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요일 밤, 늦은 저녁을 끝내고 거실에 앉아 텔레비전을 즐기고 있다. ‘가요 무대’ 프로에서 구수한 트로트가 흘러나온다. 추억의 옛 노래 몇 곡이 끝나고, 인기 남자가수 송 아무개의 <분위기 좋고>가 흥을 돋운다.
분위기 좋고 좋고 느낌이 와요 와요/준비는 됐어 됐어 오메 좋은 거 <중략> 아싸 이쁜 내 사랑/보고 싶어 갑니다 가요/내가 가요 당신만의 사랑이 되어/길은 멀어도 마음은 하나요/뜨거운 내 마음 받아만 준다면/분위기 좋고 좋고 느낌이 와요 와요/준비는 됐어 됐어 오메 좋은 거/분위기 좋고 좋고 폼도 좋구나 좋아/준비는 됐어 됐어 나는 행복해/사랑이 온다 와요 옵니다 옵니다 와요/느낌이 와요 와요 오메 좋은 거/그님이 온다 와요 좋구나 좋구나 좋아/준비는 됐어 됐어 나는 행복해
가사의 내용을 음미하면서 슬쩍 곁에 있는 아내 표정을 살핀다. ‘준비는 됐어’라는 소절에 이르자 일순 아내의 얼굴 쳐다보기가 민망해진다. 글쎄 무슨 준비가 되었다는 소리인가. 조금 성급하고 독단적인 해석인지는 모르겠으되, 이어지는 뒷말로 미루어 짐작건대 어쩐지 뜨거운 사랑을 치르기 위한 준비가 끝났다는 외설적인 표현으로 읽힌다. 남녀상열지사로 일컬어지고 있는 고려가요 「쌍화점」의 “쌍화점에 쌍화 사러 갔더니 회회아비가 내 손목을 잡더이다. (중략) 그 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그 잔 곳같이 난잡한 데가 없다.” 하는 구절 저리 가라다.
가사의 천박스러움으로 마음이 부글거릴 즈음, 장 아무개 여자가수의 <어머나>라는 노래가 이어진다. 이 유행가의 가사는 <분위기 좋고>보다 한술 더 뜬다.
어머나 어머나 이러지 마세요/여자의 마음은 바람입니다/안 돼요 왜 이래요 잡지 말아요/더 이상 내게 오시면 안 돼요/오늘 처음 만난 당신이지만/내 사랑인 걸요/헤어지면 남이 돼요/모른 척하겠지만/좋아해요 사랑해요/거짓말처럼 당신을 사랑해요/소설 속에 영화 속에 멋진 주인공은 아니지만/괜찮아요 말해 봐요/당신 위해서라면 다 줄게요
즉흥적이고 경박하기가 어찌 이리도 적나라할 수 있을까 싶다. 요즘 세상이 아무리 초스피드 시대라고는 하지만 처음 만난 사람을 어떻게 ‘내 사랑’이라고 표현하며, 그런 사람한테 또 어떻게 자기의 모든 걸 다 주겠다는 말인가. 게다가 ‘당신 위해서라면 다 줄 게요’라는 그 소절 속에는 은근히 정조까지 바치겠다는 함의가 느껴진다. 이런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비단 나만의 지나친 논리적 비약은 아닐 줄 믿는다. 이처럼 저속한 가사의 노래가 무비판적으로 대중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으며 유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국문학자였던 조윤제 선생은 생전에 우리 한국인의 생활의 특질을 일러 ‘은근과 끈기’라고 설파했었다.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선하면 아니올세라”라고 노래한「가시리」에서 은근의 미덕을 보았고,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라고 읊은 「단심가」에서 끈기의 정서를 읽었다. 그 애국적인 주장은 이제 구시대의 유물이 된 지 오래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고, 물론 유행가라고 해서 하나같이 다 저급하고 속된 것만은 아닐 게다. 십여 년 전, 시인 100명이 뽑은 가장 아름다운 대중가요 노랫말 1위에 오른 <봄날은 간다>를 가만히 입속으로 흥얼거려 본다. 그러고 있노라면 가사에서 절로 격조가 느껴지는 것을 체감하게 된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오늘도 옷고름 입에 물고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은근한 노랫말이,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벚꽃같이 찬연하면서도 덧없이 이우는 목련꽃처럼 처연하게 다가온다. 짧아서 더 귀하고 그래서 더 아쉬운 봄, 그 아름다우면서도 애틋한 정서가 강물이 흘러가듯 아련한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단장의 그리움을 담았으되 감정을 흩트리지 않았고, 애끓는 정한을 토로하되 격을 잃지 않았다.
유행가 한 줄을 짓는 데 있어서도 결코 가벼이 여길 일이 아니다. 대중가요가 비록 태생적으로 통속성에 기초하고 있는 거야 주지의 사실이지만, 그래도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술이라는 점만은 부인할 수 없는 것 아닌가. 그러기에 아름답고 격조 있는 노랫말을 만들겠다는 자세로 혼을 쏟아 작사를 하는 오롯한 예술가적 정신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리라. 이것이 유행가의 격을 높이는 길이 아닐까 한다.
[곽흥렬]
1991년 《수필문학》, 1999년《대구문학》으로 등단
수필집 『우시장의 오후』를 비롯하여 총 12권 펴냄
교원문학상, 중봉 조헌문학상, 성호문학상,
흑구문학상, 한국동서문학 작품상 등을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받음
제4회 코스미안상 대상 수상
김규련수필문학상