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이수자뎐(傳)’전통을 잇는 자부심과 조우하다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에서 개최

7~9월 매주 토요일 16시

사진=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오는 7일부터 9월 28일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매주 토요일 오후 4시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2019년 <이수자뎐(傳)>’을 개최한다.


오직 국립무형유산원에서만 만날 수 있는 명품공연 <이수자뎐(傳)>은 매년 무형문화재 예능종목 이수자들의 공모지원을 받아 관계전문가의 엄정한 평가를 거쳐 작품을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1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은 12개조(개인·단체)가 선정되었으며, 무형유산 예능종목의 정수(精髓)를 보여주는 정통공연을 비롯해 오늘을 살아가는 이수자들의 고민과 창의성이 더해져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2019 이수자뎐>은 가(歌)·무(舞)·악(樂)·희(戱)를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하였다. 먼저, 이달에는 ▲ 처용무를 필두로 화려하지만 절제된 감정으로 담담하게 정취를 뿜어내는 정재(呈才) 「김청우의 춤-헌기(獻技)」(김청우,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7.6.), ▲ 신명나는 민중놀이 한마당 「남사당 박첨지-전주유람기」(최병진,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7.13.), ▲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을 추구하는 연주자의 예술세계를 담은 「발현(發絃)-거문고로 소리를 빛내다」(문성아, 국가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이수자/7.20.), ▲ 두레공동체의 정신을 담고 있는 고성의 농사소리 「풍년가-풍년을 기원하는 노래, 삶을 노래하는 가(歌)」(남상은·신명균, 국가무형문화재 제84-1호 고성농요 이수자/7.27.)의 무대를 만날 수 있다.


8월에는 남도민요·판소리·무속굿 등 남도소리의 다양성을 접할 수 있는 「명창 김나영의 남도소리 ‘판’」(김나영,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이수자/8.3.), 어릿광대와 탈꾼이 선사하는 재미와 웃음 한마당 「발로 노니는 탈놀음-발탈」(정준태,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이수자/8.10.), 고제 가야금산조 및 병창의 멋을 느낄 수 있는 「서은영의 고제(古制) 가야금산조와 병창」(서은영,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8.17.),  여성 명창이 만들어가는 세련되고 감각적인 소리세계 배뱅이굿 「왔구나 배뱅아씨」(김유리,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이수자/8.24.)  가정의 안과태평을 기원하는 「성주」(신희라,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이수자/8.31.)가 펼쳐진다.


9월에는 경기지역 풍류음악을 현시대의 감성으로 해석한 「서울좌창」(채수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9.7.), 풍성한 가을 달빛에 담긴 여인의 그리움, 사랑, 그리고 인연을 노래하는 「풍류에서 한류를 꿈꾸다」(김미경,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자/9.21.) 가야금산조 가락의 정통적 맥(脈)을 추구하는 「소수지락(紹修之樂)-오경희, 한숙구제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가락의 맥을 이어가다」(오경희,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9.28.)의 무대가 마련된다.










서문강 기자
작성 2019.07.03 09:12 수정 2019.07.03 09:30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서문강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