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자료로 보는 난중일기] 1592년 8월 24, 25, 26일 (음력)

이순신 지음 / 윤헌식 주해

사진=코스미안뉴스


1592년 8

 

24(신해) 맑았다. 아침에 객사의 동헌에서 정 영공1)과 식사를 하고 곧바로 침벽정으로 옮겨서 대면하였다. 우수사 [이억기]와 함께 점심2)을 먹었으며 정 조방장(정걸)도 함께 하였다. 오후 4시경에 배를 출발하여 노를 재촉하여 노량 뒷바다3)에 이르러 닻을 내렸다. 12시경에 달빛을 타고 배를 출발하여 사천 모사랑포4)에 이르니 동녘이 이미 밝았으나 새벽 안개가 사방에 껴서 지척을 분간할 수 없었다.


[]

1) 조방장 정걸을 가리킨다. 영공(令公)은 종2품과 정3품 관원을 높여 부르던 영감(令監)과 동일한 말이다.

2) 조선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아침과 저녁 두 끼를 먹었다. 조선시대의 점심의 의미는 현재와 차이가 있으며 시대에 따라서도 조금씩 달랐다. 조선시대 중기의 점심은 시간과 관계없이 간단히 먹는 것을 의미한다.

3) 임진장초부산파왜병장(釜山破倭兵狀)(1592917)에는 관음포(觀音浦)로 기록되어 있다.

4) 사천해전 직후에 조선수군이 정박했던 모자랑포이다.


[원문] 四度八月二十四日 晴 朝食對于客舍東軒 丁令公 卽移對于侵碧亭 右水伯 㸃心同對 丁助防亦共之 申時 發船促櫓 到露梁後洋下矴 三更 乘月行船 到泗川毛思郞浦 東方已曙 曉霧四塞 咫尺不辨

 

25(임자) 맑았다. 오전 8시경에 안개가 걷혔다. 삼천포 앞바다에 이르니 평산포만호 [김축]이 공장1)을 올렸다. 거의 당포에 이르러 경상우수사 [원균]과 배를 매어놓고 서로 이야기하였다. 오후 4시경에 당포에 정박하여 숙박을 하였다. 12시경에 잠시 비가 내렸다.


[]

1) 원문 空狀公狀의 오기이다.


[원문] 二十五日 晴 辰時霧卷 到三千前洋 平山浦萬戶呈空狀 幾到唐浦 慶尙右水伯繫舟相話 申時 泊于唐浦宿. 夜三更 暫雨

 

26(계축) 맑았다. 견내량에 이르러 배를 멈추고 우수사 [이억기]와 서로 이야기하였다. 순천부사 [권준]도 왔다. 저녁에 배를 옮겨 거제 땅 각호사 앞바다에 이르러 숙박을 하였다.


[원문] 二十六日 晴 行到見乃梁駐舡 与右水伯相話 順天亦到 夕 移舟到巨濟境角呼寺前洋宿

 


전명희 기자
작성 2021.10.02 11:10 수정 2021.10.02 11:18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명희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