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의 책] 암자에서 길을 묻다

글·사진 유용수

 

 

 

암자란 어떤 곳인가?
 

일삼아 암자들을 찾아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글을 쓴 이는 계절마다 발품을 팔았던 암자를 두고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덧없는 부끄러움과 낯선 진실들을 짊어지고 늙은 산길을 따라와 수행자와 눈 맞춤하며 나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곳, 맑은 바람과 한 뼘 햇살만으로도 충분하게 몸이 씻겨짐을 느낄 수 있는 곳이 암자다.”


이를테면 암자란 돈오각성(頓悟覺醒)의 경지를 설하는 도량은 아닐지라도 일로정진(一路精進)의 향기가 배어 있어 사람을 편안하게 맞아주는 곳일 성싶다. 설핏 욕심을 부린다면 인생길의 좌표에 대해 물어볼 수도 있는 곳이라는 것.

 

삼독의 번뇌를 씻어내는 기도와 위로 탐욕(貪欲)과 진에(瞋恚)와 우치(愚癡), 곧 욕심과 노여움과 어리석음의 세 가지 번뇌에서 비롯되는 삼독(三毒)의 습관으로 찌든 일상을 위로받을 길은 없을까? 조곤조곤한 필치로 독자들을 암자로 이끄는 글쓴이는 암자야말로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라고 슬며시 귀띔한다.


“작은 것에 감사할 줄 알고, 소소한 것에 감동할 줄 알고, 스치고 지나가는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미워함과 시기함과 분노마저도 주저 없이 사랑으로 덮을 줄 아는 마음이기를 원하며, 거짓 없는 순진함으로 무장하여 가슴속으로 찌들어오는 모든 잡사(雜事)를 내려놓고자 간절한 기도를 뱉어낸다. 찌들고 거칠어진 마음 한 구석을 위로한다. 붙들고 있는 욕심과 어리석음, 그리고 분노를 삭여낸다.”

 

어린아이가 부모의 손에 이끌려 산보를 하듯 암자를 찾아가는 길이 편안하다. 일부러 화려하게 겉멋을 부리는 필치가 아니라 함께 걸어가며 대화를 나누듯 글의 흐름이 전혀 무리가 없다. 한국문인협회를 비롯한 문인들의 모임에서 활발하게 문학 활동을 펼치는 수필가 유용수(劉蓉守)의 내공이 실린 문체 덕분에 암자행(庵子行)이 더욱 친근하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사계절을 안배하여 발길 닿는 암자들을 두루 섭렵한 정성도 정성이려니와 사물 하나하나에 정감을 실어 기록한 사진도 암자의 기품을 살리는 데 한몫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 “암자의 풍경 소리에 촛불 하나 켜 놓고 수행자의 내면을 더듬던 날들은 내겐 축복이었다.”고 하던 그 순간이 이제는 독자들의 몫으로 돌아가기를 기원한다.

 

새로운 사람들 刊 / 유용수 지음

작성 2023.01.31 10:32 수정 2023.01.31 11:0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주식회사 영경, 농촌 체류형 쉼터, 국산 가전·모듈 조립 방식으로 시장 ..
2025년 5월 9일
2025년 5월 9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8일
2025년 5월 7일
경호 받아보고 싶어요(?)
2025년 5월 7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2025년 5월 6일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슈가토끼방문 광주루프탑카페 #로컬비즈니스탐험대
카페숲안에 문화복합공간 김웅대금연주가 루프탑카페 즉흥공연 광주중흥동카페 ..
완도산회특급포차 바다장어 물회밀키트 #밀키트 #물회 #로컬비즈니스탐험대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5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