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석근 칼럼] 병 속의 새

고석근

우리는 어두움을 두려워하는 어린아이를 쉽게 용서한다. 그러나 인생의 진짜 비극은 인간이 빛을 두려워할 때다. 

 

- 플라톤 (Plato, BC 428/427~BC 348/347)

 

 

소설가 김성동의 <만다라>에는 ‘병 속의 새’라는 화두가 등장한다. 

 

“어린 새를 병 속에 넣었는데, 이제 어미 새가 되었다. 병을 깨지도 말고 새를 죽이지도 말고 새를 꺼내 보라!” 

 

방법이 있을까? 문제를 풀려고 하면 할수록, 우리는 병 속에 갇힌 듯한 느낌이 들 것이다. 이 문제를 일생을 걸고, 풀려고 하면 어떻게 될까? 어느 날 머리가 말갛게 되는 날이 올 것이다.

 

‘아, 이거였구나!’ 하늘을 향해 크게 웃음을 터뜨리게 될 것이다. ‘대자유인(大自由人)’이 되어.

 

이 병 속의 화두는 논리적으로는 풀 수 없다. 논리를 벗어나야 한다. 논리를 잊고 무심히 이 세상을 바라보면, 우리는 느끼게 될 것이다. 병 속에 갇혀있는 자신을. 병 속에 갇혀있으면서도, 자신을 돌아보지 않으면 전혀 갇혀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자신을 자신 밖에서 보는 경험을 해야 한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 나오는 명 구절.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곧 세계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한평생 계속 다시 태어나야 한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라, 생각에 의해 계속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시 태어나려면, 자신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병을 깨지 않고 밖으로 나올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의 세계관(世界觀)으로 살아간다. 세계를 보는 관점이 그를 가두는 병이 된다.

 

조선시대의 봉건적인 세계관을 갖고 살아가게 되면, 그는 병 속의 새처럼 항상 답답하게 된다. 세상은 온통 그를 가두는 벽이 된다. 그가 봉건적인 생각만 끊어버리면, 그는 홀연 대자유를 느끼게 될 것이다.

 

나는 나의 알을 깨고 나오는 경험을 대학 2학년 때 처음 했다. 지도교수님이 “석근아 학문을 해라!”고 하셨을 때, 나는 새로운 나를 상상했다. 학자가 되어 살아가는 나를 상상하게 되면, 내 마음과 몸은 학자가 되기 위한 길을 알아서 가게 된다.

 

꿈은 이루어지게 되어있는 것이다. 내가 학자의 꿈을 꾸면서 나를 바라보게 되자, 병 속에 갇혀있는 내가 보였다. 병 밖에 서 있는 나, 세상이 환했다. 고대 그리스의 철인 플라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어두움을 두려워하는 어린아이를 쉽게 용서한다. 그러나 인생의 진짜 비극은 인간이 빛을 두려워할 때다.”

 

우리가 오랫동안 병 속에 갇혀 있다가 보면, 어두컴컴한 세상이 편하게 된다. 이 익숙함이 우리를 계속 병 속에서 살아가게 한다. 그렇게 살다 죽음이 가까이 다가오면, 절망이 밀물처럼 밀려오게 된다. ‘인생은 한바탕 허망한 꿈이었어!’  

 

인간은 가장 원하는 것은 자유(自由)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우리는 과감히 병 속에서 나와야 한다. 나는 내 나름대로 학자의 길을 걸어갔다. 계속 나의 알을 깨고 나오며 나의 세계를 만들어갔다.  

 

우리는 용기를 갖고 살아가야 한다. 자신이 병 속에 갇혀있다고 느끼게 되면, 과감히 밖으로 날아보아야 한다. 아마 거의 대다수는 병은 허상이었을 것이다. 우리는 이미 병 밖에 있었는데, 스스로 병 속에 갇혀있다고 느낀 경우가 너무나 많았을 것이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 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 이성복, <그 여름의 끝> 부분  

 

 

절망을 끝내 견뎌 본 사람은 알 것이다.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절망은 자신의 알이 깨지는 아픔이고, 

알이 깨지고 나면, 더 큰 자신이 태어난다는 것을. 

 

 

[고석근]

수필가

인문학 강사 

한국산문 신인상

제6회 민들레문학상 수상.

이메일: ksk21ccc-@daum.net

 

작성 2024.06.20 11:30 수정 2024.06.20 11:45
Copyrights ⓒ 코스미안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별기자 뉴스보기
댓글 0개 (1/1 페이지)
댓글등록-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horts 동영상 더보기
나는 지금 '행복하다'
2025년 4월 21일
2025년 4월 20일
2025년 4월 19일
2025년 4월 18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7일
2025년 4월 16일
2025년 4월 15일
2025년 4월 14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5년 4월 12일
2023-01-30 10:21:54 /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