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상 칼럼] 인류人類 인종人種의 맹점盲點 아니 망점亡點 - 코리아 환상곡幻想曲Korea Fantasia

이태상

 

 

예수도 말했던가. ‘너 자신을 치유하라 Heal Thyself’고. 우주 자연 만물 하나하나가 다 소우주라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이 유기체有機體로 자가치유自家治癒의 자정능력自淨能力이 있다. 그동안 인간의 적폐積弊로 오염될 대로 오염되고 병들 대로 병든 지구별도 견디다 못해 코로나바이러스를 동원한 자정 능력을 발휘하고 있음이 너무도 역력歷歷하고 자명自明하지 않은가. 아래와 같이 이런 낌새를 진작 차린 몇 사람의 말을 인용해보리라.
 
“인간이 성취한 모든 물질문명과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그래도 치유되고 용서받아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세계로 이전할 수 있는 축복을 받았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숲속에서 뛰노는 사슴을, 들판을 가로지르는 여우를, 겨울을 나기 위해 남쪽으로 춤추며 날아가는 나비를, 저 아득히 먼 하늘 창공으로 날아오르는 독수리를 우리가 볼 때 말이다. Even with all our technological accomplishments and urban sophistication, we consider ourselves blessed, healed in some manner, forgiven, and for a moment transported into some other world, when we catch a passing glimpse of an animal in the wild: a deer in some woodland, a fox crossing a field, a butterfly in its dancing flight southward to its wintering region, a hawk soaring in the distant sky.”

-Thomas Berry
 
“나는 동물을 지나치도록 좋아하진 않아도, 너무도 경이롭도록 놀라워할 뿐이다. I’m not overfond of animals. I’m merely astounded by them.”

-David Attenborough
 
“동물들이 어떻게 모든 걸 아는지 난 모르지만, 그들이 안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어쩌면 세상엔 그 어떤 단어로 성립되어 있지 않은 언어가 있어 만물이 이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리라. 그리고 또 어쩌면 모든 것에 숨겨진 영혼이 있어 그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고도 언제나 다른 영혼에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이리라. How it is that animals understand things, I do not know, but it is certain that they do understand. Perhaps there is a language which is not made of words and everything in the world understands it. Perhaps there is a soul hidden in everything and it can always speak, without even making a sound, to another soul.”

-Frances Hodgson Burnett, A Little Princess
 
“우리가 그럴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동물들은 우리 생각을 알아차린다. 그들은 우리 인간에 대해 아주 낮은 평가를 하고 있으리라고 나는 믿는다. Animals are so much quicker in picking up our thoughts than we are in picking up theirs. I believe they must have a very poor opinion of the human race.”

-Barbara Woodhouse
 
“동물들은 우리 곁에서 성장하며 다른 나라에 존재하는 우리 형제자매들이다. 그들은 우리보다 열등한 존재가 아니다. 그들은 지느러미, 날개, 프로펠라 같은 두 발, 또는 네 발을 가졌지만, 우리에겐 두 발뿐이다. 어떤 동물은 사나운 발톱과 엄지를 가졌지만 인간들은 그보다 훨씬 더 고약한 발톱과 그 이상의 몹쓸 것들을 만들어 냈다. 우리는 이 피조물들을 지배하고 착취하며 감금할 권리가 없다. 그들은 그들대로 야생적으로 살아야 한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들을 ‘고르버려 고르삐떠’ 그들의 존재와 행동방식까지 수정 변경 개조해서 착취하고 인간의 제물로 만들었다. 그 일부는 인간의 ‘반려동물’로 또 다른 일부는 인간의 노예로 말이다. The animals are our brothers, another nation living on Earth, growing up beside us. They are not lesser beings; they are selves in different forms. Some of them have flippers, some wings for motivation; some have two propelling legs, some have four; we have only two. Some have thumbs, some have claws. We have manufactured claws and worse. We have no rights over these creatures; yet we exploit and imprison them. They should run wild and be on their own, but we have corrupted them, enslaved them, and modified their behavior and opportunities. Some of them like it, some don’t. We have made friends of some and slaves of others.”

-Helen Nearing
 
“동물원은 슬프게도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다. 동물원의 공적인 존재 이유와 목적이 방문객들에게 동물들을 관찰할 기회를 주는 것이라지만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동물들의 진정한 모습은 없는 까닭에서다. 낯선 방문객이 맞닥뜨리는 건 고작해야 옆으로 아니면 멍하니 먼 데로 돌리는 동물들의 흘깃 지나치는 눈길일 뿐이다. The zoo cannot but disappoint. The public purpose of zoos is to offer visitors the opportunity of looking at animals. Yet nowhere in a zoo can a stranger encounter the look of an animal. At the most, the animal’s gaze flickers and passes on. They look sideways. They look blindly beyond.”

-John Berger
 
“나는 때때로 궁금증을 갖게 된다. ‘너는 동물이야’란 말이 왜 모욕적인 욕이 되는지. 만일 동물들이 말을 할 수 있었다면 그들 사이에선 "넌 인간이야”란 말이 그들이 즐겨 쓰는 욕설일 것 같다. I sometimes wonder why ‘You’re an animal’ is an insult; it seems to me that, if animals could talk, ‘You’re a human’would be one of their favorite insults.”

-Richard E. Turner
 
“동물의 이해利害보다 인간의 이해가 더 중요하다는 그 어떤 비인격적이고 비인칭적인 이유도 있을 수 없다. 동물이 인간을 파멸시키는 것보다 인간이 동물을 더 쉽사리 살처분할 수 있다는 게 인간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그 유일한 근거이다. 우리는 예술과 과학과 문학에 능하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높이 평가하지만 고래는 분수처럼 바닷물을 용오름으로 내뿜을 수 있고, 당나귀는 바하의 음악보다도 더 일정하게 그 울음소리를 끌고 갈 수가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일방적으로 우리 인간이 우월하다고 억지 주장을 펴는 것이다. There is no impersonal reason for regarding the interests of human beings as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animals. We can destroy animals more easily than they can destroy us; that is the only solid basis of our claim to superiority. We value art and science and literature because these are things in which we excel. But whales might value spouting, and donkeys might maintain that a good bray is more exquisite than the music of Bach. We cannot prove them wrong except by the exercise of arbitrary power.”

-Bertrand Russell
 
“동물이란 단어 앞에 야생이란 말을 붙인 건 인간이다. It is man who has affixed the word wild to the name animal.”

-Colette
 
동물을 사랑하라. 조물주는 동물에게도 생각의 기초, 기본과 근본을 주었고, 거리낌 없이 기쁨을 누리도록 해주었다. 그러니 그들을 괴롭히지 말고, 그들의 행복감을 빼앗지 말 것이며 조물주의 뜻을 거역하지 말 일이다. 조물주의 뜻을 거역하지 말라. Love the animals: God has given them the rudiments of thought and joy untroubled. Do not trouble it, don't harass them, don’t deprive them of their happiness, don't work against God’s intent.”

-Fyodor Dostoevsky, The Brothers Karamazov
 
“내 생(전)에 와서야 비로소 인류와 가장 가까운 유인원類人猿 침팬지도 의식이 있음을 과학자들이 인정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우리와 너무도 달라 지구별 밖 외계나 공상과학소설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다른 피조물들은 어떤가? 우리가 우리의 지성만이 아니고 감성까지 동원해 그 방편으로 사용한다면 이런 다른 피조물들의 내부 내적인 삶을 우리가 발견할 수 있을 것인가? Only during my lifetime had scientists begun to acknowledge that chimpanzees, humankind’s closest relatives, are conscious beings. But what about creatures so different from us that you’d have to go to outer space, or into science fiction, to find anything so alien? What might I discover about the interior lives of these animals if I were to use, as a tool of inquiry, not only my intellect, but also my heart?”

-Sy Montgomery
 
“우주는 온통 마술 같아 우리의 정신과 영혼이 날카롭게 예민해져 그 마법을 풀 때를 기다리고 있다. The universe is full of magical things patiently waiting for our wits to grow sharper.”

-Eden Phillpotts
 
“침묵과 고독은 공기처럼 엷도록 희박하고 밤하늘에 멀리 날아가는 기러기 떼의 울음 같은 야생 음악으로 젖어 물든다. 저 달 표면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기러기들의 흥분되고 고조된 목소리가 밤하늘을 짜릿짜릿하도록 저리게 해주는 걸 보면서 이 희귀한 순간 별안간 촉발된 통찰력의 직관으로 나는 야성적이고 자유롭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깨닫게 되는 것이었다. The silence and the solitude were touched by wild music, thin as air, the faraway gabbling of geese flying at night. Presently I caught sight of them as they streamed across the face of the moon, the high, excited clamor of their voices tingling through the night, and suddenly I saw, in one of those rare moments of insight, what it means to be wild and free.”

-Martha Reben
 
자, 이제 인류의 마지막 희망으로 코리아 환상곡 Korea Fantasia을 읊어 볼 거나.
 
지난 2011년 영국·미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 등 세계 작곡가들이 선정단으로 참여한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하기 대회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로 뽑혔고, 그다음 해 2012년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아리랑’과 단군의 홍익인간 弘益人間과 홍익만물弘益萬物 그리고 천도교天道敎의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우본자연인도주의宇本自然人道主義 곧 코스미안 사상이 오늘의 시대정신Zeitgeist이 되어야 하리라.
 
우리의 정감 넘치는 ‘아리랑’ 가락을 타고 신명나는 K-Pop과 싸이의 말춤에 이어 BTS '한류(Korean Wave)'를 통해 바야흐로 개명천지 ‘코스미안 시대(Cosmian Age)’가 도래하고 있다는 뚜렷한 표상이 가슴에 벅차게 떠오른다. 우리나라 고유의 종교 천도교의 성서라고 하는 동경대전(東經大全)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람이 붓을 어떻게 잡는지 잘 살펴보라.
정신을 가다듬고 고요한 마음으로 글씨를 쓴다.
찍는 점點 하나로 글 전체가 달라진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영화로도 만들어진 판타지 소설 ‘해리 포터’와 그 원조 격인 ‘반지의 제왕’을 보면 세상이 우리의 현실처럼 온통 마술의 산물이다.
 
근대 서양 오페라의 창시자로 불리는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1813-1883)가 중세 독일의 대서사시 ‘니벨룽의 노래’를 소재로 작곡· 작사 한 ‘니벨룽의 반지Der ring des Nibelungen)’가 있다. 라인강을 무대로 한 이 우화적인 서사시는 마술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데다 특히 인간의 자연환경 파괴로 인한 지구의 파멸을 막자는 교훈을 담고 있다.
 
아일랜드 출신 영국 극작가며 비평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1950)는 세계를 크게 변화시킨 산업혁명의 와중에서도 이 작품을 통해 자본주의가 무너지고 계급 없는 평등사회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고 한다.
 
그런데 오늘날의 자연환경 보호론자들인 ‘녹색당원들’에게는 현대 공업화로 빚어지는 온갖 자연공해는 ‘괴테 다메룽’, 즉 북유럽 신화의 신들과 거인족 간의 최종적인 싸움의 결과로 오는 세계의 종말을 뜻하는 것 같다.
 
바그너는 알고 있었다. 우리가 대지를 농락하거나 우롱할 수 없음을. ‘니벨룽겐의 반지’에서 그는 예언하듯 말한다. 짧은 세월 동안은 인간이 자연을 정복할 수 있을지 모르나 궁극적으로 자연은 되살아나고 신처럼 군림하던 인간은 멸망할 것이라고. 우리가 자연환경을 더럽히고 파괴하는 그 대가로 우리 자신의 비참한 불행과 혼란, 카오스를 피할 수 없으리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 어두운 비유로서 악한 난쟁이인 알베르히가 라인강에서 불가사의한 마력이 있는 황금을 훔치는데 이 행위 자체가 자연의 조화와 질서를 깨뜨리는 인간의 욕망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황금으로 반지 고리 가락지를 만들어 끼는 사람은 누구나 절대적인 힘을 쓸 수 있는 반면 반드시 비극적인 최후를 맞게 되고, 이 황금이 라인강 밖으로 나와 오래되면 될수록 그만큼 더 지구는 황폐해진다.
 
보다 못해 여주인공 브륀힐드는 더 이상 세상이 더럽혀지는 것을 볼 수 없어 신들과 알베르히의 노예로 땅속에서 사는 인간 이하의 종족 니벨룽스를 차라리 없애버리려고 세상에 불을 질러버린다. 그러자 라인강이 범람하여 불길을 끄고 도둑맞았던 황금을 되찾아 지구생태계의 질서를 회복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각기 땅과 물과 불 그리고 공기를 대표하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카산드라들로서 세상에서 상대해주지 않는 나쁜 일 흉사凶事의 예언자들이다. 이들은 거듭해서 신들에게 물욕과 권세욕 때문에 생길 재앙에 대해 경고한다.
 
‘우주의 주인’인 우두머리 신 보탄의 비서실장격인 에르다는 땅의 어머니로서 지신地神인데 황금을 라인강에 되돌려주지 않으면 자연의 질서가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라인강 자체와 그 속의 황금을 지키고 끝내 되찾아 내는 ‘라인의 처녀들’이 물의 신 수신水神이고, 보탄의 뜻을 거역하지 못하면서도 계속 황금을 라인강에 돌려주자고 간언하나 번번이 묵살 당하는 로게는 불의 신 화신火神이다.
 
공기를 대표하는 것은 세 마리의 조신鳥神인데 그 중 ‘사상’과 ‘기억’이란 이름의 두 마리 보탄의 갈까마귀는 위로 날면서 그들의 주인을 경호하고 또 한 마리 ‘숲새’는 보탄의 손자인 지그프리트에게 어떻게 하면 악한 수중에서 황금을 되찾아 그 제자리로 돌려보낼 수 있는지 일러준다.
 
이 독일 전설의 영웅 지그프리트는 성실한 인성의 인물로 자연을 사랑하고 지식을 갈망하며 불의와 맞서 정의를 위해 싸운다. 자연에 대적하는 것은 알베르히와 보탄 둘 다인데 알베르히는 사회의 무법자들을 상징하고 보탄은 사회의 지도자를 가리킨다. 개인의 이익을 위해 사회의 재난을 불러일으키는 자들과 이들로부터 힘의 고리를 얻어 세도를 부리는 자들이다.
 
이 반지 고리의 끝 장면은 ‘신들의 황혼’으로 결국 자연은 스스로를 되찾아 권력에 굶주린 신들을 제거하고 세상을 인간들에게 맡긴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 바그너는 우리가 지구의 주인이 아닌 단지 관리인임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이 대자연의 반지 고리가 '코스모스'로 피어나는 '코리아'에서부터 그 참된 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이어라.
 
아, 그래서였을까. 지난 2014년 향년 83세로 별세한 '푸른 눈'의 국악인 해의만(미국명 Alan C. Heyman) 씨도 1931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1953년 위생병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해 강원도 양구에서 근무할 때 당시 태평소, 북 등 국악 소리에 매료돼 평생 국악인으로 살았으리라. 그는 1959년 뉴욕에 있는 컬럼비아 대학원에서 음악 석사과정을 마치고 1960년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국악예술학교에서 한국전통음악을 공부했고 1995년 한국으로 귀화해 서울 해海 씨의 시조가 되었어라. 그는 '삼천리 나라의 무용', '한국 판소리 해설' 등의 저서를 냈으며 '서애악부' 등 국악 자료 200여 점을 국립 국악원에 기증했다.
 
또 최근에는 K-Pop에 매료된 한국전 참전용사 손녀 '마리아'가 글로벌 트톳트 가수로 등장했다. 2021년 5월 20일 코리아타임스 기사를 옮겨본다.
 
American singer's journey from K-pop star wannabe to 'Miss Trot 2' contestant
 
Posted : 2021-05-20 16:02Updated : 2021-05-21 08:24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By Kwak Yeon-soo
 
For Maria Elizabeth Leise, appearing on TV Chosun's trot music competition show, "Miss Trot 2," was a life-changing event.
 
The 20-year-old from Connecticut surprised many with her fluent Korean, expert command of the Korean musical genre, known for its cyclic rhythm and vocal inflections, as well as the emotional intensity of her singing. Backed by a growing fan base, Leise finished 12th out of 112 contestants who took part in "Miss Trot 2," which started airing on Dec. 17 and ended on March 4.
 
"I went a lot further than I thought" Leise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She added that the show gave her a chance to be "doing what I want to do and make a living as a singer." Leise said, "I'm officially reaching my goal in Korea and making my parents proud."
 
Trot is a genre of music that came to prominence in Korea during the 1960s and 70s. It is known for its unique vocal technique called "kkeok-kki" or breaking voice. Trot crooners sing lower notes using pulsating, vibrato techniques and push their vocal range to its limits when they reach high notes.
 
However, the unexpected success was the result of her own hard work. The ambitious American contestant had prepared for almost a year to take part in the audition.
 
"When I was a huge K-pop fan in the U.S., I saw a K-pop idol audition program called 'Produce 101' (2016) and thought 'Wow, I'd really like to go on that show.' 'Miss Trot' (2019) was very similar to it so while 'Mr. Trot' (2020) was going out, I took singing and songwriting lessons, thinking hopefully there will be a season 2," she said. "As soon as the audition notice was out, I immediately sent my video."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Maria Elizabeth Leise appeared in Mnet's music game show, "I Can See Your Voice," on Feb. 1, 2019. Courtesy of Mnet
 
However, it was K-pop that initially lured her to Korea.
 
"When I was younger, I liked singers like Miley Cyrus and Ariana Grande. In high school, I discovered K-pop and moved to that. I really liked how upbeat it was that makes you want to dance. After I listened to K-pop for a month, I thought about learning the language and took online lessons," she said.
 
Leise flew to Korea in 2018 to try to become a K-pop star after winning a round trip ticket at a Korean singing contest that was held in New Jersey to celebrate the Chuseok thanksgiving holidays. Because she was only 17, her mother was not supportive of her going to Korea.
 
"My mom is very protective and so she was worried all the time. But she saw that it's what I wanted to do and then respected my decision. I really appreciate her for that," she said.
 
Leise kept traveling back and forth because she had a visitor's visa. After a year or so, she finally earned an employment visa after joining an entertainment company temporarily.
 
Although she was a huge fan of K-pop idols, including BTS, Red Velvet and The Boyz, she didn't buy tickets to their concerts because part of her had a pride that one day she will be a singer too.
 
"I really liked them but I didn't go to their concerts. I thought to myself, 'I will work hard and meet them in real life by my hard work, not by paying for tickets. One day, I'll be that big, but it's just not right now.' That was kind of the mindset I had," she said.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Maria Elizabeth Leise performs in TV Chosun's trot competition show, "Miss Trot 2." Courtesy of TV Chosun
 
Despite her auspicious plans, Leise said her life in Korea wasn't all sunshine and rainbows. She has appeared on a couple of TV shows like Mnet's "I Can See Your Voice" and JTBC's "Hidden Singer 6," but nothing really happened afterward.
 
"It was really hard. I missed my parents and my home. In the first two years in Korea, I asked myself, 'Do I have to go back? Do I have to give up on this?'" she said.
 
Then one day, she asked her friends to recommend some movies so she can learn about Korea's history.
 
"I watched 'Spirits' Homecoming,' which was a really sad movie. The background music consisted of gugak and pansori, and wondered 'what kind of music is this?'" she said.
 
"I really connected to it. Then I looked up more music like that, which naturally led me to traditional trot, that had more 'han' (a Korean word that expresses feelings of deep sorrow, resentment and regret) and came across Ju Hyun-mi's YouTube channel. That's how I got into trot."
 
Performing on stage and competing with other contestants in "Miss Trot 2" was a nerve-wracking, but rewarding experience for her. "I had stage fright and team missions were tough, but I have to say that I gained more confidence through the show," Leise said.
 
She also mentioned that former U.S. ambassador to Korea Harry Harris's tweet about her grandfather, an American veteran of the Korean War, helped her gain more spotlight during the show.
 
"My grandfather didn't talk about it that much. What I know is that he was based in Busan. He liked Koreans and he was glad that he's a war veteran. I'm glad that they appreciate my grandfather. The timing was really good," she said.
 
When asked what she misses the most about life before "Ms. Trot 2," the singer said she misses the feeling of taking a brief break in the U.S. "I miss the feeling of 'If it's too much, I can always go home to take a break.' Because of work and quarantine, I can't do that," she said.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Maria Elizabeth Leise / Courtesy of Good Day Entertainment
 
Leise also talked about her debut album plan, saying that she is still waiting for the perfect song.
 
"My strategy for picking a song is: listen to it once and I have to like it immediately. If I can't remember the melody, I let it go. If it automatically comes back into my head, I listen to it the next day. If it's still good, I listen to it a week later. There are a lot of songs that are tricky," she said.
 
On her future goals, Leise said, "I'd like to release a lot of hit songs, be well known in Korea and to have my own concert. I also want to upload trot videos on my YouTube channel to spread trot globally. I want to show the world that there is not just K-pop, but other genres as well."
 
Leise remained optimistic about trot reaching the global success of K-pop. "A trot song that is catchy and easy to pronounce by anyone can reach global listeners, it does need to make an impact," she said.
 
사실 우리 한민족은 원래 자연을 파괴하기보다는 자연과 함께 조화롭게 살았던 민족이다. 그렇다면 이 대자연의 ‘고리’ 코스모스가 하늘하늘 피어나는 코리아에서부터 단군의 홍익인간 홍익만물로 발현된 코스미안 사상이 그 참된 제빛을 발하기 시작한 것이리라. 우리 한민족이 이 같은 일을 주도할 천명을 타고 난 것이다. 천지가 새롭게 개벽할 날이 오고 있다. 아리랑 만세! 한류 만세! 코스미안 만세!!! 아라리오이리...
 
[이태상]
서울대학교 졸업
코리아타임즈 기자
합동통신사 해외부 기자
미국출판사 Prentice-Hall 한국/영국 대표
오랫동안 철학에 몰두하면서
신인류 ‘코스미안’사상 창시
1230ts@gmail.com

 

작성 2022.11.19 09:18 수정 2022.11.19 09:47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