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기자: 전명희 [기자에게 문의하기] /
2021년 12월 27일자 뉴욕판 중앙일보 오피니언 [이 아침에] 칼럼 '닥터 지바고' 필자 이원경 수필가는 "이렇게 잘 만든 한 편의 영화는 맥없는 관객을 설득하는 힘이 있다. 겨울날 툭 하고 건드려지고 싶은 분들에게 ‘닥터 지바고’ 영화 한 편 선물한다."
'닥터 지바고'
나와 나, 2분의 1쯤에 있는 감성과 조우 중인 아침이다. 부엌 창문으로 들어와 내 주위를 누비는 차가운 공기가 반가운 손님 같다. 그 찬 손님과 따뜻한 커피 한 잔을 마주한다. 내가 허락한 틈으로 그만큼만 들어올 수 있는 차가움은, 오직 내가 가진 따뜻함의 대비를 원할 때뿐이라는 것과 아침에 의식처럼 통과하는 커피 한 잔은, 내가 허락한 만큼 하루에 펼쳐질 각성을 품고 있다는 것. 이런 별것 아닌 습관이 소우주를 조율하는 권력자처럼 느껴지는 건 간밤에 보았던 영화의 여운 때문인가 보다.
‘닥터 지바고’라는 오래된 영화였다. 겨울날 아랫목에 둘러앉아 가족들과 보았던 주말의 명화가 생각나서,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이 좋았다.
영화는 닥터 지바고의 이복형이, 여주인공 라라와 지바고 사이에 낳은 딸로 추정되는 젊은 아가씨를 심문하면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라라와 닥터 지바고의 엇갈리는 사랑의 서사가 눈밭의 얼음으로 매달려 있다가, 누가 몰래 내 등 옷 속에 넣은 것마냥 시리게 다가왔다. 배경이 되는 20세기 초 러시아는 1차 대전과 그 뒤를 이은 볼셰비키들의 혁명으로 내전을 겪는다. 3시간이 넘는 한 편의 영화로 러시아의 역사, 사상, 철학을 알 수 있는 시대극이다.
러시아의 광활한 눈밭과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 등, 거대한 긴 호흡을 유도하다가, 의사이자 시인인 지바고의 시선으로 자연의 소곤거림을, 결이 섬세하게 표현한 장치들이 마음을 꽉 차게 했다. 희망이 창백하게 질려 있는 순간에도, 지나가는 구름과 한 줄기 바람에 맞대응하는 찰나의 미소, 또 글을 쓰는 문학적 순한 맛이 혁명을 이겨내는 진정한 승리자였다. 때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이것이야말로 삶에 진실일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뒤를 돌아보던 조카를, 근엄한 군인 삼촌이 이해가 담긴 미소로 바라보는 모습에서, 잘 달궈진 눈물이 내 볼을 타고 뚝 떨어졌다. 역사라는 소용돌이 속에서 가슴 아픈 주인공들의 남아 있던 사랑을, 잘 다듬질하는, 삼촌의 사랑이 크나큰 인류애로 느껴진 것이다. 인간과 인간이 겨루는 전쟁 중에서도 인간은 서로에게 치료제가, 회복제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인간에게 최고의 마약은 인간이라고 한다.
내가 일상에 누릴 수 있는 것들, 책을 읽고 영화를 보고 글을 쓸 수 있는 잔잔한 파동 수의 것들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백신의 힘마저도 큰 평화임을 생각하는 아침이다.
이렇게 잘 만든 한 편의 영화는 맥없는 관객을 설득하는 힘이 있다. 겨울날 툭 하고 건드려지고 싶은 분들에게 ‘닥터 지바고’ 영화 한 편 선물한다.
<이원경 수필가>
이 명화의 명장면들을 기억에 떠올려 재감상하면서 이 불후不朽의 명작 작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어록語錄 중에서 몇 마디 우리 음미해보리라.
"그 어느 위대한 한 순간이 네 인생의 문을 두드릴 때 그 노크하는 소리는 네 가슴 뛰는 박동 소리보다 크지 않기에 못 듣기 쉽다. When a great moment knocks on the door of your life, it is often no louder than the beating of your heart, and it is very easy to miss it."
"한 번도 실족失足하거나 실수失手해 본 일이 없(다)는 사람을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의 덕행으로 얻은 명망 덕망德望은 생명력도 가치도 (별로) 없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인생이 삶의 아름다움을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I don't like people who have never fallen or stumbled. Their virtue is lifeless and it isn't of much value. Life hasn't revealed its beauty to them."
"문학이란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놀랍도록 비범한 면을 발견해 일상적인 용어로 경이롭게 비상한 점을 말해주는 거다. Literature is the art of discovering something extraordinary about ordinary people, and saying with ordinary words something extraordinary."
"인생에선 얻기보다 잃는 일이 더 필요하다. 한 톨의 씨도 죽어야 싹이 튼다. In life it is more necessary to lose than to gain. A seed will only germinate if it dies."
"권력을 잡은 자들은 자신들의 과오없는 무과실 무류성無謬性과 절대확실성의 신화를 만드는 데 노심초사勞心焦思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하느라 진실을 외면하고 무시하려고 기를 쓴다.
As for the men in power, they are so anxious to establish the myth of infallibility that they do their utmost to ignore truth."
"(그 누구와도) 나눔이 없는 행복은 (진정한) 행복이 아니다. An unshared happiness is not happiness."
"묘사 서술된 인물이나 물체가 아니고 조명되는 빛이 중요하다. It is not the object described that matters, but the light that falls on it."
"기억하시라: 어떠한 경우나 상황에서도 절망하지 마시라. 불행 중에도 희망찬 노력을 하는 것이 우리의 책임責任이자 의무義務 책무責務이다. And remember: you must never, under any circumstances, despair. To hope and to act, these are our duties in misfortune.”
"(한때는) 나도 대단히 혁명적이었으나 지금은 폭력으로는 아무 것도 성취할 수 없고 선행善行으로서만 사람들이 선도先導/善導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I used to be very revolutionary, but now I think that nothing can be gained by brute force. People must bedrawn to good by goodness."
"사람은 삶을 준비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당장 순간 순간) 살기 위해 태어났다. Man is born to live, not to prepare for life."
"여성이(된다는 것이)란 하나의 위대한 모험이다. 남성을 미치게 할 수 있다는 건 위대한 일이니까. To be a woman is a great adventure; To drive men mad is a heroic thing."
"삶을 재형성한다는 것! 사람들은 말할 수 있지. 아무리 많이 보고 살았어도 삶에 대해 아무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삶의 숨결도 삶의 맥박도 느껴보지 못했노라고. 사람들은 삶을 가공해야 할 원자재 원료 덩어리로 보지만 삶이란 우리가 빚어 주조할 물질 본체가 아니다. 알고 싶다면 (깨달으시라) 삶 아니 생명이란 항상 스스로 자기 갱생更生 재생再生 변형變形 자생自生하는, 우리의 그 어떤
애매모호한 이론으로도 상상조차 할 수 없도록 무한히 신비로운 수수께끼임을 말이다. Reshaping life! People who can say that they have never understood a thing about life—they have never felt its breath, its heartbeat—however much they have seen or done. They look on it as a lump of raw material that needs to be processed by them, to be ennobled by their touch. But life is never a material, a substance to be molded. If you want to know, life is the principle of self-renewal, it is constantly renewing and remaking and changing and transfiguring itself, it is infinitely beyond your or my obtuse theories about it."
"자, 이제 잘 좀 들어보시라. 다른 사람과 사물 속에 존재하는 당신, 이것이 당신의 영혼이다. 이것이 당신이다. 이것이 당신의 의식이 숨을 불어넣어 지금껏 당신이 살아왔고 다른 사람과 사물 속에서 삶을 즐겨온 당신의 영혼이고 불멸의 실체이다. 그렇다면 이젠 어쩌라고? 언제나 당신은 이 다른 사람들과 사물 속에 있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텐데, 훗날에 가서 그것이 한 낱 기억일 뿐이라 한들 그게 당신에게 무슨 상괸이랴! 이것이 당신인데, 미래의 한 부분이 되는 당신인데. And now listen carefully. You in others-this is your soul. This is what you are. This is what your consciousness has breathed and lived on and enjoyed throughout your life-your soul, your immortality, your life in others. And what now? You have always been in others and you will remain in others. And what does it matter to you if later on that is called your memory? This will be you-the you that enters the future and becomes a part of it."
"'뜻밖의 일'이야말로 인생 삶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이다. Surprise is the greatest gift which life can grant us."
"너와 나, 마치 하늘에서 키스하고 우리가 천상에서 뭘 배웠는지 알아보도록 지상으로 함께 내려왔어라. You and I, it's as though we have been taught to kiss in heaven and sent down to earth together, to see if we know what we were taught."
"사랑하지 못하는 건 거의 살인하는 것과 같다. Failure to love is almost like murder."
"질서정연하게 정돈되고 사실적인 것으로는 진실과 진리의 속내를 꿰뚫어 알아차려 간파看破하기엔 언제나 불충분하다. 인생 컵 잔마다 삶은 항상 흘러 넘치기에. What is laid down, ordered, factual is never enough to embrace the whole truth: life always spills over the rim of every cup."
"꿈이란 것에 대해서. 흔히 낮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일이 꿈에 재현再現된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엔 그 반대인 것 같다. 그 당시 눈여겨 보지 않았거나 막연히 떠올랐던 생각을 잊어버렸거나, 아무런 느낌이나 생각없이 지껄인 말들, 이런 것들이 밤에 꿈속에서 살과 피로 되살아나 마치 잠깨어 있던 생시에 이루지 못한 일들을 보완 완성해주는 것이리라. About dreams. It is usually taken for granted that you dream of something that has made a particularly strong impression on you during the day, but it seems to me it´s just the contrary. Often it´s something you paid no attention to at the time -- a vague thought that you didn´t bother to think out to the end, words spoken without feeling and which passed unnoticed -- these are the things that return at night, clothed in flesh and blood, and they become the subjects of dreams, as if to make up for having been ignored during waking hours."
- Boris Pasternak(1890-1960)
자, 이제, 2020년 12월 15일과 2021년 11월 7일자 코스미안뉴스에 올린 우생의 칼럼 글 둘 우리 재음미再吟味해보자.
[이태상 칼럼] '코스미안의 존재론 The Cosmian Theory of Existence'
“지상地上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 그 어떤 목적이 있고, 모든 병에는 그 병을 고칠 수 있는 약초藥草가 있으며,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의 소명召命된 사명使命이 있다. 이것이 인디언의 존재론存在論이다.” - 크리스탈 퀸타스켓(1888-1936) 미대륙 동부 플랫헤드 보호구역 살리쉬 인더언 부족의 일원
“Everything on the earth has a purpose, every disease an herb to cure it, and every person a mission. This is the Indian theory of existence.” -Christal/Christine Quintasket(1884-1936), a member of Salish, an anglicization of Selis, an endonym for the easternmost Salish Tribes of the Flathead Reservation
노랫소리가 우우~ 우하는 것이 슬픔이 배어있어 ‘슬퍼하는 비둘기’란 뜻의 비둘기 종류인 ‘애도哀悼하는 비둘기Mourning Dove’라는 필명을 가진 미대륙 원주민 작가 크리스탈/크리스틴 퀸타스켓은 훔-이슈-마 Hum-ishu-ma 로도 불리는데 그녀의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으로는 1927년에 나온 소설 ‘혼혈의 코제위: 대 몬타나 소 목장Cogewea, the Half-Blood: A Depiction of the Great Montana Cattle Range’과 1933년작 ‘코요테 이야기들 Coyote Stories’이 있다.
위의 인용문 끝 문장 ‘이것이 인디언의 존재론存在論이다’를 나는 ‘이것이 코스미안의 존재론存在論이다. This is the Cosmian theory of existence.’라고 바꿔보리라.
공교工巧롭다 해야 할까 아니면 기이奇異하다 해야 할까. 아지 못게라. 그녀가 이 지구별을 떠나 우주로 돌아간 해인 1936년에 내가 사랑의 무지개 타고 이 지상으로 내려왔으니…
2005년 출간된 정창권의 ‘세상에 버릴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역사 속 장애인 이야기’도 있지만 어디 사람뿐이랴. 심지어 오늘날 전 세계 인류가 겪고 있는 역병 코로나 바이러스조차도 병들대로 병든 이 지구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구제救濟하기 위한 비약秘藥이 아니겠는가.
올가을 영문판으로 영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출간된 우생愚生의 졸저拙著 마지막 장章 ‘우리 모두에게 바치는 송시頌詩 An Ode to Us All’ 를 아래와 같이 옮기면서 밝아오는 새해 2021년에 있을 제3회 코스미안상 공모에 많은 독자 여러분들께서 응모해 주시기를 바란다.
'An Ode to Us All'
Dear All,
Candidates for the second (2020) Annual Cosmian Prize of Nonfiction Narrative are being cordially invited to represent 'Cosmian' as the Spirit of this Age (Zeitgeist).
Faced with the dire climate change resulting in the pollution of what we breathe, drink and eat, all caused by our capitalist materialism and industrial technology, we have to change our perspective and vision completely, if we are to survive as a species.
First of all, we have to realize our true identity as brief sojourners on this most beautiful and wonderful planet earth, a tiny starlet, like a leaf-boat floating in the sea of cosmos.
As such, we have to appreciate everything, including ourselves, with love and respect, believing in the oneness of us all, not only human beings and our fellow creatures but also all things in nature.
In order to come to this realization, we must get rid of all the arbitrary and self-righteous dogmatism of ideology, nationalism, racism, sexism, and what not; in other words, the false dichotomy between black and white, right and wrong, us and them, etc.
If I were to put 84 years of my lifelong credo in a nutshell, it could be this:
Writing is not to be written but to be lived; words are not to be spoken but to be acted upon; no matter how great works of arts and literature are, they are at best mere images and shadows of life and nature; no love, philosophy, religion, thought, truth or way, can be caged, like the cloud, light, water and wind or stars.
Hence, the global online newspaper CosmianNews was launched in July 2018 to share our real-life narrative as described in the inaugural address:
All of us, born on this star called the planet earth to leave after a short stay, each living with whatever kind of love, in whatever style of life, in whatever color, shape and form, in one’s own way, each can say something special for one sentence,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yet if we were to find one common denominator, could it not be that “we all are Cosmians?”
So on this proposition that “we all are Cosmians” I am inviting each and everyone of you to share that sentence of yours. Each will be the song of a pearl-like life, or rather of a rainbow-like love.
I’d like to dedicate the poem, Praise Be, written by the American publisher of my book Cosmos Cantata, as the common motto for us all.
'Praise be to those'
Praise be to those
who in their waning years
make others happy
Praise be to those
who find light in the darkness
and share it with others
Praise be to those
who can spread joy
through trust and tolerance
Praise be to those
who look far beyond themselves
to their place in the cosmos
For Lee Tae-Sang
November 15, 2013
Doris R. Wenzel
I sincerely trust that all of you will kindly accept this invitation.
Gratefully yours,
Lee Tae-Sang
Founder of CosmianNews
동풍東風에 바치는 송시頌詩 Ode to the East Wind: 코스모스같은 아이들아
방탄소년단 BTS (지민-RM-제이홉-진-슈가-뷔-정국) 세계관과 성장을 담은 드라마 ‘푸른 하늘’이 제작된다는 보도다.
‘푸른 하늘’ 하면 대번 동요 ‘반달’이 떠오른다.
반달(푸른 하늘 은하수)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돛대도 아니 달고 삿대도 없이
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
은하수를 건너서 구름나라로
구름나라 지나선 어디로 가나
멀리서 반짝반짝 비치이는 건
샛별이 등대란다 길을 찾아라.
1924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동요로 발표된 윤극영 작사 작곡의 노래이다. 지은이 윤극영 선생은 1923년에 모임을 시작한 색동회의 회원이 되어서 일제 치하의 우리 어린이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기 위하여 노래를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설,’ ‘고드름’ 등의 노래도 같은 시기에 발표하였다.
이 동요 ‘반달’의 가사는 1927년 조선동요연구회(朝鮮童謠硏究會) 발행 李源圭(1890-1942)著 ‘아동낙원兒童樂園’에 수록되어 있었다. 이 ‘兒童樂園’은 3대 독자에다 유복자遺腹子로 태어나 자식을 열다섯이나 보신 나의 선친先親께서 자식들뿐만 아니라 모든 어린이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손수 지으신 동시, 동요, 아동극본집을 자비로 500부 출판하셨는데 단 한 권 집에 남아 있던 것마저 6.25동란때 분실되고 말았다.
서너 살 때였을까 내가 글을 처음 배우면서 읽은 ‘兒童樂園’ 속의 ‘금붕어’란 동시 한 편의 글귀는 정확히 기억을 못 해도 그 내용만은 잊혀지지 않았다. 어느 비 오는 날, 어항 속 금붕어를 들여다보면서 어린아이가 혼잣말하는 것이었다.
헤엄치고 늘 잘 놀던 금붕어 네가
웬일인지 오늘은 꼼짝 않고 가만있으니
너의 엄마 아빠 형제들 그리고 친구들
모두 보고 싶고 그리워 슬퍼하나 보다.
저 물나라 네 고향 생각에 젖어
밖에 내리는 빗소리 들으며...
난 네가 한없이 좋고
날마다 널 보면서
이렇게 너와 같이
언제나 언제까지나
우리 한집에 살고 싶지만,
난 너를 잃고 싶지 않고
너와 헤어지기 싫지만,
난 너와 떨어지기가
너무 너무나 슬프지만
정말 정말로 아깝지만
난 너를 놓아주어야겠다.
정말 정말로 아깝지만
난 너를 놓아주어야겠다.
너의 고향 물나라 저 한강물에.
Goldfish
Always happy at play
Swimming
Around and around
Gaily and merrily
You were.
My dear goldfish.
Why then are you so still today,
Not in motion at all?
What’s the matter with you?
Maybe you’re homesick,
Missing your Mom and Dad,
Your sisters and brothers,
All your dear friends,
Soaked with memories
and thoughts of your home
In the water-land.
Far away, over yonder, of yore.
I do like you so very much.
I do want to live with you
Forever and ever in this house.
I don’t want to lose you.
I don’t want to part company from you.
I’ll be very sad to be separated from you.
I’ll be missing you so very much.
And yet I’ll have to set you free.
Yes, my dearest goldfish,
I’ll let go back to your water-land
In the Han River.
It breaks my heart
to see you looking so sad.
It hurts so very much.
I love you much too much
To keep you away from your folks.
I can’t be happy
If you are not happy.
I just want you to be happy.
That’s all I wish.
그동안 고서방古書房등 백방으로 찾아온 이 ‘兒童樂園’을 소장所藏하신 분의 긴급 연락 요망하는 바이다.
아일랜드의 노벨문학상 수상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William Butler Yeats (1865-1939)의 아래와 같은 시구詩句에서처럼
"잎은 여럿이나
뿌리는 하나
내 청춘의 속절없이
환상적인 나날에
나는 자랑스럽게
내 잎을 내흔들고
내 꽃을 피웠었지
찬란한 햇빛 속에
나 이제 그만
진실 속으로
시들어 버리리
Though leaves are many,
the root is one;
Through all the lying days of my youth,
I swayed my leaves and flowers in the sun;
Now I may wither into the truth.”
- W. B, Yeats
현재에 있는 것 전부, 과거에 있었던 것 전부, 미래에 있을 것 전부인 대우주大宇宙를 반영하는 소우주小宇宙가 인간이라면, 이런 코스모스가 바로 나 자신임을 깨닫게 되는 순간이 사람이면 그 어느 누구에게나 다 있으리라. 이러한 순간을 위해 너도나도 우리 모두 하나같이 우주 순례자 코스미안이 된 것이리라. If each one of us is indeed a micro-cosmos reflecting a macro-cosmos, all that existed in the past, all that exists at present and all that will exist in the future, we're all in it together, all on our separate journeys as cosmians to realize this.
영국 시인 퍼시 비시 셸리 Percy Bysshe Shelley (1792-1822)는 ‘서풍西風에 바치는 송시頌詩 Ode to the West Wind’라는 기도祈禱를 탄식歎息 처럼 발發했다. (그 일부만 축약해 옮겨 본다. 그 영문 전문과 함께)
오, 날 좀
불어 올려주게
저 파도같이
저 나뭇잎같이
저 구름같이!
삶의 가시덤불에
넘어져 쓰러진 채로
나는 피흘리고 있다네.
한때는 나도
그대처럼
이성적이고
민첩하고
당당했었는데
세월의 무거운 사슬이
나를 이렇게 묶어 놓고
하늘로 향하던
내 고개를
땅으로 떨궈 놓았네.
날 그대의 악기로
만들어 주게
그러면
저 숲에서
나는 소리처럼
내 잎들 떨어질 때
그대의 음악이
깊은 애상哀傷의
애조哀調를 띨 것이네
사나운 그대 정기精氣가
내 정기가 되게
그대가
나 되어주게
Ode to the West Wind
Percy Bysshe Shelley
(1792-1822)
I
O wild West Wind, thou breath of Autumn's being,
Thou, from whose unseen presence the leaves dead
Are driven, like ghosts from an enchanter fleeing,
Yellow, and black, and pale, and hectic red,
Pestilence-stricken multitudes: O thou,
Who chariotest to their dark wintry bed
The wingèd seeds, where they lie cold and low,
Each like a corpse within its grave, until
Thine azure sister of the Spring shall blow
Her clarion o'er the dreaming earth, and fill
(Driving sweet buds like flocks to feed in air)
With living hues and odours plain and hill:
Wild Spirit, which art moving everywhere;
Destroyer and Preserver; hear, O hear!
II
Thou on whose stream, 'mid the steep sky's commotion,
Loose clouds like Earth's decaying leaves are shed,
Shook from the tangled boughs of Heaven and Ocean,
Angels of rain and lightning: there are spread
On the blue surface of thine airy surge,
Like the bright hair uplifted from the head
Of some fierce Maenad, even from the dim verge
Of the horizon to the zenith's height,
The locks of the approaching storm. Thou dirge
Of the dying year, to which this closing night
Will be the dome of a vast sepulchre
Vaulted with all thy congregated might
Of vapours, from whose solid atmosphere
Black rain, and fire, and hail will burst: O hear!
III
Thou who didst waken from his summer dreams
The blue Mediterranean, where he lay,
Lulled by the coil of his crystalline streams,
Beside a pumice isle in Baiae's bay,
And saw in sleep old palaces and towers
Quivering within the wave's intenser day,
All overgrown with azure moss and flowers
So sweet, the sense faints picturing them! Thou
For whose path the Atlantic's level powers
Cleave themselves into chasms, while far below
The sea-blooms and the oozy woods which wear
The sapless foliage of the ocean, know
Thy voice, and suddenly grow grey with fear,
And tremble and despoil themselves: O hear!
IV
If I were a dead leaf thou mightest bear;
If I were a swift cloud to fly with thee;
A wave to pant beneath thy power, and share
The impulse of thy strength, only less free
Than thou, O Uncontrollable! If even
I were as in my boyhood, and could be
The comrade of thy wanderings over Heaven,
As then, when to outstrip thy skiey speed
Scarce seemed a vision; I would ne'er have striven
As thus with thee in prayer in my sore need.
Oh! lift me as a wave, a leaf, a cloud!
I fall upon the thorns of life! I bleed!
A heavy weight of hours has chained and bowed
One too like thee: tameless, and swift, and proud.
V
Make me thy lyre, even as the forest is:
What if my leaves are falling like its own!
The tumult of thy mighty harmonies
Will take from both a deep, autumnal tone,
Sweet though in sadness. Be thou, Spirit fierce,
My spirit! Be thou me, impetuous one!
Drive my dead thoughts over the universe
Like withered leaves to quicken a new birth!
And, by the incantation of this verse,
Scatter, as from an unextinguished hearth
Ashes and sparks, my words among mankind!
Be through my lips to unawakened Earth
The trumpet of a prophecy! O Wind,
If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This poem is in the public domain.)
이러한 우리의 바람이 꽃피는 바람꽃, 아니 우리의 꿈나무 열매가 우리의 아이들 아니랴. 셸리의 ‘서풍西風에 바치는 송시頌詩’에 대구법對句法으로 나는 ‘동풍東風에 바치는 송시頌詩’를 하나 읊어보리라.
코스모스 같은
아이들아
하늘하늘
하늘에 피는
코스모스 같은
아이들아
하늘하늘
하늘의 소리를
피리 불듯
바람처럼 불어다오
늙은 나무뿌리
썩는 것은
새나무 새순
돋게 하기 위한
것이리니
눈을 떠야 별을 보지
별을 봐야 꿈을 꾸지
꿈을 꿔야 님을 보지
님을 봐야 별을 따지
별을 따야 눈을 감지
눈 감아야 잠을 자지
잠을 자야 일어나지
일어나야 춤을 추지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또 닳도록’
하늘하늘이 돌도록
땅 땅이 울리도록
어울렁 더울렁
우리 사랑하는
가슴이 숨차게
뛰고 달리다가
쓰러져 줄어든
말 ‘사슴’ 아니
뛰노는 노루가
되어 보리라
어울렁더울렁
하늘춤을 추듯
어울렁더울렁
파도춤을 추듯
어울렁더울렁
코스모스하늘
코스모스바다
푸른 하늘로
날아 보리라
은하수 바다
노저어 보리
[이태상 칼럼] '미지수未知數의 미학美學 The Aesthetics of Unknown/Unknowable'
2021년 11월 2일자 미주판 한국일보 오피니언 [전문가 에세이] '세상사 다 이유가 있나?' 필자 천양곡 정신과 전문의 는 "내 삶을 되돌아볼 때 예전에 일어났던 모든 일이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것이라 믿고 싶다. 즉 운명의 열쇠를 쥔 누군가의 힘, 그리고 나 자신이 쌓아올린 의지의 힘으로 살아온 것 같다"고 이렇게 적고 있다.
“세상사 다 이유가 있더라니까.” 주름진 눈가 사이로 가느다란 미소를 띠며 은퇴 동료의사가 말했다. “무슨 일인데?” 그의 신변에 무슨 일이 생긴 게 아닌지 궁금하여 물었다. “근데 재미도 있더군.” 그는 내 물음에는 답하지 않고 지나가는 말로 대신한다. “자네, 또 그 인생결정론인가 그것 설파하는 거 아냐?” 나는 웃으며 그를 쳐다보았다.
그에게 좀 귀찮은 일이 있었다. 어느 날 등기우편이 날아왔다. 법원 소환장으로, 그가 예전에 보았던 환자에 대해 증언하라는 통지였다. 문제는 그 환자를 본 지가 너무 오래돼 기억이 전혀 없는 것이었다. 다행히 변호사 사무실에서 환자기록을 첨부해왔다. 알아보니 환자가 강도 살인죄와 성폭력 죄로 복역 중 진범이 체포되어 감옥에서 풀려난 후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한 케이스였다. 감옥에 있던 중 그는 옆집 노파의 지갑을 뺐고, 강간하고 죽인 나쁜 자식으로 알려져 다른 죄수들로부터 숱한 구타와 수모와 조롱을 받았다.
선서증언(Deposition)은 법정이 아닌 변호사 사무실에서 행해지지만 판사가 참석치 않은 것을 제외하곤 과정이 똑같다. 동료 의사는 소환 요구와 선서증언을 해야 한다는 사실에 처음에는 화가 났었다. 그러나 내용을 알고 난 후 생각을 바꿨다. 환자를 도와주어야겠다는 연민의 정을 느꼈다. 일주일 동안 자신의 환자기록을 세세히 검토하며 잊어버렸던 정신과 지식을 찾아내고, 새로운 지식을 보충했다. 그리고 불쌍한 환자를 도와줄 기회를 마련해 준 이번 일이 우연히 일어난 게 아니라는 인생결정론을 그는 새삼 확인했다.
살면서 겪는 모든 일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다 이유가 있다. 눈에 확 보이는 분명한 이유는 아주 적고, 대부분 자신도 알아차릴 수 없는 무의식 속에 잠겨있다. 꿈의 해석과 자유 연상을 사용하는 정신분석을 통해 이를 찾아내야 한다는 게 프로이드의 정신결정론이다. 반면, 물리학은 세상 모든 일은 빅뱅으로 우주가 형성된 것처럼 원자들의 무작위 행동에 의해 우연히 일어날 뿐 무슨 이유나 목적이 없는 자연현상이라 잘라 말한다. 인류심리학자들은 정신결정론에 반기를 든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무의식이 지배하는 것이 아닌 주어진 현실의 상황과 환경에 적응하고 극복할 수 있는 인간의 자유의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우연인가 필연인가의 논쟁은 종교와 과학, 운명과 자유의지, 유전과 환경, 불가항력과 범죄행위 등 삶의 여러 영역에 맞물려있는 문제다. 연어의 얘기를 해보자. 연어는 때가 되면 태어난 곳으로 돌아간다. 가는 도중 숱한 죽음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지만 헤엄을 계속한다. 만약 연어가 죽음의 위험을 알아차린다면 가지 않을까? 연어의 몸속에는 태어난 곳으로 가라고 누군가가 이미 프로그램을 해놓았기에 따를 수밖에 없다. 운명이고 숙명이다.
인간은 연어와 달라 지혜가 있어 위험을 알면 생각을 바꾸는 힘이 있다. 인간의 의지로 운명을 거스르는 그런 힘은 평상시에는 쉽게 생기지 않는다. 아주 심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에 시달릴 때 나타난다. 나치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정신과 의사 빅터 프랭클이 한 예다.
우리의 삶은 우연과 필연이 함께 작용하는 이율배반적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삶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느냐는 지혜와 경험에 따라 우연과 필연의 저울추가 달라진다. 동료의사의 얘기를 들으며 내 삶을 되돌아볼 때 예전에 일어났던 모든 일이 지금의 나를 있게 한 것이라 믿고 싶다. 즉 운명의 열쇠를 쥔 누군가의 힘, 그리고 나 자신이 쌓아올린 의지의 힘으로 살아온 것 같다.
<천양곡 정신과 전문의>
숙명과 운명에 대한 몇 사람의 말을 좀 우리 음미해보자.
“사랑을 찾았다가 잃어버리는 것, '이게 어쩌면 나의 숙명이야' 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Maybe this is my fate, she thought, to find love and lose it.”
― Leigh Bardugo, Rule of Wolves
“계속 노력해 볼 의지력을 네가 상실할 때에만 실패를 맞게 된다... 장애물이 우리를 굴복시킨다면 패배가 숙명이 아닌 우리의 선택인 것이다. Failure only happens when you lose your willpower to continue trying...If we let the obstacles get the best of us then it was our choice to fail, not fate.”
― Lindsey Rietzsch, Successful Failures: Recognizing the Divine Role That Opposition Plays in Life's Quest for Success
“때로는 변화의 바람에 우리 자신을 맡길 때에라야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을 발견하게 된다. Sometimes we can only find our true direction when we let the wind of change carry us”
― Mimi Novic, Your Light Is The Key
“숙명이란 모든 일이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 일어난다고 믿기 위해 사람들이 자신들에게 하는 말이다. Fate is a story people tell themselves so they can believe everything happens for a reason,"
― Alix E. Harrow, The Once and Future Witches
“인생은 우리를 헹가래치듯 하지만 우리로 하여금 이 지로역정地路歷程의 도道를 닦게 해주는 거다. Life picks us up and throws us around, but for the most part we’re aimed in the right direction where we can learn the lessons of our Earthwalk”
― Karl Wiggins, Wrong Planet - Searching for your Tribe
"난 운명이란(여신)에 질렸다. 그녀를 탓하는 것도 이젠 지겹다. 잔인하게도 그녀는 우리 모두에게 무관심하고 종종 고약한 자들 편만 드는 것 같다. I'm tired of fate. Tired of hating her. She’s cruel to too many of us, she ignores most of us, and half the time she favors the unscrupulous."
― Garten Gevedon, Dorothy in the Land of Monsters
“순식간에 운명이 뒤집힐 수 있다. It takes only a moment for the destiny to flip over”
― Jyoti Arora, You Came Like Hope
“어떤 일은 자동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우리가 유도해야 한다. Some things do not come to us automatically; we must induce them to come our way.”
― Bangambiki Habyarimana, Book of Wisdom
“숙명이란 개념은 인류가 떨쳐버려야 한다. 앞으로 창조할 인간정신력을 비하, 폄훼하는 까닭에서다. The concept of destiny is something that humanity has to get rid of because it degrades the future-creator power of human mind!”
― Mehmet Murat ildan
“세상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제 자리를 찾아간다. Everything in the world ends up where it should be.”
― Arata Kanoh, Another Side: Earthbound
“우리가 우리 자신한테 무슨 짓을 하는지 기억해야 한다. 모든 게 자업자득이기 때문이다. We need to remember what we do to ourselves. And that all that happens to us is of our own device.”
― M.K. South, Of Our Own Device
“다른 사람들이 네 운명을 결정할 때까지 기다리든가 너 스스로 개척하든가다. 알아야 할 것은 다른 사람들이 네 앞날의 행복을 마련해주는 건 아주 드문 일이니 네가 알아서 준비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You can wait for others to decide your fate, or you can master your own destiny. Just know that others seldom have very much planned for your future happiness, so the do-it-yourself approach may just be your best bet.”
― Anthon St. Maarten
“네가 바라보지 않는 방향이 네가 놓치는 네 운명이다. 네가 모든 방향을 다 살피노라면 네가 모든 운명을 지배할 수 있다. The direction you don't look at is the fate you missed! If you look at every direction, you will rule every fate!”
― Mehmet Murat ildan
“아무도 아무 것도 시간낭비는 아니다. 우리가 찾는 걸 얻지 못해도 우리가 배워야 할 걸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Nothing and no one is a waste of time. If it doesn’t give us what we are looking for, it teaches us what we need to learn.”
― Mimi Novic, Essence Of Being
“여정은 오르기 전에 짜는 거다. The journey is mapped before we leave ~ 'Oceans Away”
― Mala Naidoo, Life's Seasons
“이 바보야! 앞으로 네 의지력과 재능으로 어떤 운명을 개척할 생각을 하는 대신 어떤 숙명이 널 기다리고 있는지를 계속 묻지 말거라. You keep asking what fate awaits you in the future instead of thinking of what fate you will draw for yourself in the future with your willpower and talents! You stupid!”
― Mehmet Murat ildan
“숙명/운명이 널 찾아오지는 않을 테니 네가 찾아 나서거나 창조해야 한다. Fate is not going to come looking for you. You are going to have to find or create it yourself.”
― R.J. Intindola
“이 날, 우린 우리 운명의 주인이다. 우리 앞에 놓은 과업은 우리 능력 밖의 것이 아니고, 우리가 감당 못할 것도 아니다. This day, we are masters of our fate; the task which has been set before us is not above our strengths; its pangs and toils are not beyond my endurance.”
― Winston S. Churchill
자, 이제, 지난 2019년 3월 3일자와 2020년 1월 6일자 코스미안뉴스에 올린 우생의 항간세설 칼럼 글 둘 옮겨보리라.
[항간세설] '숙명이냐 운명이냐? Fate or Destiny?'
바꿀 수 있는 것이 운명이라면 바꿀 수 없는 것은 숙명이다. 운명Destiny이 작은 그림이라면 숙명Fate은 큰 틀이라 할 수 있다. 이 세상에 어떤 종種으로 어느 시대 어느 지역 어떠한 환경에 어떤 유전자를 갖고 태어나는가가 숙명이라면 이 큰 틀 안에서 어떤 그림을 그리는가는 운명이라는 말이다. 운명運命의 운運이 운전할 운이고 숙명宿命의 숙宿이 잘 숙인 것이 그럴듯하다.
따지고 보면 틀이라는 것도 하나는 사실적이거나 현실적인 것이고 또 하나는 가공적이거나 가상적인 것이다. 문학적인 용어로는 논픽션과 픽션이, 컴퓨터 인터넷 용어로는 현실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이 되겠다. 전자는 우리가 생활하는 일상사라면 후자는 종교적이거나 이념적 사상, 문학과 예술 같은 것들이다. 자연적으로 주어진 틀이 있는가 하면 인위적으로 조작된 틀도 있다는 이야기다. 전자는 어쩔 수 없이 수용할 수밖에 없겠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그 틀 안에 갇혀 안주할 것인가 아니면 그 틀을 깨고 벗어날 것인가는 각자의 선택에 달렸다고 보아야 한다.
그 한 예로 노예제도라는 틀을 깬 에이브러햄 링컨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영어로 복권이란 뜻의 로터리lottery의 앞 글자 ‘로트lot’는 특정 집단이나 품목 내지 세트, 또는 땅 조각 대지, 한 몫 등을 의미하지만 어떤 사람의 숙명이나 운명을 뜻하기도 한다. 링컨이 남긴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어떤 여인이든 나와 운명을 같이하기로 결정한다면, 이 여인이 행복하고 만족하도록 내 능력껏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할 생각이다. 이 일에 실패하는 것보다 나를 더 비참하게 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미 투Me Too 운동에서 볼 수 있듯이 성폭행이나 성추행을 당하고도 이를 참고 견디면 숙명이 될 것을 용감하게 고발하면 이 숙명을 운명으로 바꾸는 것이 된다.
또 한 예를 들면 부모의 생업을 이어받거나 부모가 원하는 직업 또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이 숙명을 자초하는 것이라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추구하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운명이든 숙명이든 본인이 행복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링컨이 남긴 또 다른 말을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선행을 하면 내 기분이 좋고, 악행을 하면 내 기분이 나쁘다. 이것이 바로 내 종교다." 그리고 "당신의 미래를 점치는최선의 방법은 그 미래를 그대가 창조하는 것이다."
'Fate or Destiny?'
If what can be changed is ‘destiny’, ‘fate’ must be what cannot be changed. If the destiny is the small picture, the fate must be the big frame. If how you happened to be born into a certain species, time and space, in the environmental setting, with your kind of DNA is your fate, then what picture you draw within the frame must be your destiny.
‘運命', the Chinese characters of destiny (‘운명’ in Korean), ‘運', the first character of which means ‘changeable/moveable’. ‘宿命’, the Chinese characters of fate (‘숙명’ in Korean), ‘宿', the first character of which means ‘to sleep over/settled’. ‘命', the same second Chinese character of both, means ‘the breath in the throat/the breath of life’.
As for the frame or box we are in,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so separate from each other. One is factual and real and the other is all made-up and unnatural. They are non-fiction and fiction in literary terms, an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computer terms. If our daily lives are the former, all the other arbitrarily and artificially imposed and manipulated ideological thoughts, religious dogma, arts and literature must be the latter. Like it or not, one has to accept the former as a given. But as to the matter of the latter, one has to decide whether to settle down in the box or get out of the frame, breaking every chain and throwing off all the shackles of slavery.
Let’s think of Abraham Lincoln.
Definition of lot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is a particular group or set of people or things, an item or set of items, the making of a decision by random selection, especially by a method involving the choice of one from a number of pieces of folded paper, one of which has a concealed mark, a plot of land, or a person’s luck, situation, or destiny in life.
Among Lincoln quotes, there’s one about ‘casting one’s lot’:
“Whatever woman may cast her lot with mine, should any ever do so, it is my intention to do all in my power to make her happy and contented; and there is nothing I can imagine that would make me more unhappy than to fail in the effort.”
As we can see these days, a few courageous ladies are turning their ‘fates’ into their ‘destinies’ by joining the current worldwide #Me Too campaign, while the majority of victims are still suffering in the dark, with their fates are being fossilized in caves.
To cite another kind of example, sad to say, some young people choose their careers and even their spouses, dictated by their adulterated parents and societies, instead of carving out their destinies by their own choices.
Anyway, be it the fate or the destiny, if one has to be happy with oneself after all, it behooves us all to ponder what Lincoln had to say:
“When I do good I feel good, when I do bad I feel bad, that’s my religion.” And this too: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create it.”
[항간세설] '미지수 찾기'
매년 새해가 되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호기심이나 희망 또는 불안감에서 점쟁이를 찾는다.
미국의 유명한 점성술가 쉐이니 니콜라스(Chani Nicholas)는 지난해 11월에 출간된 그녀의 최근 신간 ‘당신은 이를 위해 태어났어 : 근본적인 자아수용을 위한 점성술(You Were Born for This : Astrology for Radical Self-Acceptance)’에서 ‘당신이 누구인가가 아니고 누가 될 수 있는가?’를 말하려는 것이라고 한다.
서양엔 이런 말이 있다. ‘당신이 누구, 무엇인지는 신神이 당신에게 준 선물이지만 당신이 누구, 무엇이 되는가는 당신이 신神에게 바치는 선물이다.’ 이는 숙명fate이란 타고난 것이지만 운명destiny은 당신이 개척한다는 뜻이리라.
누가 더 바보 일까. 어둠을 무서워하는 어린애와 빛을 두려워하는 어른 둘 사이에서. 때때로 사실이 거짓 꾸며낸 일보다 더 이상하다지만 성한 사람이 이상하게 미치는 것은 이상하게 미친 세상에 대한 아주 성한 반응이며 그 대응책이라고도 한다.그래서 거짓말 중의 거짓말은 자기 자신한테 하는 것이고 그것이 거짓말에 머물지 않고 거짓 삶으로 연장되기도 하나 보다. 그러나 우리 더 좀 생각해 볼 때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일까?
수학적인 공식으로 예를 들어보자. 1+1=2로 당연한가 하면 1+1=11로 보일 수도 있다. 자주 반복되는 거짓말이 그 숨은 진실을 말해주는 참말이 되는가 하면 자질구레하게 섣불리 서투른 거짓말하지 않고 묵묵히 입을 다물고 침묵을 지킴으로 엄청나게 더 큰 거짓말을 결과적으로 하게 되기도 한다.
사실을 왜곡하거나 생략 또는 부정하고 불신하며 망각하는 것도 거짓말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추측, 편견, 선입견, 고정관념, 예측, 기대, 환상 등이 모두가 거짓말이라면 거짓말이다. 흔히 사람들은 사실보다 희망적이고, 환상적인 환멸의 비애를 맛볼 때는 보더라도, 배신의 쓰라린 상처를 입을 때는 입더라도, 사람은 머리로 생각하는 동물이라기보다 가슴으로 느끼면서 꿈과 믿음으로 숨 쉬고 사는 미신迷信의 산물産物인지 모를 일이다.
또 좀 생각해 보자. 세상에 그림자 없는 빛이 없듯이 실망하지 않을 기대란 없을 테고, 상처받지 않을 사랑도 없으리라. 하지만 사랑을 모르는 인형이, 고독을 모르는 동상이, 눈물을 모르는 조각이 되기보다 거짓을 외면한 진실을, 자연을 외면한 진리를 찾기보다, 차라리 모든 것의 가치와 아름다움 발견하는 알뜰살뜰한 사람이 되리라.
어둠, 거짓, 슬픔, 아픔, 실망, 절망, 회의, 배신, 이별도 살리고 고독도 살리리라. 추함도 천함도 잃음도 없음도 모두를 살리는 살림꾼이 되어보리.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