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주변 수로조사 완료

주변 해저지형은 어떤 모습일까?

해저지형조사(아라온호) = 해수부 제공

국립해양조사원(원장 강용석) 지난 2017년부터 실시한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주변 대한 수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수로조사에서 국립해양조사원은 수중음향측심기, 드론(UAV), 3D 캐너 첨단장비 이용하여 장보고과학기지 주변의 해안선과 해저지형, 표층퇴적물 등을 조사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장보고과학기지 바다의 수심 0~750m이며, 대부분 암반이나 뻘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선으로부터 200~300m 지점에서 경사가 급해지며, 가장 가파른 곳은 8도 경사각을 이루고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보고과학기지 바다 양측으로 해저골 2개소가 발달되어 있고, 장보고과학기지와 캠밸 빙설 사이에서는 2~5m 깊이의 포트홀 50~60m 깊이의 웅덩이, 에스커 지형으로 유추되는 해저지형 확인되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새로운 묘박지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새로운 묘박지로 논의된 해역은 15m 수심 부근이라 흘수(수면-선박 밑바닥 수직거리) 7.5m 아라온호가 머무르기에 충분하며, 기존 묘박지보다 더욱 가까워 접근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번 조사과를 활용하여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부근(Approaches To The Jang Bogo Station) 국제해도 간행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해도가 간행되면 장보고과학기지 주변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은 장보고과학기지로부터 770km 정도 떨어져 있는  진‧출입 항로 주변 특이 해저지형에 대해 우리말 국제해저지명 3건을 등재 있으며, 나머지 3건에 대한 등재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3년간 대한민국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과학기지 주변의 선박 안전항해 효율적 연구활동 지원을 위한 정밀 수로조사도 새롭게 실시 예정이다.

 

황준 국립해양조사원 수로측량과장은 이번 수로조사 결과는 그동안 해저지형 정보가 부족했던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주변의 선박 안전항해  남극연구 활동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수로조사 결과는 국립해양조사원 극지 항해안전포털(www.khoa.go.kr/ polar)에서 확인할 있다. 


이정민 기자
작성 2019.07.10 17:53 수정 2019.07.10 17:53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민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2일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