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수 칼럼] 변기에 과학을 입히자

이경수

 

어렸을 때 외딴 산골에서 자랐다. 도시로 나와서도 재래식 화장실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서 변기는 정말 훌륭한 발명품이라고 인정해 주고 싶다. 그렇지만 변기는 지난 130년 전과 지금도 모양이나 기능은 거의 변하지 않은 것 같아 매우 실망이다. 왜 그럴까? 다른 제품은 시간이 가고 해가 바뀌면 몰라볼 정도로 편리하게 변하는데 왜 유독 변기는 그대로인가.

 

더러운 용변을 처리하는 물건이라는 인식 때문에 사람들이 변기를 너무 하찮게 여겨서인 것 같긴 하다. 변기는 왜 곰팡이와 때가 많이 타는 흰색이어야만 할까? 우리나라 전통 옹기로는 제작할 수 없는가. 좀 더 안락한 고급 의자처럼 만들 순 없나. 변기는 왜 사용하기 불편한 덮개를 별도로 부착시켜야 할까? 변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 수는 없을까?

 

남자들이 서서 소변을 눌 때 떨어지는 오줌 소리가 전혀 들리지 않게 만들 순 없는가. 또한 양변기에 남성 소변기가 붙은 변기 제작은 어려운가. 과학이 발달한 요즘 시대에도 용변을 보는 내내 지독한 똥 냄새를 맡으면서 그대로 앉아 있어야 한다. 변기 안쪽 테두리에서 불쾌한 냄새가 밖으로 빠져나오기 전에 강제로 빨아들여서 외부 환기 시설로 직접 보내는 장치를 매립시킬 순 없을까.

 

용변을 보고 난 뒤에 반드시 손이나 발로 스위치를 눌러야만 물이 내려갈 수밖에 없는 무슨 이유라도 있나. 남성 소변기의 센서를 조금 더 발전시키면 여러 사람이 사용한 찜찜한 손잡이는 영원히 만질 필요가 없을 텐데 말이다. 이미 일반화된 비데는 변기 속에 보이지 않게 완전히 매립시켰으면 좋겠다. 욕실 바닥과 변기를 양쪽에서 고정하는 볼트는 더러운 곰팡이가 잘 서식하여 매번 청소하기도 번거로운데 아예 보이기 않게 만들었으면 좋겠다.

 

변기의 물통은 벽 속 매립형이 아닌 변기 뒤쪽에 굳이 둬야 할 이유도 없을 것 같다. 어느 날 갑자기 든 생각이 아니다. 변기의 실질적인 개선으로 전 세계 화장실 문화가 크게 변했으면 좋겠다.


이경수 26ks@naver.com

전명희 기자
작성 2021.06.26 11:36 수정 2021.06.26 11:3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전염이 잘 되는 눈병! 유행성 각결막염!! #shorts #쇼츠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