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의 책] 저 봐, 섬이 떠내려가네

이봉수 지음


섬으로부터의 사유를 담다

 

멈추지 않았다떠남과 돌아옴의 자유를 누리며 정주하지 않고 끝없이 방랑했다자연이 시인의 친구였으며 스승이었다이봉수 시인이 자연 속에서 건져 올린 시어들은 숭어처럼 팔딱팔딱 뛰며 살아 숨 쉬었다섬마다 떠돌면서 비로소 바다를 알았다섬이 바다에 갇힌 게 아니라 바다가 섬에게 갇힌 이유를 시로 풀어내고 보니 자연이 보이고 시가 보였다이봉수 시인은 섬과 바다와 도시와 사람들의 언어를 찾아 돈키호테처럼 여행과 기행 사이를 오가며 방황했다그렇게 쓴 시들이 섬처럼 수수하게 빛났고 바다처럼 포근했다시집 저 봐섬이 떠내려가네는 총 4단락으로 나눠서 엮었다. ‘’, ‘자연과 향수’, ‘사람 사는 이야기’, ‘사랑 그 너머의 자유’ 이렇게 나누어 자연의 맛사람 사는 맛을 따뜻하게 담아냈다때론 짧고 간결한 선시처럼 맑고 깨끗한 꽃향기가 나기도 한다또한 우리 이웃들의 땀 냄새 풀풀 날리는 인간미의 시도 있다누구나 쉽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시의 참맛을 진솔하게 그려낸 매우 드문 시집이다.

 

▶ 출판사 서평

 

지금은 진정한 시의 갈증이 필요한 때다풀지 못하는 비밀 같은 언어의 장난이 아니라 깊은 산속 옹달샘에서 퍼 올린 맑고 차가운 샘물 같은 언어가 필요할 때다이봉수 시인의 저 봐 섬이 떠내려가네는 오랫동안 삭히고 숙성시킨 시인의 언어의 맛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섬이라는 자연에서 받은 영감이 살아서 춤춘다일상의 소소한 사유가 시가 되고 삶에 대한 성찰이 치유의 글향기가 되기도 한다삶의 조각들이 하나둘 모여 시로 승화될 때 시인은 깨달음에 다가갔다고 한다시를 쓰면서 삶을 치유하고 생명의 가치와 자연의 이치를 시에 담아냈다이봉수 시인의 첫 번째 시집은 시인의 언어는 곧 자연의 언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과인문 刊 / 이봉수 지음



작성 2022.08.10 10:01 수정 2022.08.10 10:02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우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주식회사 영경, 농촌 체류형 쉼터, 국산 가전·모듈 조립 방식으로 시장 ..
2025년 5월 9일
2025년 5월 9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7일
경호 받아보고 싶어요(?)
2025년 5월 7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슈가토끼방문 광주루프탑카페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김웅대금연주가 루프탑카페 즉흥공연 광주중흥동카페 ..
완도산회특급포차 바다장어 물회밀키트 #밀키트 #물회 #로컬비즈니스탐험대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