한 언제나 여겨 있었지요. 그러니 걱정말아요. 그냥 당신의 빛을 내게 비춰줘요. 그러면 우리는 연결戀結/連結되고 맺어져 영원무궁永遠無窮토록 분리分離해 떨어지지 않을 거예요. 이렇게 해서 우린 하나가 되는 거지요.”
그녀는 내가 평생토록 동경憧憬하고 그리워해 온 여인이다. 여성女性이 나의 종교宗敎이고, 내 우주의 알파와 오메가, 처음이자 끝임을 알게 해준 것도 그녀이다. 이 진실眞實과 진리 眞理를 나는 단 한 번도, 단 한 순간도 의심해 본 적이 없다. 나에게는 사랑이 그녀의 이름이다. 어떤 남자도 어떤 인간도 그녀 없인 생존生存, 존재存在할 수 없다. 그녀 없인 삶이란 아무런 뜻도 의미意味도 없다. 그녀로부터 나는 나의 생명生命과 삶을 얻었고, 그녀 때문에 여태껏 나는 살아온 것이다. 이런 사랑의 바다로부터 나는 나의 사랑하는 여인들을 한 사람씩 기억해 불러냈다. 내 모든 그리움은 꽃들의 향기였고, 어디에나 무소부재無所不在헸다.
진실眞實로 참으로 인생 삶이란 덧없지만 너무도 신비神秘로운 마법魔法 같았다. 내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이 세상이란 더할 수 없이 신나고 재미있는 놀이터에서 나는 순간순간 삶의 소꿉장난 놀이를 즐기면서 한없는 희열喜悅과 무아지경無我之境의 황홀恍惚한 기쁨을 만끽滿喫해 왔다. 이 세상이란 놀이터에서는 모든 것이 다 너무너무 신기新奇하고 경이驚異로운 장난감들이었다. 세상엔 내가 마다하고 버릴 것이 하나도 없었다. 머지 않은 미래 未來에 이 지구별에서의 나의 소풍놀이가 끝나면 나는 나의 우주여행宇宙旅行 여정旅程에 다시 올라 또 다른 별나라로 갈 것이다. 내가 어디 어느 별로 가든 내가 사랑하는 여인 그녀는 나의 ‘귀향 歸鄕’이 되리라.
내가 탄 비행기는 지금 태평양 상공을 날고 있다. 나는 눈을 계속 감은 채로 그녀에게로 시간 여행을 하고 있다.
비몽사몽간非夢似夢間에 44년 전에 내가 읽은 미국의 비행작가 리쳐드 바크Richard Bach(1936 - )의 소설 ‘환상: 억지 메시아의 모험Illusions: The Adventure of a Reluctant Messiah, 1977) 속 한 장면이 떠오른다.
강물에서 군락群落을 이루고 사는 피조물被造物 생물生物마다 제각기 각자 태어나면서부터 물살 거스르기를 배우면서 강물 밑바닥에서 나뭇가지와 바위에 매달려 살았다. 무엇엔가 매달려 사는 게 그들의 생활방식이었으니까.
이렇게 무엇엔가 매달려 사는 게 너무 싫었던 한 생물이 견디다 못해 자신에게 독백獨白하듯 말했다.
“난 매달려 사는 데 싫증 나 더는 이렇게 못 살겠어. 내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흐르는 물살은 자신이 어디로 가는지 알고 있을 거야. 나도 무엇엔가 매달렸던 손을 놓고 물살이 나를 데려가는 대로 가볼 거야. 이렇게 한 군데에만 매달려 있는 건 지루해 죽겠어.”
이 말을 들은 다른 생물들은 어처구니없다는 듯 웃으면서 말했다.
“이 바보야, 붙잡고 있는 네 손을 놓아 봐라. 네가 숭배하는 물살 이 너를 내동댕이치면서 널 바위에 부숴버릴 거야. 그럼 넌 지루해 죽기보다 훨씬 더 빨리 죽어버리게 될 테니까.”
그래도 이들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고 그는 크게 한 번 숨을 몰아쉬고 손을 놓아버리자 물살에 휩쓸려 뒹굴면서 바위들에 내동댕이쳐졌다. 그래도 그는 더 이상 아무것도 잡고 매달리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 좀 지나자 센 물살이 그를 강물 밑에서부터 위로 자유롭게 떠올려 주자 그는 더 이상 상처 입고 아프지도 않았다.
이렇게 되자 아직 강물 밑바닥에 있는 생물들에게는 그가 이미 이방물異邦物이 되어있었고, 그를 바라보는 이들이 소리쳤다.
“아, 저것 좀 봐. 기적奇蹟이 일어났어. 우리와 같은 생물인데 날고 있는 것 봐. 우리 모두를 구원해 주려고 온 메시아를.”
물살에 떠 올려진 그는 말했다.
“너희들처럼 나도 메시아가 아니야. 강물은 우리가 어디나 무엇에 매달리지 않고 우리 자신을 물살에 맡기기만 하면 기뻐하며 우리를 자유롭게 띄워주지. 우리의 진정한 업무는 이렇게 강물과 함께 흐르는 이 모험冒險의 여정旅程이야.”
그런데도 아직 강 밑바닥에 매달려 있는 생물들은 이구동성 異口同聲으로 더 크게 외치고 있었다.
“오, 우리의 구세주救世主 메시아여.”
그러면서 그들이 다시 쳐다보았으나 그가 보이지 아니하자, 그들은 ‘메시아 전설’을 지어냈다.
Time Travel
Lightly kicking off the ground, the plane was soaring up into the sky, pushing back JFK Airport behind. Sky was as blue and clear like my grandson Elijah’s eyes. Born of Hebrew dad and Korean mom, Elijah has mysteriously beautiful blue eyes. Looking at Elijah’s eyes I often thought that the universe must be emitting endlessly waves of blue light through his eyes as intense as in the sky.
With my eyes closed I was time-traveling, enjoying the slight sensation seeping through my body by the flight of the plane. I was a traveler and at the same time the travel itself. Or rather I was time itself. Time was not taking me back to the past. I was looking at time from out of time.
I was looking at my present self from my past self. I could tell that the word eternity meant nothing to me. The carefree childhood, the passionate youth and the peaceful old age, they are all the same state of mind, always there, never changing like Polaris. It was my mind, minding them, that’s been changed. I sauntered into time to visit my past self.
”Excuse me. Sir. May I offer you a drink, orange juice or something else?”
A flight attendant asked me.
“Just water, please. Thank you.”
With a smile the attendant poured water into my glass. Sipping water I looked out the window. The plane was flying above the clouds. It seemed like I was riding a carriage on the cotton quilt seat that is covering the whole globe. I am presently over the clouds, and mere a fleck of dirt. No, not even that, must I be, less than a grain of dust, the infinitesimal particle. I could be reduced to nothing, from which I might have emerged particle by particle.
Hours passed and the plane was sailing like a sailboat, pulled by time and space. Passengers had fallen asleep and it was all quiet. I wasn’t thinking about anything. No thoughts entered my mind, to be exact. I was feeling the motion of the plane simply being drawn into time and space. To be free of thoughts and feelings might be like to be weightless in a gravity-free state as when you are in love.
I thought I heard the Lady’s voice coming out of no-where and no-when, channeling probably through my unconsciousness, and even possibly through my sub-or-super consciousness.
“Tae-Sang, we are not short of time. As the water springs endlessly, it wells up out of eternity. So let’s not worry about it.”
I was floating freely within myself and I moved where her voice was coming from. Her illusory image was pulling me back to the past. As she says, I might have saved the infinite time for nothing while squandering the finite time allotted to me.
“Oh, you were there all the time, like time itself.”
“Yes, Tae-Sang, as always you were there. I too was here all the time. So please don’t be anxious. Just shine your light to me. We’ll be connected and inseparable forever. That’s how we become one.”
She was the one whom I longed for all my life, and she was the one who let me know that fair sex was my religion, the beginning and ending of my universe. I never had a doubt about this truth. Love is her name. No man can exist without her. Life is meaningless without her. From her I got life and I have been living so far up till now because of her.
From the sea of love, one by one, all my dear Ladies were recalled. All the longings were like the fragrance of flowers. It was everywhere. Really and truly, life is so fragile and yet so magical. Ever since my youngest days, I’ve had so much fun, enjoying the game of life, moment by moment, in the most exciting and thrilling playground called the world where everything was a toy. There was nothing to throw away. In not distant future, my pinic here on earth will come to an end and I will be traveling on my cosmic flight to another star. Wherever and whenever l go, my Lady will always be my home-coming.
The plane is flying over the Pacific Ocean now. With my eyes still closed I am time traveling to her.
Half awake, half asleep, I was recalling a scene of the novel, ‘Illusions: The Adventure of a Reluctant Messiah by American Writer and Pilot Richard Bach, who was born in the same year as I was, 1936, which I read 44 years ago when it was published in 1977, as a follow-up to his international bestseller, ‘Jonathan Livingston Seagull’ that came out in 1970.
Each creature in its own manner clung tightly to the twigs and rocks of the river bottom, for clinging was their way of life, and resisting the current what each had learned from birth. But one creature said at last,
“I am tired of clinging. Though I cannot see it with my eyes, I trust that the current knows where it is going. I shall let go, and let it take me where it will. Clinging, I shall die of boredom.’”
The other creatures laughed and said,
“Fool! Let go, and that current you worship will throw you tumbled and smashed across the rocks, and you will die quicker than bore-dom!”
But the one heeded them not, and taking a breath did let go, and at once was tumbled and smashed by the current across the rocks. Yet in time, as the creature refused to cling again, the current lifted him free from the bottom, and he was bruised and hurt no more.
And the creatures downstream, to whom he was a stranger, cried,
“See a miracle! A creature like ourselves, yet he flies! See the Messiah, come to save us all!”
And the one carried in the current said,
“I am no more Messiah than you. The river delights to lift us free, if only we dare let go. Our true work is this voyage, this adventure.”
But they cried the more, “Saviour!” all the while clinging to the rocks, and when they looked again he was gone, and they were left alone making legends of a Saviour.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